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아폐조신(阿閇朝臣; 아헤노아소미)

아폐조신(阿閇朝臣; 아헤노아소미)
 아폐조신(阿閇朝臣; 아베노아소미)과 조상이 같으며, 효원천황(孝元天皇; 가우구웬텐노)의 황자인 대언명(大彦命; 오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아폐조신(阿閇朝臣)
아폐(阿閉)라는 씨명은 이하국(伊賀國) 아폐군(阿閇郡)이라는 지명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폐군은 현재의 삼중현(三重縣) 아산군(阿山郡) 및 상야시(上野市) 일대이다. 아폐라는 지명은 임신의 난 과정에서 대해인황자(大海人皇子, 天武)가 길야(吉野)에서 동쪽으로 탈출하면서 아폐에 머물렀다고 할 때 처음 보인다(『일본서기』 천무 원년). 아폐는 아폐(阿閉), 감(敢; 아헤)이라고도 표기하며, 아폐조신의 옛 성은 신(臣)이다. 천무 13년(684) 11월에 조신을 사성받았다.
아폐조신의 일족으로는 먼저 신(臣) 성을 가진 인물로 『일본서기』 웅략 3년 4월조의 아폐신국견(阿閉臣國見), 현종 3년 2월 정사삭조의 아폐신사대(阿閉臣事代), 추고 18년(610) 10월조의 아폐신대롱(阿閉臣大籠) 등이 있다. 조신(朝臣) 성을 하사받은 이후의 인물로는 『속일본기』화동(和銅) 원년(708) 정월 을사조의 아폐조신대신(阿閉朝臣大神), 천평감보(天平感寶) 원년(749) 6월 24일자 「동대사이하국옥롱산권(東大寺伊賀國玉瀧杣券)」(『대일본고문서』 3-135)의 감조신안만려(敢朝臣安万呂), 천평승보 2년(750) 3월 23일자 「감적(勘籍)」(『대일본고문서』 25-107)의 아폐조신다심(阿閉朝臣多心), 천평보자 2년(758) 9월 5일자 「동사사경소해(東寺寫經所解)」(『대일본고문서』4-305)의 아폐조신풍정(阿閉朝臣豐庭), 『일본삼대실록』 정관(貞觀) 8년(866) 5월 8일 을유조의 아폐조신이자(阿閉朝臣以子) 등이 있다.
2. 아폐조신(阿閇朝臣)
아배조신(阿倍朝臣)의 오기이다. 아배조신의 원래 성은 신(臣)이다. 천무 13년(684) 11월에 조신으로 개성되었다. 비조(飛鳥) 시대부터 나량(奈良) 시대에 걸쳐 대신급 고관을 배출한 씨족이다. 『일본서기』 효원 7년 2월조에 의하면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이하신(伊賀臣) 등 6씨족과 함께 대언명의 후손이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좌경 황별(상)「아배조신」 조(054) 참조.
3. 효원천황(孝元天皇)
완본에는 ‘대일본근자언국견천황시효원(大日本根子彦國牽天皇諡孝元)’이라고 기록되어 있었을 것이다. 효원천황은 결사(缺史) 8대 천황으로 일본식 시호는 대일본근자언국견존(大日本根子彦國牽尊), 대왜근자일자국구류명(大倭根子日子國玖琉命)이다. 시호에 포함된 왜근자(倭根子; 야마토네코)라는 용어는 결사8대인 7대 효령(孝靈), 8대 효원(孝元), 9대 개화(開化), 그리고 22대 청녕(淸寧)에게서 보이고,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의 지통(持統), 문무(文武), 원명(元明), 원정(元正)에게서 보인다. 효령 등의 천황은 별다른 사적이 없고 실재하지 않은 인물이며 시호도 『일본서기』 편찬의 최종 단계에 후대 천황의 시호를 바탕으로 조작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4. 대언명(大彦命)
『고사기』에는 대비고명(大毘古命)으로도 나오며, 효원의 장남이자 개화의 형으로 전한다. 『일본서기』에서는 아배신(阿倍臣), 선신(膳臣), 아폐신(阿閉臣), 사사성산군(沙沙城山郡), 축자국조(筑紫國造), 월국조(越國造), 이하신(伊賀臣) 7씨족의 시조로 전한다. 도하산철검명(稻荷山鐵劍銘)의 의부비궤(意富比跪; 오호비코)를 대언명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좌경 황별(상) 「아배조신」 조(054)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아폐조신(阿閇朝臣; 아헤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1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