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좌야부수(佐夜部首; 사야베노오비토)

좌야부수(佐夜部首; 사야베노오비토)
 위와 같다.
 
【주석】
1. 좌야부수(佐夜部首)
좌야부(佐夜部; 사야베)라는 씨명은 자대부(子代部)라고 간주되는 좌야부(佐野部; 사야베)가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연유한 것이라 추정된다. 『일본서기』 대화(大化) 2년(646)정월 10월조 혹본에 난파(難波) 협옥부읍(狹屋部邑; 사야베노무라)의 자대둔창(子代屯倉)을 헐어 행궁을 세웠다고 적혀 있다. 『화명유취초』 에서는 섭진국 서성군(西成郡) 찬양향(讚楊鄕)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곳은 현재 대판시(大阪市) 내고진(內高津) 지역이다.
좌야부수(佐夜部首) 일족으로는 『속일본후기』 승화(承和) 6년(839) 10월 정묘조 등에 나오는 섭진국인 직강박사(直講博士) 종6위하 좌야부수영주(佐夜部首穎主)에게 선우조신(善友朝臣)이라는 성을 주고 좌경 4조 2방에 부관하였다. 『일본문덕천황실록』 인수(仁壽) 원년(851) 6월 경오조 영주의 졸전에서 섭진권개(攝津權介) 종5위하 선우조신영주의 졸전에서 영주가 승화 4년 3월에 직강이 되고, 8년 5월에 조교가 되고, 14년 2월에 박사가 되었다. 또 영주의 원래 성은 좌야부수(佐夜部首)이고 선우조신으로 개성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2. 동상(同上)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이향아색웅명의 후손이다(伊香我色雄命之後也.)”라고 적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손본기에 이향색웅명(伊香色雄命)이 아들 십시근명(十市根命)의 아들로 물부인기미련공(物部印岐美連公)을 들고 물부인기미련공, 지기현주(志紀縣主), 원강국조(遠江國造), 구노직(久努直), 좌야직(佐夜直)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또 십시근명의 형 대신하명의 아들로 물부대소목련공(物部大小木連公)을 들고 물부대소목련공은 좌야부직(佐夜部直), 구노직(久努直) 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이들 기사에 의거하면 좌야직, 좌야부직은 본조의 좌야부수씨와 관계가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좌야부수(佐夜部首; 사야베노오비토)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6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