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평전숙녜(平田宿禰; 히라타노스쿠네)

평전숙녜(平田宿禰; 히라타노스쿠네)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사카노우헤노오스쿠네)와 조상이 같으며, 도하직(都賀直; 츠카노아타이)의 5세손 색부직(色夫直; 시코후노아타이)의 후손이다.
 
【주석】
1. 평전숙녜(平田宿禰)
평전(平田)의 씨명은 매전(枚田)이라고도 쓴다. 평전숙녜의 옛 성은 기촌(忌寸)이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4년(785) 6월에 판상씨(坂上氏) 등 동족과 함께 숙녜의 성을 받았다. 평전숙녜의 일족으로는 『속일본기』 천평(天平) 12년(740) 11월 갑진조에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로 승진한 장전기촌안마려(杖田忌寸安麻呂)가 있고, 천평승보(天平勝寶)6년(754) 9월 29일부 「대반야경(大般若經) 제425 오서(奧書)」(『대일본고문서』 25-173)에는 장전기촌안마려(杖田忌寸安麻呂)가 나온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6년(787) 6월 신축조에는 정6위상 평전기촌장마려(平田忌寸杖麻呂)가 평전숙녜(平田宿禰)로 개성하였다고 한다.
『평안유문(平安遺文)』 연희(延喜) 11년(911) 3월 23일부 「평전복도자자가지충문안(平田福刀自子家地充文案)」 (1-136)에는 평전숙녜전매환(平田宿禰全妹丸), 평전숙녜복도자자(平田宿禰福刀自子), 평전숙녜고웅(平田宿禰高雄), 평전숙녜상범(平田宿禰常範), 평전숙녜안범(平田宿禰安範) 등의 이름이 열기되어 있다.
한편 『일본문덕천황실록』 천안(天安) 원년(857) 정월에 평전기촌씨(平田忌寸氏)는 기촌이 이미길(伊美吉)로 개성되었다. 이때의 개성은 표기법의 수정 때문으로 보인다.
2.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판상대숙녜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 참조.
3. 도하직(都賀直)
도하직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회원숙녜」 조(813) 참조.
4. 색부직(色夫直)
이 인명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평전숙녜(平田宿禰; 히라타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