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시왕공(市往公; 이치유키노키미)

시왕공(市往公; 이치유키노키미)
 백제국(百濟國) 사람 명왕(明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시왕공(市往公)
시왕(市往)의 씨명은 시설(市雪)이라고도 표기한다.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시왕강(市往岡)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명일향촌강(明日香村岡)이다. 이 씨족의 인명은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2. 명왕(明王)
백제 제26대 성왕이며, 재위 기간은 523~553년까지이다. 무령왕의 자이며 위덕왕 여창의 부이다. 『일본서기』 에는 성명왕(聖明王)으로 표기되어 있다.
『일본서기』 흠명기(欽明紀)에는 신라에게 멸망한 가야의 부흥(임나부흥회의)을 위해 왜국과 인적 교류가 활발했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고, 선조인 속고왕(速古王), 귀수왕(貴首王)의 치세에 안라, 가라, 탁순 등 가야 제국과 우호관계를 맺고 자제관계를 맺었다고 하는 내용이 보인다. 동 흠명 13년에는 왜국에 노리사치계를 보내 금동불상, 경론 등을 보내 불교를 전파한 사실을 전하고 있다. 특히 동 흠명 14년 10월조에는 성왕이 신라군의 공격을 받아 관산성전투에서 위덕왕이 혜왕자를 보내 군사 외교를 추진하여 병력과 군수 물자를 지원받은 사실도 보인다. 일본 복강시(福岡市)의 원강(元岡)고분군 G-6호분에서 출토된 경인명(庚寅銘) 간지가 새겨진 대도의 명문에 따르면, 이 칼은 원가력에 따라 570년에 제작되고, 위덕왕 여창이 성왕이 관산성전투에서 전사할 당시 파병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북구주의 호족에게 보낸 것으로 생각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시왕공(市往公; 이치유키노키미)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40_0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