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憑山負海, 鎭馬臺以建都,

憑山負海, 鎭馬臺以建都,
後漢書曰: “倭在韓주 001
각주 001)
원문 「朝」. 죽내본은 「朝鮮」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은 「韓」으로 교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韓」으로 교감.
닫기
東南大海中. 依山島居주 002
각주 002)
원문 「居」. 탕천본·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爲居」로 「爲」를 보입해서 교감. 죽내본은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는 宋代 이후의 판본이므로 『翰苑』 所引 『後漢書』와 어느 것이 원전에 가까운 것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음. 해석에 크게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居」로 씀. 이후 동일한 원칙을 적용함.
닫기
. 凡百餘國. 自武帝滅朝鮮, 使譯주 003
각주 003)
원문 「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驛」. 「譯」과 「驛」은 ‘번역하다’는 뜻에서 통용되는 글자이며, 「使譯」의 용례가 있으므로 원문 그대로 「譯」이라 씀.
닫기
通於漢주 004
각주 004)
원문 「漢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於漢」으로 교감. 『後漢書』 원문을 따라 「於漢」으로 교감.
닫기
者, 三十주 005
각주 005)
원문 「州」. 죽내본·탕천본은 「卅」으로 교감. 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三十」으로 교감. 「卅」으로 보이므로 「卅」으로 교감. 다만 본문에서는 보다 통용되는 「三十」으로 표기.
닫기
주 006
각주 006)
원문 「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驛」. 문맥상 큰 문제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餘」로 씀.
닫기
國, 稱王주 007
각주 007)
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稱王」 앞에 「國皆」를 보입. 문맥상 큰 문제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두고 보입하지 않음.
닫기
. 其大倭王治주 008
각주 008)
원문 「治」.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居」. 「居」에도 ‘다스리다’는 뜻이 있고, 문맥상 큰 문제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治 」로 씀.
닫기
邪馬臺주 009
각주 009)
원문 「邦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邪馬臺」로 교감. 「邪馬臺」의 誤寫 및 脫漏로 보이므로 「邪馬臺」로 교감. 단 『後漢書』 원문은 「邪馬臺國」으로 「國」이 부가되어 있음.
닫기
. 樂浪郡徼, 去其國萬二千里. 其주 010
각주 010)
원문 「甚」.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其」로 교감. 「其」의 誤寫가 확실하므로 「其」로 교감.
닫기
地, 大較在會稽東주 011
각주 011)
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東」 뒤에 「冶之東」을 보입. “회계(군)의 동쪽”이든 “회계(군) 동야(현)의 동쪽”이든 대체적인 위치에 큰 차이는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씀.
닫기
, 與珠주 012
각주 012)
원문은 「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朱」. 「珠」과 「朱」는 ‘붉다’는 뜻에서 통용되는 글자이므로 원문 그대로 「珠」로 씀.
닫기
주 013
각주 013)
원문 「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崖」로 교감. 「崖」의 誤寫가 확실하므로 「崖」로 교감.
닫기
儋耳相近.” 魏志曰: “倭人在帶方東南. 參주 014
각주 014)
원문 「炙」. 죽내본·탕천본은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參」으로 교감. 길림본은 판독 원문 그대로 씀. 「炙」의 뜻을 ‘가르침을 받다’로 보면 문맥이 통함. 길림본은 「炙文」 이하를 현행 『三國志』에 실전되어 없는 내용으로 보았으므로 문맥이 통한다고 여긴 부분은 따로 교감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현전 『三國志』 원문과 좀 더 자연스러운 문맥을 따라 「參」이라 교감.
닫기
問倭地, 絶在海中洲島之山주 015
각주 015)
원문 「山」. 탕천본은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上」으로 교감. 길림본은 탕천본을 따라 「上」으로 교감. 죽내본은 원문 그대로 씀. 「山」으로 교감해도 문맥에 큰 무리는 없고 오히려 정문의 「山」과 조응한다는 점을 생각해 원문 그대로 씀.
닫기
, 或絶或連, 周旋可五千餘里.” 四面俱抵海, 自營州東南, 經新羅, 至其國也.

  • 각주 001)
    원문 「朝」. 죽내본은 「朝鮮」으로 교감. 탕천본·길림본은 「韓」으로 교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韓」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居」. 탕천본·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爲居」로 「爲」를 보입해서 교감. 죽내본은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는 宋代 이후의 판본이므로 『翰苑』 所引 『後漢書』와 어느 것이 원전에 가까운 것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음. 해석에 크게 무리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居」로 씀. 이후 동일한 원칙을 적용함.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譯」.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驛」. 「譯」과 「驛」은 ‘번역하다’는 뜻에서 통용되는 글자이며, 「使譯」의 용례가 있으므로 원문 그대로 「譯」이라 씀.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漢於」.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於漢」으로 교감. 『後漢書』 원문을 따라 「於漢」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州」. 죽내본·탕천본은 「卅」으로 교감. 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三十」으로 교감. 「卅」으로 보이므로 「卅」으로 교감. 다만 본문에서는 보다 통용되는 「三十」으로 표기.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餘」.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驛」. 문맥상 큰 문제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餘」로 씀. 바로가기
  • 각주 007)
    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稱王」 앞에 「國皆」를 보입. 문맥상 큰 문제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두고 보입하지 않음.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治」.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居」. 「居」에도 ‘다스리다’는 뜻이 있고, 문맥상 큰 문제가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治 」로 씀.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邦臺」.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邪馬臺」로 교감. 「邪馬臺」의 誤寫 및 脫漏로 보이므로 「邪馬臺」로 교감. 단 『後漢書』 원문은 「邪馬臺國」으로 「國」이 부가되어 있음.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甚」.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其」로 교감. 「其」의 誤寫가 확실하므로 「其」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길림본은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東」 뒤에 「冶之東」을 보입. “회계(군)의 동쪽”이든 “회계(군) 동야(현)의 동쪽”이든 대체적인 위치에 큰 차이는 없으므로, 원문 그대로 씀. 바로가기
  • 각주 012)
    원문은 「珠」.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원문 그대로 씀. 현전 『後漢書』 원문은 「朱」. 「珠」과 「朱」는 ‘붉다’는 뜻에서 통용되는 글자이므로 원문 그대로 「珠」로 씀. 바로가기
  • 각주 013)
    원문 「雀」. 죽내본·탕천본·길림본 모두 현전 『後漢書』 원문을 따라 「崖」로 교감. 「崖」의 誤寫가 확실하므로 「崖」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4)
    원문 「炙」. 죽내본·탕천본은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參」으로 교감. 길림본은 판독 원문 그대로 씀. 「炙」의 뜻을 ‘가르침을 받다’로 보면 문맥이 통함. 길림본은 「炙文」 이하를 현행 『三國志』에 실전되어 없는 내용으로 보았으므로 문맥이 통한다고 여긴 부분은 따로 교감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현전 『三國志』 원문과 좀 더 자연스러운 문맥을 따라 「參」이라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5)
    원문 「山」. 탕천본은 현전 『三國志』 원문을 따라 「上」으로 교감. 길림본은 탕천본을 따라 「上」으로 교감. 죽내본은 원문 그대로 씀. 「山」으로 교감해도 문맥에 큰 무리는 없고 오히려 정문의 「山」과 조응한다는 점을 생각해 원문 그대로 씀.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憑山負海, 鎭馬臺以建都, 자료번호 : hw.m_0002_010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