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금부련(錦部連)

금부련(錦部連)
 삼선숙녜(三善宿禰)와 조상이 같으며, 백제국(百濟國) 속고대왕(速古大王)의 후손이다.
 
【주석】
1. 금부련(錦部連)
금부(錦部)의 씨명은 금직(錦織)이라고도 쓴다. 비단[錦]을 짜는 품부(品部)인 금부(錦部, 錦織部)의 반조씨족에서 유래한다. 이 씨족의 본거지는 하내국 금부군(錦部郡)과 동 약강군(若江郡) 금부향(錦部鄕) 지역이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팔미시(八尾市) 서부(西部) 혹은 하내장야시(河內長野市) 약강(若江) 일대이다.
『일본서기』천무기(天武紀) 10년(681) 4월조에 금직조소분(錦織造小分)에게 연(連)성을 내렸고, 동 천무 12년 9월조에도 금직조(錦織造)에게 연(連) 성을 주었다고 한다. 이 씨족은 일찍부터 수(首) 성 씨족으로 인명이 보인다. 『일본서기』 인덕기(仁德紀) 41년7월조에 금직수대석(錦織首大石), 동 추고기(推古紀) 18년(610) 10월조에 금직수구승(錦織首久僧), 동 서명기(舒明紀) 즉위년조(629)에 금직수적저(錦織首赤猪) 등이 있다. 금직씨가 수(首)에서 조(造), 연(連)으로 개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連) 성의 인명으로는 『속일본기』 대보(大寶) 원년(701) 정월조에 금직련도마려(錦織連道麻呂)가 있고, 동 화동(和銅) 6년(713) 정월조와 신귀(神龜) 4년(727) 정월조에 각각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금부련도마려(錦部連道麻呂), 금직련길미(錦織連吉美)가 있다. 동 보귀(寶龜) 5년(774) 11월조에는 대시(大市)의 첩 무위 금부련침어녀(錦部連針魚女)에게 외종5위하의 관위를 준 기록도 있다. 대시는 5일 전 종2위에서 정2위로 승진한 문실진인(文室眞人)이고, 첩은 일부다처제의 일본령에서는 2번째 부인이다. 동 연력(延曆) 5년(786) 정월조에는 금부련자계(錦部連姊繼)에게 무위에서 종5위하의 파격적인 관위를 내렸는데,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고 보인다. 동 연력 9년(790) 3월조에는 외종위하 금부련가수(錦部連家守)가 금부정(錦部正)에 보임되었다. 『일본후기』 연력 16년(797) 정월조에는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금부련춘인(錦部連春人)이 나온다. 평성궁 출토 목간에도 금부련진도(錦部連眞道)라는 인명이 보인다(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6, 『平城宮木簡』 1).
한편 『속일본기』 천평신호(天平神護) 원년(765) 12월 을사조에 하내국 금부군(錦部郡)의 금부비등석차(錦部毗登石次), 금부비등대도(錦部毗登大島), 금부비등진공(錦部毗登眞公), 금부비등고마려(錦部毗登高麻呂) 등 16인에게 금부련(錦部連)의 씨성을 주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연(連) 성을 받은 금부비등씨(錦部毗登氏)도 존재하고 있었다. 금부비등씨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하) 「삼선숙녜(三善宿禰)」 조(863) 참조.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5년(863) 9월조에는 “하내국(河內國) 금부군인(錦部郡人)목공권소속(木工權少屬) 종7위상 금부련안종(錦部連安宗)과 식부위자(式部位子) 정7위상 금부련삼종마려(錦部連三宗麻呂) 등의 본관을 좌경(左京)으로 옮겼다”라고 한다. 또 동 정관 9년(867) 4월조에 이 2인은 유량숙녜(惟良宿禰)의 씨성을 받았고, “그 선조는 백제국 사람이다(其先, 百濟國人也.)”라고 특기하고 있다. 『유취국사(類聚國史)』 99(敍位, 天長 9년 3월 을미조)에도 “산위 종7위하 유량숙녜춘도(惟良宿禰春道)에게 종5위하를 주었다”라고 하여 천장(天長) 9년(832) 3월에 이미 유량숙녜의 씨성을 갖고 있는 인물도 있었다. 유량숙녜씨 일족으로는 유량숙녜정도(惟良宿禰貞道, 『속일본후기』 天長 10년 11월조), 유량숙녜삼종마(惟良宿禰三宗麿, 『일본삼대실록』 天慶 원년 11월조), 유량숙녜고상(惟良宿禰高尙, 『일본삼대실록』 貞觀 17년 4월조) 등이 있다.
『정창원문서』 에도 금부련(錦織連)이라는 씨성으로 다수의 인명이 나온다. 천평승보(天平勝寶) 5년(753) 6월 15일부(『대일본고문서』 25-83)에 하내국(河內國) 약강군(若江郡)금직향(錦織鄕)의 호주인 금직련족국(錦織連簇國)과 그의 호구인 나이 19세 금직련길족(錦職連吉足)이 나온다. 천평 8년(736) 8월 26일 「내시사첩(內侍司牒)」(『대일본고문서』2-8)에 금부련천내(錦部連川內)가 나오고, 천평승보 원년(750) 8월 「경사상일장(經師上日帳)」(『대일본고문서』 4-394)에 금부련인성(錦部連人成)이 기록되어 있다. 또 천평승보 9년(757) 4월 7일 「서남각영해(西南角領解)」(『대일본고문서』4-227)에는 하내국 약광군 금부리(錦部里)의 호주 금부련족국(錦部連足國)과 나이 23세의 호구 금부련을만려(錦部連乙万呂)라는 인물이 보인다.
2. 삼선숙녜(三善宿禰)
삼선숙녜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하) 「삼선숙녜」 조(863) 참조.
3. 속고대왕(速古大王)
속고대왕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하) 「대구조(大丘造)」 조(790) 속고왕(速古王), 우경 제번(하) 「삼선숙녜」 조(863) 속고대왕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금부련(錦部連)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40_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