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거세비태신(巨勢斐太臣; 고세노히타노오미)

거세비태신(巨勢斐太臣; 고세노히타노오미)
 거세위전(巨勢楲田; 고세노히타)과 씨가 같으며 거세웅병(巨勢雄柄; 고세노오카라)의 4세손 도무(稻茂; 이나모치)의 아들 황인(荒人; 아라히토)의 후손이다.
 
【주석】
1. 거세비태신(巨勢斐太臣)
거세비태라는 씨명은 거세와 위전이 합쳐진 것이다. 거세라는 씨명은 율령제 대화국(大和國) 고시군(高市郡)의 거세(巨勢; 고세)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현재 나라현(奈良縣) 고시군(高市郡) 일대에 해당된다. 위의 사성 유래를 보면 위전(楲田; 히타)은 당시에 관개수로를 이용하여 개간한 땅이라는 의미가 있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속일본기』 양로(養老) 3년(719) 5월 계묘조에 종7위상 거세비타신대남(巨勢斐太臣大男) 등 2인이 조신성을 받은 기사가 보인다. 거세(巨勢)는 허세(許勢; 고세), 위전(楲田; 히타)은 비타(斐太; 히타)라고도 표기한다.
2. 거세위전동씨(巨勢楲田同氏)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는 「거세위전조신동조(巨勢楲田朝臣同祖)」 라고 기재되어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그러나 동씨(同氏)는 씨가 같은 것이고 동조(同祖)는 조상이 같은 것을 나타내므로 구별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3. 거세웅병숙녜(巨勢雄柄宿禰)
거세웅병(巨勢雄柄; 고세노오카라)은 『고사기』에 허세소병숙녜(許勢小柄宿禰; 고세노오카라노스쿠네)라고 기재되어 있다. 앞의 「거세조신」 조(120) 거세웅병숙녜 참조.
4. 도무신(稻茂臣)
도무신은 『일본서기』 흠명천황(欽明天皇) 원년(540) 9월 기묘조에 허세신도지(許勢臣稻持; 고세노오미이나모치)라고 적혀 있다. 앞의 「거세위전조신」 조(121) 도무신 참조
5. 황인(荒人)
앞의 「거세위전조신」 조(121) 황인 참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거세비태신(巨勢斐太臣; 고세노히타노오미)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8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