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청종숙녜(淸宗宿禰; 기요무네노스쿠네)

청종숙녜(淸宗宿禰; 기요무네노스쿠네)
 당인(唐人) 정5위하 이원환(李元環)의 후손이다.
 
【주석】
1. 청종숙녜(淸宗宿禰)
『속일본기』 천평보자(天平寶字) 5년(761) 12월조에 당인(唐人) 종5위하 이원환(李元環)이 이기촌(李忌寸)의 씨성을 받았다고 한다. 청종숙녜의 옛 성은 이(李)이다. 청종숙녜(淸宗宿禰)의 일족에 대해서는 기타의 사료에는 보이지 않는다.
2. 이원환(李元環)
『속일본기』 천평승보(天平勝寶) 2년(750) 2월조에 당인(唐人) 정6위상 이원환(李元環)에게 외종5위하를 주었으며, 천평보자 5년(761) 12월에 당인 외종5위하 이원환에게 이기촌(李忌寸)의 성을 내렸다는 기사가 보인다. 동 천평보자 7년(763) 정월조에 외종5위하 이기촌원환(李忌寸元環)을 직부정(織部正)으로 삼고 출운개(出雲介)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직부정은 율령제하에서 대장성에 소속되어 금(錦), 능(綾) 등의 직물과 염색 등을 담당하던 관부이다. 이때 출운국의 국사도 겸임하였다. 천평신호(天平神護) 2년(766) 10월조에는 종5위하에서 종5위상으로 진급하고, 사리 봉안식에서 당악을 연주하였다. 보귀(寶龜) 2년(771) 11월에는 정5위하로 진급하였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청종숙녜의 씨성을 내린 것을 사료에서 확인할 수 없지만, 연력(延曆) 11년(792) 이후의 연력 연간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청종숙녜(淸宗宿禰; 기요무네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20_0010_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