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견조씨(堅祖氏; 게무소시)

견조씨(堅祖氏; 게무소시)
 백제국(百濟國) 사람 견조위지(堅祖爲智; 게무소위치)의 후손이다.
 
【주석】
1. 견조씨(堅祖氏)
견조(堅祖)라는 씨명은 우경(右京) 제번(하) 「분곡조(枌谷造)」 조(891)에도 ‘백제국 사람 견조주이(堅祖州耳)의 후손’이라 게재되어 있다.
견조(堅祖; 게무소)라는 씨명은 백제국의 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견조씨는 여기에만 보인다.
2. 견조위지(堅祖爲智)
견조위지라는 인명은 여기에만 보인다.
견조위지라는 인명 말미의 지(智)는 『일본서기』 한국 관계 기사와 고대 한국의 금석문에 기재된 인명 말미에 자주 보인다. 예컨대 『일본서기』 신공황후(神功皇后) 섭정 5년 3월조의 모마리질지(毛麻利叱智; 모마리시치), 부라모지(富羅母智; 호라모치), 『일본서기』계체천황(繼體天皇) 24년 3월조에 보이는 신라의 상신 이질부례지(伊叱夫禮智), 흠명천황(欽明天皇) 5년 11월조에 보이는 다라(多羅)의 흘건지(訖乾智), 제명천황(齊明天皇) 6년10월조의 좌평(佐平) 귀지(貴智), 추고천황 19년 8월조에 보이는 나말(奈末) 북질지(北叱智), 대사(大舍) 친지주지(親智周智), 달솔(達率) 만지(萬智) 등을 들 수 있다. 또 신라 법흥왕 11년인 524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울진봉평신라비(蔚珍鳳坪新羅碑)」 에는 신라의 법흥왕(재위 514~540)임이 분명한 ‘모즉지(牟卽智) 매금왕(寐錦王)’과 그의 동생 ‘사부지(徙夫智) 갈문왕(葛文王)’이라는 인물이 확인된다.
견조씨(堅祖氏)는 『신찬성씨록』 에만 보이고, 견조씨가 조상이라고 주장한 견조위지(堅祖爲智)도 여기에만 보인다. 따라서 견조씨가 세운 조상도 의심스럽고 백제국(百濟國) 사람 견조위지(堅祖爲智)의 후손이라는 주장을 입증할 만한 기록이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견조씨(堅祖氏; 게무소시)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