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지상량인(池上椋人; 이케노헤노쿠라히토)

지상량인(池上椋人; 이케노헤노쿠라히토)
 정중창태주부천황(渟中倉太珠敷天皇; 누나쿠라후토타마시키노스메라미코토)[시호는 민달(敏達; 비타츠)이다.]의 손자 백제왕(百濟王; 구다라노미코)의 후손이다.
 
【주석】
1. 지상량인(池上椋人)
지상씨(池上氏)는 좌경(左京) 황별(皇別) 「지상진인(池上眞人)」 조에도 게재되어 있다.
지상(池上; 이케노헤)이라는 씨명은 율령제하 대화국(大和國) 십시군(十市郡) 지상(池上; 이케노헤)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앵정시(櫻井市) 안배(安倍)와 향구산(香久山) 일대이다. 또한 양인(椋人)은 창고[倉; 구라] 관계 직무를 하는 직장을 담당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상량인 일족은 『고사기』 와 『일본서기』 등에는 보이지 않고 『영락유문(寧樂遺文)』(下-632)에 수록된 천평보자 5년(761) 9월 17일 「대법거다라니경 권6 발어(大法炬陀羅尼經卷六跋語)」 에 기재된 지상량인대성(池上椋人大成)과 지상량인정빈고(池上椋人淨濱古)등이 있다.
2. 정중창태주부천황(渟中倉太珠敷天皇)
정중창태주부천황은 제30대 천황(재위 572~585)이다. 중국식 시호는 민달천황이다. 『고사기』 에는 소명창태주부명(沼名倉太珠敷命; 누나쿠라노후토타마시키노스메라미코토)이라 기재되어 있다.
민달천황에 관해서는 좌경 황별 「노진인(路眞人)」 조(006) 민달천황 참조.
3. 백제왕(百濟王)
백제왕은 『일본서기』 서명천황(舒明天皇) 11년 7월조와 서명천황 12년 10월조에 보이는 백제천(百濟川), 백제궁(百濟宮)과 관련이 있다. 서명천황은 백제천변에 백제궁을 조영하여 살다가 서명천황 13년에 백제궁에서 죽었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서명천황이 ‘좌백제궁치천하천황(坐百濟宮治天下天皇)’, 또는 ‘백제궁어우천황(百濟宮御宇天皇)’이라고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하였다. 민달천황의 손자로 나오는 백제왕은 『고사기』 와 『일본서기』 에는 보이지 않는다.
백제왕에 대해서는 좌경(左京) 황별(皇別) 「대원진인(大原眞人)」 조(012) 백제왕 참조.
『고사기』 와 『일본서기』 등 사서류에는 민달천황의 자손 가운데 백제왕 자체가 보이지 않고, 지상량인도 『신찬성씨록』 에만 보인다. 따라서 민달천황의 손자 백제왕의 후손이라는 지상량인의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존재하지 않아 『신찬성씨록』 편찬국에서 미정잡성에 게재한 것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지상량인(池上椋人; 이케노헤노쿠라히토)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7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