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남쪽으로 [고]구려와 인접했고, 동쪽으로 숙신과 인접했다.

남쪽으로 [고]구려와 인접했고, 동쪽으로 숙신과 인접했다.
어환의 『위략』에 다음과 같이 전한다. “부여국은 현도주 001
각주 001)
이때의 玄菟는 중국 요령성 무순시 일대로 비정되는 이른바 제3현도군이다.
닫기
와 장성의 북쪽에 있는데, 현도에서 천여 리 떨어져 있다. 남쪽으로 [고]구려와 접하고, 동쪽으로 읍루와 접하는데, [읍루는] 바로 숙신국이다.”
 
• 참고
『後漢書』 卷85 夫餘 夫餘國 在玄菟北千里 南與高句驪 東與挹婁 西與鮮卑接 北有弱水 地方二千里 本濊地也
『三國志』 卷30 夫餘 夫餘在長城之北 去玄菟千里 南與高句麗 東與挹婁 西與鮮卑接 北有弱水 方可二千里

  • 각주 001)
    이때의 玄菟는 중국 요령성 무순시 일대로 비정되는 이른바 제3현도군이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남쪽으로 [고]구려와 인접했고, 동쪽으로 숙신과 인접했다. 자료번호 : hw.k_0002_004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