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병부(兵部)의 이문(移文)에서 일본군의 정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총병(李摠兵)의 게첩(揭帖)

42. 李摠兵揭
  • 출전
    事大文軌 卷8: 61b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278쪽
42. 李摠兵揭주 001
각주 001)
43번 문서인 조선국왕의 회게(回揭)에서 “대인께서 서쪽으로 돌아가신 때부터(自大人西回)”라는 문구를 통해 본 문서의 이총병은 1593년 조선에 온 흠차제독계요보정산동등처방해어일본군무총병 이여송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앞뒤의 문서가 1596년 시점이고, 회게에 언급된 노직·유영순의 이름이 8·9·10번 문서에 등장하는 것이 1596년 하순경이기에 그 당시에 작성된 문서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닫기
 
恭啓. 悉照兵部移文, 聊具鄙緘菲儀, 伏惟電鑑幸甚. 移文內因倭報不一, 密差禁官, 奉候台體, 幷探實信勿, 與擺報知息望. 惟發付差官, 星馳示報, 感激無盡. 仰祈照諒. 不宣.

  • 각주 001)
    43번 문서인 조선국왕의 회게(回揭)에서 “대인께서 서쪽으로 돌아가신 때부터(自大人西回)”라는 문구를 통해 본 문서의 이총병은 1593년 조선에 온 흠차제독계요보정산동등처방해어일본군무총병 이여송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앞뒤의 문서가 1596년 시점이고, 회게에 언급된 노직·유영순의 이름이 8·9·10번 문서에 등장하는 것이 1596년 하순경이기에 그 당시에 작성된 문서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병부(兵部)의 이문(移文)에서 일본군의 정세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총병(李摠兵)의 게첩(揭帖) 자료번호 : sdmg.d_0004_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