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인성의안강정황태후(仁聖懿安康靜皇太后)의 붕서(崩逝)에 대한 조선국왕의 진위(陳慰) 표문(表文)

33. 仁聖王后崩逝陳慰表
  • 발신자
    조선국왕 신 이(李) 휘(諱)
  • 발송일
    1596년 8월 9일(윤)(만력 24년 윤8월 9일)
조선국왕 신 이(李) 휘(諱)는 만력 24년(1596) 8월 28일 원차주문배신 구성이 경사(북경)로부터 돌아와 삼가 아뢰기를 본년 7월 13일 대행인성의안강정황태후께서 붕서(崩逝)하셨다는 말을 듣고서 온 나라 신민과 더불어 놀라고 아픔을 금치 못하여 삼가 표를 받들어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신 휘(諱)는 진실로 황공하여 머리를 숙일 뿐입니다.
 
삼가 보건대, 모후(慈闈)께서는 모범을 남기셨으니 우러러볼 때 두터운 땅을 덮는 무궁한 덕주 001
각주 001)
후덕함을 강조한 표현이다. 『周易』 上經 坤 彖曰 “坤厚載物, 德合無疆”.
닫기
과 같아 말로 드러내기 어려울 정도인데 선어(仙馭)주 002
각주 002)
임금의 수레이다. 대체로 임금이 사망한 일을 두고 신선의 수레를 타고 올라간다는[仙馭] 표현을 썼다. 원문에서의 선어는 인성 황태후의 죽음을 의미한다.
닫기
로 하늘에 오르시니 장신궁(長信宮)주 003
각주 003)
한나라의 궁궐 이름이다. 대체로 황제의 조모(祖母)가 거처했다. 원문에서는 인성황태후를 의미한다.
닫기
이 영영 막히게 됨을 애통해 하며 무릇 길러 주시는 보살핌 안에 있던 이들은 모두 기가 꺾이고 몸이 상합니다. 공경히 생각하건대 황제 폐하께서는 법제를 다하고 인륜을 다하며, 능히 참되고 능히 공경하여 식사와 잠자리를 살피는 일로 기쁘게 해 드렸습니다. 오래도록 문모(文母)주 004
각주 004)
임금의 어머니나 할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로 황모(皇母)와 같다.
닫기
의 아름다운 말씀을 받들었고 갱장(의 심정으로)주 005
각주 005)
요(堯)가 사망한 후 순(舜)을 그리워한 고사에서 인용했다. 순이 요를 그리워하여 국그릇에서도 요 임금을 보듯이 하였고, 담장에서도 요 임금을 보듯이 하였다는 내용인데, 원문에서는 명 신종(神宗)이 인성 황태후를 항상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닫기
으로 더욱 독실하게 (돌아가신 황태후를) 추모하는 마음을 깃들이셨으니 우순(虞舜)주 006
각주 006)
순(舜)의 씨족명이 유우씨(有虞氏)이므로 우순으로 부른 것이다.
닫기
의 대효와 같습니다. 바라건대 상중(喪中)이지만 조금이라도 안정되셔서 모든 백성을 굽어보시고 위로해 주십시오. 삼가 생각하건대, 신의 직분이 외람되이 치우친 번방을 맡았고 은혜가 내복(內服)을 넘어섰는데, 봉강을 지키고 있어 슬픔을 함께 하는 반열에 참석하지 못하여 달려가 문안할 길은 없고 한갓 공순하고 연모하는 소망만이 간절할 뿐입니다. 신은 하늘을 바라보고 성총(聖聰)을 우러러 격절함과 황공함을 더 할 나위 없이 가누지 못하며 삼가 표를 받들어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만력 24년 윤8월 9일 조선국왕 신 이(李) 휘(諱)가 삼가 표를 올립니다.

  • 각주 001)
    후덕함을 강조한 표현이다. 『周易』 上經 坤 彖曰 “坤厚載物, 德合無疆”. 바로가기
  • 각주 002)
    임금의 수레이다. 대체로 임금이 사망한 일을 두고 신선의 수레를 타고 올라간다는[仙馭] 표현을 썼다. 원문에서의 선어는 인성 황태후의 죽음을 의미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한나라의 궁궐 이름이다. 대체로 황제의 조모(祖母)가 거처했다. 원문에서는 인성황태후를 의미한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임금의 어머니나 할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로 황모(皇母)와 같다. 바로가기
  • 각주 005)
    요(堯)가 사망한 후 순(舜)을 그리워한 고사에서 인용했다. 순이 요를 그리워하여 국그릇에서도 요 임금을 보듯이 하였고, 담장에서도 요 임금을 보듯이 하였다는 내용인데, 원문에서는 명 신종(神宗)이 인성 황태후를 항상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순(舜)의 씨족명이 유우씨(有虞氏)이므로 우순으로 부른 것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인성의안강정황태후(仁聖懿安康靜皇太后)의 붕서(崩逝)에 대한 조선국왕의 진위(陳慰) 표문(表文) 자료번호 : sdmg.k_0004_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