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구리)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구리)
 오국(吳國) 사람 소군왕(小君王; 오키미와우)의 후손이다.
 
【주석】
1. 고향촌주(高向村主)
고향촌주는 우경(右京) 제번(하) 「고향촌주(高向村主)」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고향촌주의 고향(高向; 다카무쿠)이라는 씨명은 율령제 하내국(河內國) 금부군(錦部郡) 금부향(錦部鄕) 고향(高向; 다카무쿠)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대판부(大阪府) 하내(河內) 장야시(長野市) 고향(高向) 지역이다. 촌주는 고대 한국에서 족장(族長)을 의미하는 촌주라는 호칭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향촌주는 『신찬성씨록』 일문(逸文-10)에도 나오는데, 이것은 『신찬성씨록』 제23권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의 일문으로 〈판상계도(坂上系圖)〉 아지왕(阿智王)조에 인용된 것이다. 〈판상계도〉는 동한씨(東漢氏)의 대표적인 지족인 판상씨(坂上氏)가 9세기 중반에 작성한 것이다. 일문에는 “『신찬성씨록』 제23권에 이르기를, 아지왕은 예전천황(譽田天皇)[시호는 응신(應神; 오우진)이다.] 시대에 본국의 난을 피하여 어머니 및 처자, 동모제인 천흥덕(迁興德)과 일곱 성의 한인(漢人)을 이끌고 귀화하였다. 일곱 성의 첫 번째는 단(段)[고기(古記)에는 단광공(段光公), 자는 부등(富等)이라고 하였다. 어떤 책에서는 원성(員姓)이라고 하였다.]이다. 이는 고향촌주(高向村主), 고향사(高向史), 고향조사(高向調使), 평수(評首), 민사주수(民使主首) 등의 조상이다”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고향촌주는 7성의 한인의 필두에 기재되어 있다.
고향촌주 일족으로는 천평 5년(733) 「우경계장(右京計帳)」(『대일본고문서』 1-484)에 기재된 고향주촌인성(高向主村人成), 천평 10년(738) 「관인력명(官人歷名)」(『대일본고문서』24-84)에 보이는 고향촌주안마려(高向村主安麻呂), 『영락유문(寧樂遺文)』(下-635)에 수록된 천평보자 6년(762) 6월 5일 「장아함십보법경 권하 발어(天平寶字六年六月五日 長阿含十報法經卷下跋語)」 에 기재된 고향촌주동인(高向村主東人), 그리고 『평안유문(平安遺文)』(1-1) 「연력 6년(787) 3월 20일자 오백정녀왕가기진상(五百井女王家寄進狀)」 에 기재된 고향촌주제상(高向村主諸上)이 있다. 그러나 우경 제번(상) 「고향촌주」 조에 “위(魏) 무제(武帝)의 태자 문제(文帝)의 후손”이라 칭하는 고향촌주씨가 있으므로, 위에 기재한 고향촌주씨 일족 인명이 본조 고향촌주씨의 씨인이라 단정하기는 어렵다.
고향촌주는 우경 제번(하) 「고향촌주」 조(852) 참조.
2. 소군왕(小君王)
소군왕은 여기에만 보인다.
고향촌주(高向村主)는 오국(吳國) 사람 소군왕(小君王)의 후손이라 주장하고 있는데, 오국에는 소군왕이라는 왕 자체가 없다. 세운 조상 자체가 의심스럽고 고향촌주와 소군왕의 관계를 입증할 만한 자료가 「고기」 와 「구전」 등에 존재하지 않아 미정잡성에 기재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향촌주(高向村主; 다카무쿠노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8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