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영정숙녜(榮井宿禰; 사카이노스쿠네)

영정숙녜(榮井宿禰; 사카이노스쿠네)
 일치조(日置造; 헤키노미야츠코)와 조상이 같으며, 이리수사주(伊利須使主; 이리수오미)의 아들 마테신(麻▼{弖-丿+丨}臣)의 후손이다.
 
【주석】
1. 영정숙녜(榮井宿禰)
『속일본기』 보귀(寶龜) 8년(777) 4월조에 “종5위상 일치조사마려(日置造蓑麻呂) 등 8인에게 영정숙녜(榮井宿禰)의 성을 주었다.”라고 한다. 조(造)에서 숙녜(宿禰)로의 개성은 가바네의 서열에서 보면 파격적인 승진이다. 대체로 이 시기에 조(造)에서 숙녜의 성으로 개성된 씨족이 적지 않다. 일치조사마려(日置造蓑麻呂)는 일치사마려(日置蓑麻呂)라는 이름으로 천평(天平) 18년(746)부터 사경사로서 활동하고 있었다(『대일본고문서』8-575). 그는 천평 20년(748) 4월 25일부의 「사서소해(寫書所解)」(『대일본고문서』 3-79)에 나이가 36세이고 좌경 3조 3방의 호주인 일치조남성(日置造男成)의 호구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천평승보(天平勝寶) 2~3년에는 소초위하의 하급 관인으로(『대일본고문서』3-433), 동 천평승보 7년(755) 정월 10일에는 종8위상 단파원외목(丹波員外目)(『寧樂遺文』 下-616)으로 나온다. 그 후 천평보자(天平寶字) 2년(758) 8월부터 동 3년 3월까지 대내기(大內記)의 직에 있었고(『대일본고문서』 4-189), 동 3년 12월에는 내사조(內史助)로 옮겼다(『대일본고문서』 4-394, 395). 『속일본기』 천평보자 6년(762) 정월조에는 외종5위하로 단마개(丹波介)가 되었고, 동 천평신호 원년(765) 정월에는 종5위하, 동 신호경운 원년(767) 9월에는 종5위상에 서임되었다. 이어서 동 2년(768) 12월에는 단파수(丹波守)가 되어 지방 장관의 직위에 올랐다. 그는 보귀 원년(770) 8월에 도서두(圖書頭), 동 5년 3월에는 대학두(大學頭)가 되었다. 동 천응(天應) 원년(781) 4월에는 정5위하에 서임되고, 연력(延曆) 원년(782) 2월에는 조법화사(造法華寺) 장관이 되었다. 그가 80세 되던 해에 그의 학문과 품행을 칭송하며 후학들이 추천하여 시포미염(絁布米鹽)을 포상받았다. 일치조사마려의 다양한 경력, 그의 학문적, 인간적인 모습을 잘 보여 주는 기록이다. 이 외에 『속일본기』 신호경운(神護慶雲) 원년(767) 8월 계사조에는 이세수개(伊勢守介)정6위하 일치조통형(日置造通形)이 외종5위하로 승진한 기록이 보인다.
2. 일치조(日置造)
좌경 제번(하) 「일치조」 조(801), 대화국 제번 「일치조」 조(953) 참조.
3. 이리수사주(伊利須使主)
이리수사주는 이리수의미(伊利首意彌)와 같다. 좌경 제번(하) 「일치조」 조(801) 참조.
4. 마호신(麻▼{弖-丿+丨}臣)
이 인명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영정숙녜(榮井宿禰; 사카이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3_0010_0020_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