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하촌주(下村主; 시모노스구리)

하촌주(下村主; 시모노스구리)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7세손 신근왕(愼近王)으로부터 나왔다.
 
【주석】
1. 하촌주(下村主)
하(下; 시모)의 씨명은 하내국(河內國) 안숙군(安宿郡) 자모향(資母鄕; 시모향)의 지명에서 유래한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백원시(柏原市) 국분정(國分町) 일대이다.
하촌주(下村主)의 옛 성은 하내수인도자작(河內手人刀自作) 혹은 조(鳥)이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4년(720) 6월 무신조에 하내국 약강군(若江郡) 사람 정8위상 하내수인도자작광마려(河內手人刀子作廣麻呂)가 하촌주(下村主)로 개성했다고 나온다. 동 천평(天平) 6년(734) 12월 병신조에는 외종5위하 조안마(鳥安麿)가 하촌주의 씨성을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촌주씨 일족으로는 하촌주광마려(下村主廣麻呂, 『寧樂遺文』 下-618), 하촌주통세부마(下村主通世部麿, 동下-613), 하촌주백녀(下村主白女, 『속일본기』 天平 14년 10월 무자조),하촌주인장(下村主人長, 천평 19년 11월 12일자 「寫疏所解」, 『大日本古文書』 2-715), 하촌주도주(下村主道主, 천평 20년 8월 「經師等上日帳」, 동 10-338), 하촌주제충매(下村主弟虫賣, 천평승보 6년 9월 29일 「大般若波羅蜜多經卷429跋語」, 동 25-174), 하촌정족(下村淨足, 신호경운 원년 「阿彌陀悔過知識交名」,동17-113), 하촌주씨성(下村主氏成, 『속일본후기』 承和 3년 윤5월 계사조), 하촌주삼중(下村主三仲, 상동), 하촌주백자(下村主白子, 貞觀 4년 2월 23일자 「檢非違使移」, 『政事要略』 81), 하촌주동자녀(下村主童子女, 『平安遺文』 1-233), 하촌주도자녀(下村主刀自女, 동 1-233) 등이 있다.
평성궁 출토 목간에도 하촌주정도(下村主淨道)의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1967, 『平城宮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4).
2. 광무제(光武帝)
『속일본후기』 승화 3년(836) 윤5월 계사조에 하내국(河內國) 사람 하촌주씨성(下村主氏成), 하촌주삼중(下村主三仲) 등이 춘롱숙녜(春瀧宿禰)의 씨성을 받고 그 선조가 후한 광무제의 후손이라고 한다. 일족으로는 춘롱숙녜춘악(春瀧宿禰春岳)(『日本三代實錄』 元慶 3년 12월 병오조)이 있다.
3. 신근왕(愼近王)
신근왕에 대해서는 좌경 제번(상) 「하촌주」 조(772)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하촌주(下村主; 시모노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