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토사숙녜(土師宿禰; 하지노스쿠네)

#천손(天孫)
토사숙녜(土師宿禰; 하지노스쿠네)
 추조조신(秋篠朝臣; 아키시노마오미)과 조상이 같으며, 천수일명(天穗日命; 아메노호히노미코토)의 10세손 야견숙녜(野見宿禰; 노미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토사숙녜(土師宿禰)
토사(土師)라는 씨명은 하니와 등 토기의 제작 및 장례·능묘 관리를 담당한 토사부의 반조씨족이었던 사실에서 유래한다. 토사숙녜씨의 옛 성은 연(連)이다. 『일본서기』 천무 13년(684) 12월에 숙녜 성을 사성받았다.
토사숙녜씨 일족으로는 천평 9년(737) 「화천감정세장(和泉監正稅帳)」(『대일본고문서』2-80)의 토사숙녜광빈(土師宿禰廣濱)이 있다. 그는 화천감주정(和泉監主政)이었다. 한편 『속일본후기』 승화 10년(843) 12월 계미조에 원흥사 승려인 수인(守印)이 나오는데, 속성이 토사씨인 화천감 사람인 것으로 보아 본조 토사숙녜의 일족이었을 것이다.
2. 추조조신(秋篠朝臣)
추조조신의 본래 씨성은 토사숙녜(土師宿禰)였으며, 추조숙녜(秋篠宿禰)가 되었다가 다시 추조조신이 되었다. 우경 신별(하) 「추조조신」 조(458) 참조.
3. 천수일명(天穗日命)
『고사기』 와 『일본서기』 의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서, 출운신(出雲臣), 무장국조(武藏國造), 토사련(土師連) 등의 원조(遠祖)로 전한다. 좌경 신별(중) 「출운숙녜」 조(393) 참조.
4. 야견숙녜(野見宿禰)
토사씨(土師氏)의 조상으로 『일본서기』 등에 보인다. 아타승(阿陀勝), 내일전유수명(來日田維穗命)의 아버지이다. 산성국 신별 「토사숙녜」 조(515)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토사숙녜(土師宿禰; 하지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80_0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