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사대문궤

조선의 군사 교체 요청으로 온 천총(千摠) 진양기(陳良璣)의 게첩(揭帖)

28. 陳千摠揭
  • 출전
    『事大文軌』 卷12: 52b-55a / 『壬辰倭亂 史料叢書 1~8 對明外交』(국립진주박물관, 2002 영인본) 2책: 106~111쪽
28. 陳千摠揭주 001
각주 001)
조선은 손광에게 군사 교사를 요청했다. 이에 명군 측은 1595년 천총 진양기, 파총 주호, 진백기 등을 파견했다. 진양기 등은 속오군 제도 등을 전수하였다. 『宣祖實錄』 卷60, 宣祖 28年 2月 己巳(26日); 『宣祖實錄』 卷60, 宣祖 28年 2月 癸酉(30日); 『宣祖實錄』 卷64, 宣祖 28年 6月 庚午(29日); 『宣祖實錄』 卷72, 宣祖 29年 2月 甲寅(17日).
닫기
 
千總陳良璣, 叩馬拜啓. 恭有朝鮮, 乃神京東翰, 屬國名邦. 代有賢君確守封藩之典, 官無倖位, 民濡鼓腹之仁. 文獻可稱, 衣冠足尙, 亦庶幾乎比屋可封之俗也. 邇者島夷侵侮直抵平壤, 盖由承平日久, 人不知兵. 事聞, 天子震怒, 以爲蠢爾狂悖之小夷, 毒我詩禮之屬國, 命將提師, 取復全境. 諺云與旣騁而制之爲有功, 孰若因其未騁而制之爲無迹. 設本國先此而爲之備焉, 倭奴雖狡, 亦將如之何哉. 卽如嘉靖三十一年起至三十六年, 屢犯東浙, 亦動王師以殲戮之. 繼命戚參將訓鍊浙兵, 不久而人皆驍悍, 處處皆兵. 賊夷侵寇, 不終朝而蕩滅無遺, 賊畏兵如畏虎, 號曰戚虎兵. 續後再不敢侵犯浙江矣. 三十七四·十一二等年, 復侵犯福建. 事聞, 天子亦命戚總兵提浙師徃剿, 一鼓而平林德·興化, 再鼓而平平海等處. 尋因客兵路遠費繁, 又防不可撤, 召募土兵以練之, 然未幾, 賊無論多寡, 犯則剿戮, 亦不敢再窺福建矣. 今本國之受毒, 其繼浙閩而再見者也. 法云無恃其不來, 恃吾有以待之, 無恃其不攻, 恃吾有所不可攻也. 稽之上古以田賦出兵, 寓兵於農. 故耕耘不廢業, 戰守不乏人, 殆至商鞅, 始廢井田而兵農遂分爲二矣. 良可慨哉. 夫農出粟以養兵, 兵出力以衛民. 在中夏猶之可也. 地廣民稠, 奄有海內東南財賦, 足以供西北之戎馬. 民則專種, 兵則專食, 兩不相妨. 以朝鮮視之, 輻輳不過數千里地, 雖頗廣而民實稀, 若以兵農爲二, 恐專農則無兵, 專兵則無農矣. 주 002
각주 002)
발신자인 진양기를 가리킨다.
닫기
竊以爲, 孰若效古田賦出兵之法. 合兵農爲一, 雖不能都·鄙盡, 如其制繼師, 其大略無不可者. 辟之平壤一府, 計田若干籍兵若干, 合爲一處, 操三歇七, 操五歇十, 雖地有遠近, 操日少而歇日多, 亦可謂不妨農務耳. 餘皆倣此而行, 不久則兵强藝熟, 處處皆兵, 人人可用, 復何患國小而兵疲乎. 昔後漢先主之王蜀也,주 003
각주 003)
유비(劉備, 161~223)를 가리킨다.
닫기
孔明爲相國, 雖小民以勤儉富民, 雖寡兵以節制强, 道德爲城池 禮義爲干櫓, 吳·魏視蜀不過殫丸之地, 而與蜀鼎足者良有以也. 況朝鮮素稱詩書之國, 禮義之邦, 尊君親上, 死長之義也, 知之熟矣. 況今國主殿下仁明英武, 恊心如吏曹判書李德馨, 忠藎耿耿, 國爾忘家, 尤爲一國之偉望, 匡時之柱石也. 又何島夷之足患哉. 주 004
각주 004)
진양기를 가리킨다.
닫기
區區管見, 旣蒙咨取來國, 遇以優禮, 寢食靡寧. 至於分所當爲者, 不敢不殫竭心力, 以期無負任使, 略陳愚悃以達左右. 不知冒瀆, 伏望垂亮, 幸甚幸甚.

  • 각주 001)
    조선은 손광에게 군사 교사를 요청했다. 이에 명군 측은 1595년 천총 진양기, 파총 주호, 진백기 등을 파견했다. 진양기 등은 속오군 제도 등을 전수하였다. 『宣祖實錄』 卷60, 宣祖 28年 2月 己巳(26日); 『宣祖實錄』 卷60, 宣祖 28年 2月 癸酉(30日); 『宣祖實錄』 卷64, 宣祖 28年 6月 庚午(29日); 『宣祖實錄』 卷72, 宣祖 29年 2月 甲寅(17日). 바로가기
  • 각주 002)
    발신자인 진양기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유비(劉備, 161~223)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 각주 004)
    진양기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조선의 군사 교체 요청으로 온 천총(千摠) 진양기(陳良璣)의 게첩(揭帖) 자료번호 : sdmg.d_0003_0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