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고교련(高橋連; 다카하시노무라)

고교련(高橋連; 다카하시노무라)
 같은 신의 12세손인 소전숙녜(小前宿禰; 워마헤노스쿠네)의 후손이다.
 
【주석】
1. 고교련(高橋連)
고교(高橋; 다카하시)라는 씨명은 고의(高椅; 다카하시)라고도 표기하며, 『고사기』 와 『일본서기』 에 보이는 고교(高橋)라는 지명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나량현(奈良縣) 천리시(天理市) 역본정(櫟本町) 일대이다. 숭신천황 때 고교읍(高橋邑) 사람 활목(活日; 이쿠히)으로 하여금 대신(大神)의 술을 관장하는 일을 맡도록 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다만 본조 고교련씨의 본거지는 고교신사(高橋神社)가 위치한 산성국(山城國) 애탕군(愛宕郡), 즉 현재의 경도시(京都市) 상경구(上京區) 어전통(御前通) 일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延喜式』 神名帳).
고교련이라는 씨성을 가진 인물에 대해서는 우경 신별(상) 「고교련」 조(425) 참조. 같은 지역에서 확인되는 고교기촌(高橋忌寸) 일족은 도래계 씨족으로서 별개의 씨족으로 생각된다.
2. 동신(同神)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요속일명(饒速日命)으로 되어 있었을 것이다.
3. 소전숙녜(小前宿禰)
물부소전숙녜련공(物部小前宿禰連公)이라고도 표기하며, 『신찬성씨록』 에서는 고교련(高橋連), 조견련(鳥見連), 등미련(登美連)의 조상으로 되어 있다. 『선대구사본기』 에서는 요속일명(饒速日命)의 11세손으로 전부련(田部連) 등의 조상이라고 하였다(『先代舊事本紀』 天孫本紀). 그의 형은 물부대전숙녜(物部大前宿禰)로 맥입숙녜(麥入宿禰)의 아들이고 빙련(氷連)의 조상이라고 하였다.
다만 『고사기(古事記)』 윤공천황단(允恭天皇段)에는, 경태자(輕太子, 『일본서기』 에서는 木梨輕皇子)가 친누이인 경대낭황녀(輕大是娘皇女)와 정을 통한 것이 발단이 되어 신하들이 혈수왕자(穴穗王子)를 따르게 되자, 이를 두려워하여 대전소전숙녜대신(大前小前宿禰大臣)의 집으로 도망쳤다는 내용이 보인다. 같은 사건에 대하여 『일본서기』 안강(安康) 즉위전기에 태자였던 목리경황자가 신하들이 따르지 않고 백성들이 이반한 것을 알고 물부대전숙녜(物部大前宿禰)의 집에 숨었다가 그곳에서 자결하였다는 내용이 보인다. 이처럼 『고사기』 에서는 물부대전소전숙녜가 한 사람의 이름처럼 기록되었고 『일본서기』 에서는 물부대전숙녜만 보이기 때문에, 물부소전숙녜가 실존한 인물인지 의문스럽다.
한편 『선대구사본기』 에는 요속일명(饒速日命)의 12세손인 물부목련자련공(物部木蓮子連公)의 아들 중에 물부건언련공(物部建彦連公)이 있는데, 이 인물이 고교련(高橋連)·입야련(立野連)의 조상이라고 하여, 물부소전숙녜를 시조로 하는 고교련과는 다른 계통의 고교련씨가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교련(高橋連; 다카하시노무라)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4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