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절병(浙兵) 조발(調發)을 위해 양향(糧餉)의 총수와 수목(數目) 등의 조사를 청하며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가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咨文)

32. 都司査議留兵月銀口粮等事
  • 발신자
    遼東都指揮使司
  • 발송일
    1595년 2월 8일(음)(萬曆二十三年二月初八日)
  • 출전
    『事大文軌』 卷12: 68a-71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137~143쪽
32. 都司査議留兵月銀口粮等事
 
遼東都指揮使司,
爲 欽奉聖諭 事.
 
本年正月三十日申時, 蒙欽差總督薊遼保定等處軍務兼理粮餉經理禦倭兵部左侍郎兼都察院右僉都御史孫.주 001
각주 001)
손광으로부터 받은 문서의 종류가 생략돼 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 첩문(帖文)임을 알 수 있다.
닫기
准兵部咨.
該本部院會同, 巡撫遼東地方都察院右僉都御史李題擬.주 002
각주 002)
본문의 ‘擬’는 문서의 초안(起草)으로 해석했다.
닫기
先調發海防營浙兵三千七百餘名, 前去朝鮮協防. 仍令分守參議楊前往釜山等處, 稽査覆實倭退之後, 卽分撥我兵同該國將領踏勘各島·浦. 如係險要, 卽令朝鮮分兵防守. 務使沿海一淸, 事定之後, 我兵留彼者, 行月二餉·本折是否, 可全于彼地設防, 逐一從長計議. 等因.
該本部議照, “封日本, 所以保朝鮮, 亦所以省我兵餉. 今調浙兵協防, 必朝鮮自備行月·本折糧餉. 斯在我無糜費之虞, 在彼獲久戍之益. 合候命下, 移文遼鎭督撫衙門, 先行朝鮮國王預備糧餉報完量, 調浙兵前去協防, 不得如前將劉綎兵餉, 全靠天朝, 以致虛糜難繼.” 等因. 題. 奉聖旨.
俱依議行.
欽此. 欽遵. 備咨前來.
准此. 爲照, 所調海防營兵馬駐守外藩, 行·月糧餉必從優厚, 亦應照依川兵支粮事例支給, 方爲妥當. 且兵部議覆, 必候朝鮮國備完粮餉而後發兵. 今准前因, 擬合就行. 爲此, 帖仰該司官吏, 照帖備該部題奉欽依內事理, 卽便備云, 轉咨朝鮮國王, 照依後開官兵合用粮餉, 速行預備. 如係折色, 照註定數目, 如係本色, 卽照該國價値算給, 務合各該銀兩之數, 聽候調發兵馬支用. 仍査去歲秋收, 何地粮餉有餘, 其地險要可以屯兵若干, 所備粮餉可足幾月支用値. 今春融播種之際, 該國嚴行各道諭令, 小民趂時佈種, 亦可以爲接濟之計. 先取該國備過粮餉數目及行過緣由, 作速呈報以憑發兵施行, 毋得違錯未便. 等因.
蒙此. 擬合就行. 爲此, 合咨前去, 貴國煩査備完粮餉若干, 要見折色, 註定數目, 如係本色, 卽照該國價値算給, 務彀各該銀兩之數, 聽候發兵支用. 仍査去歲秋收, 粮餉若干, 有無餘剩若干, 其地險要, 可以屯兵若干, 所備粮餉可足幾月支用. 卽今春融播種之際, 該國嚴行各道諭令, 小民趂時佈種秋成, 以爲接濟之計. 仍將備過粮餉數目幷行各道緣由, 作速回復交與差去人員齎來, 以憑立等轉報施行. 須至咨者.
 
計開
海防營官兵. 三千七百餘員名
將官一員日支銀 一錢七分五釐
中軍一員日支銀 一錢一分
千摠六員 每員日支銀 一錢
旗·牌·把摠等官四十員 每員日支銀 八分
書記五名 每名日支銀 六分
哨長八十名 每名日支銀 六分
兵三千五百七十餘名 每名日支銀 五分
馬二百匹 每匹日支銀 二分. 以上.
行糧 每月共該銀五千七百五十兩五錢五分
月糧 至中軍以至官兵 與行糧數同 共該銀五千六百三十兩五錢五分 惟無將官幷馬糧草二項銀兩. 以上.
行月二糧 每月該銀 一萬一千三百八十一兩零.
 
右咨朝鮮國王.
 
萬曆二十三年二月初八日.

  • 각주 001)
    손광으로부터 받은 문서의 종류가 생략돼 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 첩문(帖文)임을 알 수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본문의 ‘擬’는 문서의 초안(起草)으로 해석했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절병(浙兵) 조발(調發)을 위해 양향(糧餉)의 총수와 수목(數目) 등의 조사를 청하며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가 조선국왕에게 보낸 자문(咨文) 자료번호 : sdmg.d_0003_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