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아소미)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아소미)
 숭신천황(崇神天皇; 스진텐노)의 황자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일본기』와 합치한다.
 
【주석】
1.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상모야조신의 상모야(上毛野; 가미츠케)라는 씨명은 율령제 상야국(上野國; 가미츠케노쿠니)이라는 국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군마현(群馬縣)에 해당된다.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685) 11월 무신삭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이 조신성을 받았다. 좌경 황별(하)에도 「상모야조신」(098)조가 게재되어 있다.
상모야군 일족으로는 『일본서기』에 의거하면 안한천황(安閑天皇) 원년 윤12월 시월(是月)조에 무장국조(武藏國造) 입원직사주(笠原直使主)와 동족 소저(小杵)가 국조직을 두고 싸우다가 결판이 나지 않자 소저가 몰래 상모야군소웅(上毛野君小熊)에게 구원을 청했다는 기사가 보이고, 서명천황(舒明天皇) 9년(637) 시세(是歲)조에는 하이(蝦夷) 토벌의 장군으로 상모야군형명(上毛野君形名)이 보인다. 천지천황(天智天皇) 2년(663) 3월조에 백제의 구원 요청에 따라 파견된 전장군(前將軍) 상모야군치자(上毛野君稚子), 천무천황 10년(681) 3월 병술조의 대금하(大錦下, 664~685년에 사용된 관위 26계 중 9위)상모야군삼천(上毛野君三千) 등이 있다.
상모야조신 일족으로는 『속일본기』에 의거하면 문무천황(文武天皇) 4년(700) 기미조에 직광삼(直廣參)으로 길비총령(吉備總領)에 보임된 이후 화동(和銅) 원년(708) 3월 병오조에 종4위하(極位)로 육오수(陸奥守)에 임명된 상모야조신소족(上毛野朝臣小足)이 있다. 대보(大寶) 3년(703) 7월 갑오조에 정6위상으로 하총수(下總守)에 보임된 뒤 화동 2년(709) 4월 임인조에 종4위상으로 죽은 상모야조신남족(上毛野朝臣男足), 경운(慶雲)4년(707) 2월 갑오조에 종6위하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상모야조신견신(上毛野朝臣堅身), 화동 원년(708) 정월 을사조에 종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이후 양로(養老)4년(720) 9월 정축조에 하이의 반란으로 살해된 안찰사 정5위하 상모야조신광인(上毛野朝臣廣人), 화동 원년 3월 병오조에 종5위상(극위)으로 상총수에 보임된 상모야조신안마려(上毛野朝臣安麻呂), 화동 원년 3월 병오조에 종4위하(극위)로 육오수에 보임된 상모야조신소족(上毛野朝臣小足), 천평(天平) 14년(742) 정월 계축조에 외종5위하에서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상모야조신금구마려(上毛野朝臣今具麻呂)가 있다. 또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정월 기미조에 출운개(出羽介), 천평보자(天平寶字) 8년(764) 10월 계미조에 상야수, 보귀(寶龜) 7년(776) 7월 병오조에 출우수(出羽守)로 보임된 종5위상(극위) 상모야조신마장(上毛野朝臣馬長), 신호경운(神護景雲) 원년(767) 정월 갑오조에 정6위상에서 종5위하로 승진한 뒤 보귀 5년 3월 갑진조에 육오개(陸奥介), 보귀 9년(778)8월 계사조에 주세두, 연력(延曆) 2년(783) 2월 임신조에 월후수 등에 보임된 정5위하(극위) 상모야조신도인(上毛野朝臣稻人) 등이 있다.
2. 숭신천황(崇神天皇)
숭신천황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제10대 천황으로 기록되어 있다.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완본에서는 ‘숭신(崇神)’ 앞에 ‘어간성입언오십경식천황시(御間城入彦五十瓊殖天皇諡)’라는 12글자가 있고, ‘숭신’ 다음에는 ‘천황(天皇)’이라는 2글자가 없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좌경 황별(하) 「하모야조신(下毛野朝臣)」 조(097) 숭신천황 참조.
3. 풍성입언명(豐城入彦命)
풍성입언명은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전해지는 제10대 숭신천황(崇神天皇)의 황자이다. 『일본서기』에는 풍성입언명, 풍성명(豐城命), 『고사기』에는 풍목입일자명(豐木入日子命; 도요키이리히코노미코)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고사기』 숭신천황단과 『일본서기』숭신 48년 4월 무신삭 병인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과 하모야군(下毛野君)의 시조라고 기술되어 있다. 좌경 황별(하) 「하모야조신(下毛野朝臣)」 조(097) 풍성입언명 참조.
4. 일본기합(日本紀合)
『일본서기』 천무천황 13년 11월 무신삭조에 상모야군(上毛野君)을 비롯한 모두 52씨에게 조신이라는 성을 주었다고 적혀 있는 사성 기사와 합치된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상모야조신(上毛野朝臣; 가미츠케노아소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