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일본에 가는 책사(冊使) 양방형(楊方亨)에게 보낸 게첩(揭帖)

7. 楊冊使前揭
  • 출전
    事大文軌 卷8: 18a-19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191~193쪽
7. 楊冊使前揭주 001
각주 001)
본 문서는 『선조실록』에도 관련 기사가 실려 있다. 『宣祖實錄』 卷76, 宣祖 29年 6月 壬戌(26日).
닫기
 
再昨, 接得陪臣黃愼狀啓, 大人的於本月十六日, 當過海云. 此狀, 是本月十四日出也, 想大人已出敝境. 以大人留住勤苦之久, 畢竟㫌節渡海, 而候問之禮未及, 祗受之儀不俱, 使小邦區區誠禮, 大至欠缺, 寡人不勝慙恨. 頃日, 蒙示渡海陪臣一事, 大人奉天子之命, 遠涉滄波, 乃要一二陪臣跟隨行李, 小邦豈敢靳焉. 伹念事體猶未定, 而且天朝誥勅未至, 意大人必待此乃渡, 故小邦亦欲待天朝發落而方謀應命, 已將此意, 回報於通事朴義儉之歸, 今得過海之報, 出於不意. 不但朴義儉所傳之書, 未及呈徹, 大人終始惓惓至誠曉諭之意, 亦歸於虛地, 寡人尤切惶懼, 不能自安. 伏聞, 大人將少駐對馬島, 以候誥勅至日, 方爲前進. 若是則去敝境不遠, 猶可以導達情意. 玆用專差敦寧府都正黃愼·掌樂院正朴弘長, 趕同原發伺候通事朴義儉, 飛舩進去, 追伸候問之禮, 仍令聽候大人指揮, 而爲之進退, 乞諒其情, 而恕其過, 使小邦得免違慢之罪, 幸甚幸甚. 所差黃愼, 久在倭營, 詳知倭情始末, 玆敢陪遣, 幸大人並悉此意. 海中炎瘴, 逾南愈甚, 伏惟珎衛萬加, 爲朝廷自重. 不宣.

  • 각주 001)
    본 문서는 『선조실록』에도 관련 기사가 실려 있다. 『宣祖實錄』 卷76, 宣祖 29年 6月 壬戌(26日).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일본에 가는 책사(冊使) 양방형(楊方亨)에게 보낸 게첩(揭帖) 자료번호 : sdmg.d_0004_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