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신찬성씨록

환부(丸部; 와니베)

환부(丸部; 와니베)
 화안부(和安部; 야마토노아헤)와 조상이 같으며 언로진명(彦姥津命; 히코오케츠노미코토)의 아들 이부도구명(伊富都久命; 이호츠쿠노미코토)의 후손이다.
 
【주석】
1. 환부(丸部)
환부라는 씨명은 화이(和邇; 와니)씨의 부민이었던 것에서 유래한 것이다. 환부는 『일본서기』 등에는 보이지 않는다. 환부의 반조씨족인 화이씨의 근거지는 대화국(大和國) 첨상군(添上郡) 화이(和邇) 지역이다. 이곳은 현재 나량현(奈良縣) 천리시(天理市) 화이(和爾) 지역 주변에 해당된다. 환(丸; 와니)은 화이(和爾; 와니), 화이(和邇; 와니)라고도 쓴다.
환부 일족으로는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가상(嘉祥) 2년(849) 11월 을해조에는 아악권윤(雅樂權允) 정6위상 화이부도계(和邇部島繼)가 정6위상에서 외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기록이 보인다. 또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인수(仁壽) 3년(853)11월 갑인조에는 외종5위하 환부도계(丸部島繼)가 종5위하(극위)로 승진한 기록이 보이므로, 화이부도계가 환부도계로도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또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정관(貞觀) 3년(861) 정월 21일 병신조에는 정6위상(극위) 화이부대전마려(和邇部大田麻呂)가 보인다. 정관 5년(863) 8월 8일 무진조와 동 6년(864) 3월 8일 갑오조 등에는 대전마려가 864년 3월에 아악소윤(雅樂少允)에서 아악권대윤(雅樂權大允)직을 맡았고, 정관(貞觀) 7년(865) 10월 26일 갑술조 졸전(卒傳)에서는 화이부대전마(려)가 천장(天長) 초년에 아악백제적사(雅樂百濟笛師)에 임명되고 당적사(唐笛師)를 거쳐 아악소속, 대속을 역임하고 제형 3년(856)에 아악권대윤에 이르렀다고 적고 있다. 역임한 직장으로 보아 화이부도계와 대전마는 근친관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화안부(和安部)
좌백유청(佐伯有淸)은 『신찬성씨록』 완본에서는 ‘화안부(和安部)’ 다음에 ‘조신(朝臣)’이라는 2글자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좌경 황별(하) 「화안부조신」 조(089) 참조.
3. 언로진명(彦姥津命)
『일본서기』 개화(開化) 6년 정월 갑인조에는 “화이신(和珥臣; 와니노오미)의 먼 조상 노진명(姥津命; 하하츠노미코토)의 누이 노진원(姥津媛; 하하츠노히메)은 언좌왕(彦坐王; 히코이마스노미코)을 낳았다.”라고 적혀 있다. 앞의 좌경 황별(상) 「대춘일조신」 조(087) 언로진명 참조.
4. 이부도구명(伊富都久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보이지 않는다. 「화이계도(和邇系圖)」 에는 언국노진명의 아들로 이부도구명이 게재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환부(丸部; 와니베) 자료번호 : ss.k_0001_0030_007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