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모좌촌주(牟佐村主; 무사노스구리)

모좌촌주(牟佐村主; 무사노스구리)
 오(吳) 손권(孫權)의 아들 고(高)로부터 나왔다.
 
【주석】
1. 모좌촌주(牟佐村主)
모좌(牟佐)의 씨명은 신협(身狹)이라고도 쓴다. 『일본서기』흠명기(欽明紀) 17년(556)10월조에 “소아대신(蘇我大臣) 도목숙녜(稻目宿禰) 등을 왜국의 고시군(高市郡)에 한인(韓人) 대신협둔창(大身狹屯倉), 고려인 소신협둔창(小身狹屯倉)을 설치하였다”라고 하는 신협둔창 지역이다. 동 천무기(天武紀) 원년(672) 7월조에도 신협사(身狹社)가 나오고, 『연희식(延喜式)』 신명장(神名帳),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 조에 보이는 모좌좌신사(牟佐坐神社)의진좌지(鎭座地) 지명에서유래한다. 현재나량현(奈良縣) 강원시(橿原市) 견뢰정(見瀨町)에 해당한다.
모좌촌주씨의 일족으로는 『일본서기』 웅략기(雄略紀) 2년(458) 10월(是月)조에 사부(史部) 신협촌주청(身狹村主靑)이 나오고, 『속일본기』 화동(和銅) 3년(710) 7월조에 보이는 좌대신(左大臣)의 사인(舍人) 모좌촌주상모(牟佐村主相摸)는 일족이다. 또 「기이국진천향간전매권(紀伊國眞川鄕墾田賣券)」(『평안유문(平安遺文)』 1-112)에도 모좌촌주(牟佐村主, 闕名)의 인명이 보인다. 무성(無姓)의 인물로는 모좌인성(牟佐人成)(『대일본고문서』14-40)이 있다.
2. 손건(孫權)
삼국 시대 오나라 초대 황제로, 재위 기간은 229~252년까지이다.
3. 고(高)
고(高)는 손등(孫登)이고 자는 자고(子高)이며, 삼국 시대 오왕 손권의 장남이다. 건안(建安) 14년(209)에 출생하여 적오(赤烏) 4년(241)에 사망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모좌촌주(牟佐村主; 무사노스구리)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2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