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육인부(六人部; 무토리베)

육인부(六人部; 무토리베)
 위와 같다.
 
【주석】
1. 육인부(六人部)
육인부(六人部)라는 씨명은 신인부(身人部)라고도 쓰며, 육인부의 반조씨족 혹은 육인부의 후예인 것으로 생각된다. 육인부의 직무에 대해서는 천황의 신장을 재는 일을 담당하였다고 보는 견해(鈴木重胤, 栗田寬), 수부(水部)·수취부(水取部)·주수부(主水部, 母止理部)·호부(戸部)·삼호부(三戸部)·삼부부(三富部)와 같은 뜻이며 물을 긷는 일(水取; 모히토리)을 담당한다고 보는 견해, 정확한 직무를 알 수 없다고 보는 견해(太田亮)가 있다. 육인부와 관련이 있는 씨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61右京  神別 天孫 尾張連火明命五世孫武礪目命之後也
462右京  神別 天孫 伊与部同上
463右京  神別 天孫 六人部同上
515山城國 神別 天孫 土師宿禰天穗日命十四世孫野見宿禰之後也
516山城國 神別 天孫 出雲臣同神子天日名鳥命之後也
517山城國 神別 天孫 出雲臣同天穗日命之後也
518山城國 神別 天孫 尾張連火明命子天香山命之後也
519山城國 神別 天孫 六人部連火明命之後也
520山城國 神別 天孫 伊福部同上
521山城國 神別 天孫 石作同上
522山城國 神別 天孫 水主直同上
523山城國 神別 天孫 三富部同上
596攝津國 神別 天孫 津守宿禰尾張宿禰同祖火明命八世孫大御日足尼之後也
597攝津國 神別 天孫 六人部連同神五世孫建刀米命之後也
598攝津國 神別 天孫 石作連同神六世孫武椀根命之後也
599攝津國 神別 天孫 蝮部同神十一世孫蝮王部犬手之後也
560攝津國 神別 天孫 刑部首同神十七世孫屋主宿禰之後也
561攝津國 神別 天孫 津守火明命之後也
1057和泉國 諸蕃 百濟 百濟公出自百濟國酒王也
1058和泉國 諸蕃 百濟 六人部連百濟公同祖酒王之後也
1059和泉國 諸蕃 百濟 錦部連三善宿禰同祖
1060和泉國 諸蕃 百濟 信太首百濟國人百千之後也
1061和泉國 諸蕃 百濟 取石造出自百濟國人阿麻意彌也

이상의 자료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육인부(련)의 시조에 대한 전승은 첫째, 화명명의 5세손인 무려목명(武礪目命) 혹은 건도미명(建刀米命)과 둘째, 백제 주왕(酒王)의 두 계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육인부는 천황과 직접적인 연관을 찾기 어렵고, 오히려 석작(石作)·취석(取石)과 같이 석재를 취급하는 집단이나 미장련·진수련과 가까운 씨족임을 알 수 있다. 진수는 나루를 관장하는 씨족[津守; 츠모리]이 아니라 흙을 쌓는 일을 맡은 집단[土盛; 츠치모리]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육인부씨 일족으로는 육인부내지좌(六人部奈支佐, 天平 6년 11월 「知識經大智度論卷三十五跋語」 『日本寫經綜鑒』 273 등), 육인부대도(六人部大島, 天平 10년 12월 1일자 「寫經司解」, 『대일본고문서』 7-196 등), 육인부황각(六人部荒角, 天平 19년 12월 「寫經疏間紙充装潢帳」, 『대일본고문서』9-527 등), 육인부전인(六人部田人, 天平 20년경 「六人部田人寫經試字」, 『대일본고문서』 11-111), 육인부약(六人部藥, 『續日本紀』 天平勝寶 7년 정월 갑술조 등), 육인부진주(六人部眞主, 天平勝寶 7년 9월 28일자 「班田司歷名」, 『대일본고문서』4-83), 육인부도지(六人部稻持, 天平寶字 4년 10월 「作金堂所解」, 『대일본고문서』 16-309), 육인부도계(六人部島繼, 天平寶字 6년 윤12월 8일자 「奉寫御執經所牒」, 『대일본고문서』」5-332 등), 육인부광립(六人部廣立, 神護景雲 2년 11월 25일자 「造東大寺司牒」, 『대일본고문서』 17-183), 육인부석도(六人部石島, 「襪墨書銘」, 『正倉院寶物銘文集成』 278), 육인부고좌미(六入部古佐美, 承和 8년 2월 11일자 「某家政所告狀案」, 『平安遺文』 1-60), 육인부춘평(六入部春平, 承平 2년 12월 3일자 「右京朝原有岑解」, 『平安遺文』 1-359) 등이 있다.
지방에 거주한 육인부씨 일족으로 미농국(美濃國) 후견군(厚見郡) 사람 외종5위하 행조교(行助教) 육인부영정(六人部永貞), 찬기소목(讚岐少目) 종7위상 육인부애성(六人部愛成), 산위(散位) 종7위하 육인부행직(六人部行直) 등 세 사람에게 선연조신(善淵朝臣)이라는 성을 주었는데, 천손(天孫) 화명명(火明命)의 후손인 소신적명(少神積命)의 후예이며, 이여부련(伊与部連)과 차전련(次田連) 등과 조상이 같다고 하였다(『일본삼대실록』貞觀 4년 5월 경진조).
그 밖에도 미농국에는 미봉간군(味蜂間郡, 安八郡) 춘부리(春部里)에 신인부좌야매(身人部佐夜賣, 大寶 2년 「御野國味蜂間郡春部里戸籍」, 『대일본고문서』 1-3), 육인부미다매(六人部美多賣, 상동), 육인부염매(六人部鹽賣, 상동), 육인부대인(六人部大人, 「御野國味蜂間郡春部里戸籍」, 『대일본고문서』 1-9) 등 다수의 육인부가 거주하였다. 또한 본책군(本簀郡, 本巢郡) 율서태리(栗栖太里)에 육인부일좌매(六人部日佐賣, 大寶 2년 「御野國本簀郡栗栖太里戸籍」, 『대일본고문서』1-26), 육인부견견(六人部堅見, 상동), 육인부흑인(六人部黑人, 상동), 육인부의기내(六人部意伎奈, 상동), 육인부길년(六人部吉年, 상동)이 보인다. 또한 견현군(肩縣郡, 方原郡) 견견리(肩肩里)에도 육인부신마려(六人部身麻呂, 大寶 2년 「御野國肩縣郡肩肩里戸籍」, 『대일본고문서』 1-41)가 보이고, 각모군(各牟郡) 중리(中里)에 육인부소의(六人部小依, 大寶 2년 「御野國各牟郡中里戸籍」, 『대일본고문서』 1-46), 육인부백족(六人部百足, 大寶 2년 「御野國各牟郡中里戸籍」, 『대일본고문서』 1-47), 족도(足島, 상동), 을마려(乙麻呂, 상동), 족(足, 상동), 다구마려(多久麻呂, 상동) 등의 가족이 보인다.
미농국 방현군(方縣郡) 촌부향(村部鄕)에도 육인부마양(六人部馬養, 天平 연간 「知識優婆塞貢進文」, 『대일본고문서』 24-304), 육인부상석(六人部床石, 상동)이 보인다. 방현군 지담사향(志淡思鄕)에는 육인부신신만려(六人部臣身萬呂, 天平 20년 4월 25일자 「寫書所解」, 『대일본고문서』 3-78 등), 육인부신산촌(六人部臣山村, 상동)과 같이 육인부신(六人部臣)이 보인다.
무의군(武義郡)에는 신인부진국(身人部眞國, 天平 20년 정월 「說一切有部發智大婆沙論跋語」, 『寧樂遺文』 下 621)이 있다.
육인부씨는 미농국 이 외에도 이세국(伊勢國) 조명군(朝明郡)의 육인부진근마려(六人部津根麻呂, 『日本三代實錄』 貞觀 3년 6월 계해조), 월전국(越前國)의 육인부동인(六人部東人, 天平神護 2년 9월 19일자 「越前國足羽郡司解」, 『대일본고문서』 5-543 등), 단생군(丹生郡) 수성촌(水成村)의 육인부정성(六人部淨成, 天平神護 2년 10월 21일자 「越前國司解」, 『대일본고문서』5-614), 기이국(紀伊國) 이도군(伊都郡)의 육인부귀계(六人部貴繼, 『日本三代實錄』 貞觀 8년 7월 정묘조)와 육인부위말(六人部爲末, 元曆 2년 3월 5일자 「金剛峯寺政所三方百姓等起請文」, 『平安遺文』 8-3165), 찬기국(讚岐國) 대내군(大內郡) 입야향(入野鄕)의 육인부조길녀(六人部助吉女, 「讚岐國大內郡入野鄕戸籍」, 『平安遺文』 2-568)가 보인다.
2. 동상(同上)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화명명(火明命)의 5세손 무려목명(武礪目命)의 후손이라고 되어 있었을 것이다. 『선대구사본기(先代舊事本紀)』 천손본기(天孫本紀)에는 화명명의 5세손으로 건두미명(建斗米命, 武礪目命)을 들고, 그 아우 묘두미명(妙斗米命)을 육인부련 등의 조상이라고 하였고, 또한 건두미명의 아들이자 6세손인 건전배명(建田背命)의 아우인 건수화이명(建手和邇命)을 신인부련(身人部連) 등의 조상이라고 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육인부(六人部; 무토리베)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30_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