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팔목조(八木造; 야기노미야츠코)

팔목조(八木造; 야기노미야츠코)
 화다라풍명(和多羅豐命; 와타라토요노미코토)의 아들 포류다마내명(布留多摩乃命; 후루타마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팔목조(八木造)
팔목(八木; 야기)이라는 씨명은 양의(陽疑; 야기). 양귀(楊貴; 야기). 양지(陽枳; 야기), 시목(矢木; 야기) 등으로도 표기한다. 「서남각령해(西南角領解)」(4-228, 天平勝寶 9년 4월 7일자)에 보이는 하내국(河內國) 화천군(和泉郡) 팔목향(八木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대판부(大阪府) 안화전시(岸和田市) 팔목정(八木町) 일대이다. 그러나 나량현(奈良縣) 강원시(橿原市) 팔목정(八木町)에 팔목사(八木寺) 폐사지가 있고, 그 창건 시기가 나량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므로, 이 절을 씨사(氏寺)로 하여 팔목씨 일족이 활동하였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야기노미야츠코’라는 씨성을 가진 사람으로, 양의조풍성녀(陽疑造豐成女, 『續日本紀』寶龜 6년 정월 辛酉條), 팔목조대정마려(八木造大庭麻呂, 天長 10년 3월 4일자 「八木造大庭麻呂墾田賣券寫」, 『平安遺文』 1-40), 팔목조(八木造, 이름이 없음, 『平安遺文』 1-40), 팔목조광정(八木造廣庭, 상동)이 있다. 또 팔목궁주(八木宮主, 寶龜 2년 정월 29일자 「봉사일체경료묵지필용장(奉寫一切經料墨紙筆用帳)」, 『대일본고문서』 6-32)는 양지궁주(陽枳宮主, 寶龜 원년 12월 19일 「봉사일체경료묵지필용장」, 『대일본고문서』 6-31 등), 시목궁주(矢木宮主, 寶龜 2년 3월 29일 「봉사일체경소해(奉寫一切經所解)」, 『대일본고문서』 18-258)로 나타나는데, 조(造)라는 성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2. 화다라풍명(和多羅豐命)
여기에만 보인다. 화다랑풍명(和多羅豐命)의 ‘나(羅)’는 ‘죄(罪)’의 오기이며 ‘풍(豐)’ 다음에 ‘옥언(玉彦)’ 2글자가 탈락된 것으로 보고 원래 이름이 ‘화다죄풍옥언명(和多罪豐玉彦命)’이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교본도언(橋本稻彦)의 『정정신찬성씨록(訂正新撰姓氏錄)』 에서는 화다죄풍옥언명(和多罪豐玉彦命)이라고 하였다.
3. 포류다마내명(布留多摩乃命)
여기에만 보인다. 현재 대판부(大阪府) 안화전시(岸和田市) 야응신사(夜凝神社)에서 팔목씨(八木氏)의 조상신으로 모시고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팔목조(八木造; 야기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30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