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토사숙녜(土師宿禰; 하지노스쿠네)

토사숙녜(土師宿禰; 하지노스쿠네)
 추조조신(秋篠朝臣; 아키시노아오미)과 조상이 같으며 천수일명(天穗日命; 아메노호히노미코토)의 12세손 가미건반근명(可美乾飯根命; 우마시카라히네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토사숙녜(土師宿禰)
토사(土師; 하지)라는 씨명은 식륜(埴輪) 등의 토기를 제작하고 장례와 능묘 등을 관리하는 토사부의 반조씨족이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4) 12월 기묘조에는 대판련(大判連) 이하 50씨에게 숙녜 성을 주었는데 토사련(土師連)도 이때 숙녜 성을 받았다. 토사숙녜는 우경 신별(하), 산성국 신별, 화천국 신별에도 기재되어 있다.
토사숙녜 일족은 우경 신별(하) 「토사숙녜」 조(456) 참조.
2. 추조조신(秋篠朝臣)
『속일본기』 연력(延曆) 원년(782) 5월 계묘조에는 소내기(少內記) 정8위상 토사숙녜안인(土師宿禰安人) 등이 개성을 청원함에 따라 거주지명에 의거하여 추조(秋篠; 아키)라는 성을 주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추조는 대화국 첨하군(添下郡) 추조(秋篠; 아키)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생구군(生駒郡) 일대이다. 추조씨는 연력 9년(790) 12월에 숙녜에서 조신이라는 성으로 개성하였다.
추조조신(秋篠朝臣)에 관해서는 우경 신별(하) 「추조조신」 조(458) 참조.
3. 천수일명(天穗日命)
천수일명은 『일본서기』 신대(상) 제6단에 보인다. 소잔명존이 천조대신의 머리와 팔에 걸친 옥구슬을 꿴 것에 천진명정의 물을 끼얹고 어금니로 씹은 후 안개처럼 뿜어서 5명의 남신을 만들어 내었다. 그중 한 신으로 천수일명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분주에 출운신(出雲臣), 토사련(土師連) 등의 조상이라고 적고 있다. 천지보비능명(天之菩卑能命; 아메노호히노미코토), 천보비신(天菩比神; 아메노호히노미코토) 등으로도 쓴다. 이름에 나오는 ‘호히’를 ‘수령(穗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도수(稻穗)의 신이라고 간주하는 설과 ‘화일(火日)’을 의미한다고 보고 태양신(太陽神)이라 간주하는 설이 있다. 농업신(農業神), 도수의 신, 양잠의 신, 목면의 신, 산업의 신 등으로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
좌경 신별(중) 「출운숙녜(出雲宿禰)」 조(393) 천수일명 참조.
4. 가미건반근명(可美乾飯根命)
『일본서기』 숭신천황(崇神天皇) 60년 7월 기유조에서는 감미한일협(甘美韓日狹; 우마시카라히사)으로 나온다. 섭진국 신별 「토사련」 조에는 “천손일명(天穗日命)의 12세손 반입근명(飯入根命; 이히이리네노미코토)의 후손”이라고 적혀 있고, 우경 신별(하) 「토사숙녜」조에는 “천수일명(天穗日命; 아메노호히노미코토)의 12세손 가미건반근명(可美乾飯根命; 우마시카라히네노미코토)”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가미건반근명(반입근명)은 토사련의 조상으로 나온다.
가미건반근명(可美乾飯根命)에 관해서는 우경 신별(하) 「토사숙녜」 조(456) 가미건반근명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토사숙녜(土師宿禰; 하지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50_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