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아다준인(阿多隼人; 아타노하야히토)

아다준인(阿多隼人; 아타노하야히토)
 부내수좌리내명(富乃須佐利乃命; 호노스사리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아다준인(阿多隼人)
아다(阿多)라는 씨명은 율령제에서의 살마국(薩摩國) 아다군(阿多郡) 아다향(阿多鄕)의 지명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녹아도현(鹿兒島縣) 일치군(日置郡) 아다(阿多) 및 가세전시(加世田市) 일대이다. 준인(隼人)은 그 지역에 살고 있던 이민족에 대한 명칭이었다.
아다준인이라는 씨명을 가진 인물로는 아다준인역족(阿多隼人逆足, 『續日本後紀』 承和 3년 6월 임자조)이 있다. 역족은 836년에 아다기촌(阿多忌寸)이라는 성을 받았다(『續日本後紀』 承和 3년 6월 임자조)
아다준인씨는 근강국(近江國) 자하군(滋賀郡) 고시향(古市鄕), 즉 현재의 자하현(滋賀縣) 대진시(大津市) 선소(膳所) 일대에서도 확인된다. 아다준인을마려(阿多隼人乙麻呂, 天平 14년 「近江國志何郡古市鄕計帳」, 『대일본고문서』2-328), 아다준인동인(阿多隼人東人, 상동 2-329), 아다준인가도기(阿多隼人加都伎, 상동 2-329), 아다준인도자매(阿多隼人刀自賣, 상동 2-329) 등이 있는데, 본조의 아다준인과 동족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산성국(山城國)의 아다군씨(阿多君氏)는 본조의 아다준인과 동족이며 본종가였을 가능성이 있다. 아다군고매(阿多君古賣, 연대 미상 「山背國隼人計帳」 1-648). 아다군(阿多君, 阿田君)의 조상에 대해서는, 화란강명(火闌降命)이 오전군소교(吾田君小橋) 등의 조상으로 보인다(『日本書紀』 神代 下 제10단).
2. 부내수좌리내명(富乃須佐利乃命)
화란강명(火闌降命), 화초근명(火酢芹命), 화진명(火進命)이라고 표기된다. 『일본서기』신대 하 제9단에 하늘에서 내려온 황손(皇孫)이 그 지역의 아름다운 미인인 녹위진희(鹿葦津姬, 神吾田津姬, 木花之開耶姬)와 하룻밤을 지내고 낳은 자식이 화란강명인데 곧 준인(隼人) 등의 시조라고 하였다. 이 화란강명이 아우 언화화출현존(彦火火出見尊)과 해행산행(海幸山幸)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고사기』 목화지좌구야비매단(木花之佐久夜毘賣段)에서는, 준인아다군(隼人阿多君)의 조상을 화수세리명(火須勢理命, 富乃須佐利乃命)의 형인 화조명(火照命)이라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다준인(阿多隼人; 아타노하야히토)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