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성씨록』 에 이르기를...]

『성씨록』 에 이르기를, 다미숙녜(多米宿禰; 다메노스쿠네)는 신혼명(神魂命; 가미무스비노미코토)의 5세손인 천일취명(天日鷲命; 아메노히와시노미코토)으로부터 나왔다. 4세손인 소장전(小長田; 워나카타)은 치족언천황(稚足彦天皇; 와카타라시히코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성무(成務; 세이무)이다.] 시대에 대취료(大炊寮)에서 받들어 섬길 때, 바친 밥이 향기롭고 맛이 있으므로 특별히 좋은 이름을 내리고, 짐의 밥을 지으라고 하였다. 6세손인 삼지련(三枝連; 사키쿠사노무라지)의 아들, 왜고련(倭古連; 야마토코노무라지)의 후손에게 천정중원영진인천황(天渟中原瀛眞人天皇; 아마노누나하라오키노마히토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천무(天務; 덴무)이다.]의 시대에 다시 숙녜(宿禰)라는 성을 내렸다.
 
【주석】
1. 성씨록운(姓氏錄云)
이 일문은 『정사요략(政事要略)』 권제26 연중행사(年中行事) 11월조에 인용되어 있으며, 『신찬성씨록』 제14권 우경 신별(상) 「다미숙녜(多米宿禰)」 조의 일문이다. 현재의 초본에는 “같은 신의 5세손인 천일취명의 후손이 성무천황의 시대에 대취료에서 받들었는데, 그 밥이 맛있고 좋으므로, 특별히 아름다운 이름을 내렸다(同神五世孫天日鷲命之後, 成務天皇御世, 仕奉大炊寮, 御飯香美, 特賜嘉名.)”라는 내용만 있다.
2. 다미숙녜(多米宿禰)
다미(多米; 다메)라는 씨명은 전목(田目; 다메)이라고도 쓴다. 원래 궁중에서 취사와 관련된 일을 맡고 있었으며, 음식물의 총칭인 미물(味物; 다메츠모노)의 ‘다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미숙녜의 원래 성은 연(連)이었는데, 『일본서기』 천무(天武) 13년 12월 기묘에 전목련(田目連)에게 숙녜라는 성을 내렸다고 하였다.
다미숙녜씨 일족으로는 다미숙녜상인(多米宿禰常人, 寶龜 8년 7월 23일부 「民部省牒」6-598), 다미숙녜도자녀(多米宿禰刀自女, 『類聚國史』 44, 采女, 천장 7년 4월 갑진삭조), 다미숙녜제익(多米宿禰弟益, 『日本三代實錄』 貞觀 2년 4월 29일 기유회조 등)이 있다.
3. 신혼명(神魂命)
신혼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현견양숙녜(縣犬養宿禰)」 조(380) 신혼명(神魂命) 참조.
4. 천일취명(天日鷲命)
천일화지명(天日和志命; 아메히노와시노미코토)이라고도 한다. 천일취명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중) 「다미련(多米連)」 조(392) 천일화지명 참조.
5. 소장전(小長田)
『정사요략(政事要略)』 권제6, 16, 연중행사(年中行事) 11월조에 인용된 『다미숙녜본계장(多米宿禰本系帳)』 과 〈다미씨계도(多米氏系圖)〉에 성무천황(成務天皇) 때 소장전명(小長田命)이 밥을 지어 바쳤는데 향기롭고 맛이 있으므로, 천황이 다미련(多米連)이라는 성을 내리고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일을 관장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6. 치족언천황(稚足彦天皇)
성무천황(成務天皇)을 뜻한다. 『정사요략(政事要略)』 권제26 연중행사 11월조에 인용된 〈다미씨계도(多米氏系圖)〉에서는 지하고혈태궁어우약대천황(志賀高穴太宮御宇若帶天皇)으로 보인다.
7. 대취료(大炊寮)
궁궐에 근무하는 관인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일을 관장하는 관사이다. 대취료에 대해서는 우경 신별(상) 「다미숙녜(多米宿禰)」 조(446) 대취료 참조.
8. 어반(御飯)
천황이 먹는 음식을 말한다. 어반에 대해서는 우경 신별(상) 「다미숙녜(多米宿禰)」 조(446) 어반 참조.
9. 삼지련(三枝連)
여기에만 보인다.
10. 왜고련(倭古連)
여기에만 보인다.
11. 천정중원영진인천황(天渟中原瀛眞人天皇)
천무천황(天武天皇)이다. 『일본서기』 천무 13년(684) 12월 기묘조에 전목련(田目連)에게 숙녜(宿禰)라는 성을 주었다는 내용이 보인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성씨록』 에 이르기를...] 자료번호 : ss.k_0003_0030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