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중신고량비련(中臣高良比連; 나카토미노타카라히노무라지)

중신고량비련(中臣高良比連; 나카토미노타카라히노무라지)
 진속혼명(津速魂命; 츠하야무스비노미코토)의 13세손인 신협산명(臣狹山命; 오미사야마토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중신고량비련(中臣高良比連)
중신고량비(中臣高良比; 나카토미노타카히)라는 씨명 가운데 고량비는 하내국 단비군에 있었던 지명과 관련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명확한 것은 알 수 없다.
중신고량비련씨 일족으로는 천평 5년(733) 윤3월 6일자 「월전국군도장(越前國郡稻帳)」(『대일본고문서』 1-462)의 중신고량비련신라(中臣高良比連新羅), 『이소태신궁례문(二所太神宮例文)』 대궁사차제(大宮司次第)조 신귀 3년(726) 3월 1일자에 고량비련천상(高良比連千上)이 있다. 특히 고량비련천상은 『태신궁제잡사기(太神宮諸雜事記)』(제1)의 종7위하 촌산련풍가(村山連豐家)와 동모이부(同母異父)의 형제지간이다. 천상과 풍가가 형제이면서 씨명이 다른 이유이다.
* 『태신궁제잡사기(太神宮諸雜事記)』
이세신궁과 관련된 기본 사료로서 전체 2권으로 되어 있다. 제1권은 수인천황(垂仁天皇) 25년부터 후일조천황(後一條天皇) 장원(長元) 8년(1035) 9월까지 58대에 걸친 관련 기사를 모은 것이다. 제2권은 후주작천황(後朱雀天皇) 장력(長曆) 원년(1037)부터 후삼조천황(後三條天皇) 연구 원년(1069) 11월까지 3대에 걸쳐 기록된 것이 정리되어 있다.
2. 진속혼명(津速魂命)
『고어습유』 에는 진속산령신(津速産靈神)으로 나오며, 중신조신 등의 조상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좌경 신별(상) 「등원조신(藤原朝臣)」 조(336) 참조.
3. 신협산명(臣狹山命)
『속일본기』 천응(天應) 원년(781) 7월 계유조에는 의미좌야마(意美佐夜麻; 오미사야마)로 나온다. 좌경 신별(상) 「중신주인숙녜(中臣酒人宿禰)」 조(338) 신협산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신고량비련(中臣高良比連; 나카토미노타카라히노무라지)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7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