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내장숙녜(內藏宿禰; 구라이노스쿠네)

내장숙녜(內藏宿禰; 구라이노스쿠네)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사카노우헤노오스쿠네)와 조상이 같으며, 도하직(都賀直; 츠카노아타이)의 4세손 동인직(東人直; 아즈마히토노아타이)의 후손이다.
 
【주석】
1. 내장숙녜(內藏宿禰)
내장(內藏)의 씨명은 조정에서 왕실의 재물을 취급하는 내장의 관리자로부터 유래한다. 내장씨의 옛 성은 기촌(忌寸)이다. 『속일본기』 연력(延曆) 4년(785) 6월 계유조에 판상씨, 내장씨 등은10씨가 숙녜(宿禰) 성을 받았다.
『고사기』이중천황단(履中天皇段)에 “천황이 아지직(阿知直)을 처음으로 장관(藏官)에 임명하고 영지를 주었다”라고 한다. 『고어습유(古語拾遺)』 이중천황조에도 “제국의 공조(貢調)가 매년 차고 넘쳐 다시 대장(大藏)을 세우고, 소아마지숙녜(蘇我麻智宿禰)에게 삼장(三藏, 齋藏·內藏·大藏)을 감독시켰다”라는 전승이 보인다.
내장숙녜씨의 일족으로는 『정창원문서』 에 다수 확인된다. 천평(天平) 6년 5월 1일부「조불소작물장(造佛所作物帳)」(『대일본고문서』1-553)의 내장이미길로인(內藏伊美吉老人),천평 17년 4월 21일부 「사인감사정량신청해(舍人監仕丁糧申請解)」(동 24-66)의 내장이미길흑인(內藏伊美吉黑人), 천평 17년 10월 21일부 「대장성이(大藏省移)」(동 2-477)의 내장기촌승마려(內藏忌寸繩麻呂), 천평승보(天平勝寶) 6년(754) 4월 5일부 「사경잡물출납장(寫經雜物出納帳)」(동 4-33) 등이 있다.
숙녜 성의 인명으로 『일본후기』 연력(延曆) 16년(797) 정월 기유조에 주계조(主計助)에 보임된 내장숙녜하무마려(內藏宿禰賀茂麻呂)와 『속일본후기』승화(承和) 5년(838)11월 계미조에 종5위상에서 종4위하로 승진한 내장숙녜영자(內藏宿禰影子)가 있다. 한편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6년 7월 계미조에는 우경인(右京人) 산위 종4위하 내장숙녜영자(內藏宿禰影子), 우문위대위(右衛門大尉) 정6위상 내장숙녜고수(內藏宿禰高守) 등 남녀 12인에게 내장조신(內藏朝臣)의 성을 주었다고 한다. 이들의 원조(遠祖)는 후한 영제의 후예라고 한다.
2.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판상대숙녜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판상대숙녜(坂上大宿禰)」 조(812) 참조.
3. 도하직(都賀直)
도하직에 대해서는 우경 제번(상) 「회원숙녜」 조(813) 참조.
4. 동인직(東人直)
〈단파씨계도(丹波氏系圖)〉에는 도하직(都賀直, 都賀使主)에 해당하는 고귀왕(高貴王) 3세손으로 동인(東人)을 싣고, 내장조(內藏祖)라고 기록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내장숙녜(內藏宿禰; 구라이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