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馬[多]巀嶭, [□]洞穴以霏雲,

馬[多]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多」를 보입. 주문을 참고하여 「多」를 보입.
닫기
巀嶭, [□]주 002
각주 002)
[□] : “洞穴以霏雲”이라는 문장 앞에 “洞穴”을 받는 동사가 빠져 있다. 『한원』 정문이 대체로 사륙변려체 운문임을 고려할 때 글자의 결락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탕천본 문장 앞에 ‘深’을, 길림본 「出」을 보입해야 한다고 보지만 확언할 수 없음.
닫기
洞穴以霏雲,
髙驪記曰: “馬多山在國北. 髙驪之中, 此山最大, 三十里間, 唯通匹주 003
각주 003)
원문 「匹」. ‘輿’로 읽는 의견도 있으나, ‘匹’의 이체자로 읽는 의견을 따른다(湯淺 83쪽).
닫기
馬, 雲霧歊蒸, 終日不霽. 其中多生人參·自주 004
각주 004)
원문 「自」.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白」으로 교감. 풀의 일종인 백부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므로 「白」으로 교감.
닫기
附子·防風·細辛. 山中有南北路, 路東有石壁, 其髙數仞. 下有石室, 可容주 005
각주 005)
원문 「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容」으로 교감. 전후 맥락으로 보아 「容」의 오기로 보이므로 「容」으로 교감.
닫기
千人. 室中有二穴, 莫測深주 006
각주 006)
원문 「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深」으로 교감. 의미상 「深」으로 교감.
닫기
淺, 夷人長老相傳云주 007
각주 007)
원문 「玄」.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云」으로 교감. 문장의 전후 맥락으로 보아 「云」의 오기로 보이므로 「云」으로 교감.
닫기
: ‘髙驪先祖朱주 008
각주 008)
원문 「朱」. 길림본 「未」로 판독 후 「朱」로 교감.
닫기
蒙, 從夫餘至此. 初未有馬, 行至此山, 忽見群馬出穴中. 形小而주 009
각주 009)
원문 「向」. 죽내본 「面」, 탕천본 「疆」, 길림본 「而」로 교감. 문맥을 고려하여 「而」로 교감.
닫기
駿주 010
각주 010)
원문 「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駿」으로 교감. 전후 맥락으로 보아 「駿」의 오기로 보이므로 「駿」으로 교감.
닫기
. 因號馬多山也.’ 子有주 011
각주 011)
“子有” 이하에는 闕文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닫기
.”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多」를 보입. 주문을 참고하여 「多」를 보입. 바로가기
  • 각주 002)
    [□] : “洞穴以霏雲”이라는 문장 앞에 “洞穴”을 받는 동사가 빠져 있다. 『한원』 정문이 대체로 사륙변려체 운문임을 고려할 때 글자의 결락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탕천본 문장 앞에 ‘深’을, 길림본 「出」을 보입해야 한다고 보지만 확언할 수 없음.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匹」. ‘輿’로 읽는 의견도 있으나, ‘匹’의 이체자로 읽는 의견을 따른다(湯淺 83쪽).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自」.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白」으로 교감. 풀의 일종인 백부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므로 「白」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客」. 죽내본·탕천본·길림본 「容」으로 교감. 전후 맥락으로 보아 「容」의 오기로 보이므로 「容」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栥」. 죽내본·탕천본·길림본 「深」으로 교감. 의미상 「深」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玄」.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云」으로 교감. 문장의 전후 맥락으로 보아 「云」의 오기로 보이므로 「云」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朱」. 길림본 「未」로 판독 후 「朱」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向」. 죽내본 「面」, 탕천본 「疆」, 길림본 「而」로 교감. 문맥을 고려하여 「而」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酸」. 죽내본·탕천본·길림본 「駿」으로 교감. 전후 맥락으로 보아 「駿」의 오기로 보이므로 「駿」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子有” 이하에는 闕文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馬[多]巀嶭, [□]洞穴以霏雲,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