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의봉조(衣縫造; 기누누히노미야츠코)

의봉조(衣縫造; 기누누히노미야츠코)
 석상(石上; 이소노카미)과 같은 조상이다.
 
【주석】
1. 의봉조(衣縫造)
의봉(衣縫)이라는 씨명은 궁중의 의복을 만드는 의봉(衣縫)을 담당한 반조씨족이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의봉조씨(衣縫造氏)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숭준 원년 시세조에 비조의봉조(飛鳥衣縫造)의 조상 수엽(樹葉; 고노하)의 집을 헐고 처음으로 법흥사(法興寺)를 지었다고 한다.
이후 『속일본기』 대보(大寶) 3년(703) 2월 병신조에서 종7위하 의봉조공자(衣縫造孔子; 기누누히노미야츠코쿠구시)에게 연(連)을 사성하였다고 적고 있다. 8세기 초에 하급 관인으로 근무하던 사람이 문무천황 대에 더 높은 성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의봉련은 『신찬성씨록』에는 실리지 않았다. 이것은 의봉련공자의 후손이 단절되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의봉조공자 이외에 의봉조씨는 사서에 보이지 않는다. 다만 사경문서 천평 6년(734)11월자 「대지도론육십구발어(大智度論六十九跋語)」(田中塊堂, 『日本寫經綜鑒』, 三明社, 1953, p. 274)에 의봉조남국(衣縫造南國)이 보인다.
2. 석상동조(石上同祖)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석상(石上)’ 다음에 ‘조신(朝臣)’이라는 글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석상조신씨에 대해서는 좌경 신별(상) 「석상조신」 조(346) 참조. 그런데 『선대구사본기』 천손본기 물부씨 계보에서는 의봉조에 관한 언급이 없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의봉조(衣縫造; 기누누히노미야츠코) 자료번호 : ss.k_0001_0040_0010_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