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삼도숙녜(三島宿禰; 미시마노스쿠네)

삼도숙녜(三島宿禰; 미시마노스쿠네)
 신혼명(神魂命; 가미무스비노미코토)의 16세손인 건일수명(建日穗命; 다케히호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삼도숙녜(三島宿禰)
삼도(三島)라는 씨명은 섭진국(攝津國) 삼도군(三島郡)이라는 지명에서 유래한 것이다. 현재도 대판부(大阪府) 삼도군(三島郡) 도본정(島本町)이 있으며, 계천(桂川)·우치천(宇治川)·목진천(木津川)이 정천(淀川)에 합류되는 지점에 해당한다. 과거의 삼도는 도본정과 서쪽으로 이웃하는 고규시(高槻市) 금성정(今城町) 일대도 포함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 지역에는 계체천황(繼體天皇)의 능으로 생각되는 금성총(今城塚)이 있다.
삼도숙녜의 원래 성은 현주(縣主)였으며, 신호경운(神護景雲) 3년(769) 2월 신유에 섭진국(攝津國) 도상군(島上郡) 사람 정6위상 삼도현주광조(三島縣主廣調) 등이 숙녜라는 성을 받았다(『속일본기』 ).
삼도숙녜씨 일족으로는 그 밖에 보귀(寶龜) 7년(776)에 담로수(淡路守)에 임명된 외종5위하 삼도숙녜종마려(三島宿禰宗麻呂), 연력(延曆) 2년(783)에 외종5위하에 임명된 삼도숙녜광택(三島宿禰廣宅)이 『속일본기』 에 보인다. 삼도현주씨로는 『동대사문서』 에 경사(經師)로서 삼도현주종마려(三島縣主宗麻呂), 삼도현주석충(三島縣主石蟲), 삼도현주자공(三島縣主子公) 등이 보인다.
2. 신혼명(神魂命)
‘가미무스비’라고 읽으며, 신산소일신(神産巢日神)·신황산령존(神皇産靈尊)으로도 표기한다. 무스비(무스히)라는 말은 산령(産靈), 즉 생산하는 힘을 뜻하며, 고황산령신(高皇産靈神)과 더불어 창조와 생성의 능력을 신격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천어중주신(天御中主神)·고황산령신·신산소일신을 조화삼신(造化三神)이라고 부른다.
3. 건일수명(建日穗命)
이 신의 이름은 여기에만 보인다.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天孫本紀)」 에서는 삼도현주(三島縣主)의 조상을 천신옥명(天神玉命)이라고 하였다. 두 신의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도숙녜(三島宿禰; 미시마노스쿠네) 자료번호 : ss.k_0002_0010_002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