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燕晃長駈, 表績丸都之嶠.

燕晃주 001
각주 001)
원문 「晃」. 탕천본·길림본 「皝」으로 교감. 보통 ‘慕容皝’이라고 쓰지만, 『북사』 등 일부 사서에서는 ‘慕容晃’이라고 표기한 사례도 있다. 이에 원문대로 둠.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함.
닫기
長駈, 表績丸都之嶠.
十六國春秋주 002
각주 002)
원문 「曰」.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을 생략. 해당 부분은 「十六國春秋曰前燕錄曰」이라고 하여 「曰」이 중복 표기되어 있으며, 이때 「曰」은 연문인 듯하므로 생략.
닫기
前燕錄曰: “燕主慕容주 003
각주 003)
원문 「容」. 탕천본 판독한 글자는 알 수 없으나 「容」으로 교감.
닫기
晃九年, 晃伐주 004
각주 004)
원문 「代」.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伐」로 교감. 「伐」의 오기로 보이므로 「伐」로 교감.
닫기
句驪, 乘勝長駈, 遂주 005
각주 005)
원문 「遂」. 죽내본 「逐」, 탕천본·길림본 「遂」로 교감.
닫기
入丸주 006
각주 006)
원문 「九」.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丸」으로 교감. 이는 高句麗 丸都城을 가리키는 말로 「丸」의 오기임이 확실함. 이에 「丸」으로 교감. 아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丸」으로 교감.
닫기
都. 句驪王劉주 007
각주 007)
원문 「劉」.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釗」로 교감. 이를 고구려 고국원왕의 휘인 ‘釗’를 말하는 것으로 보고 「釗」로 교감하기도 한다. 그러나 원문의 자형은 ‘劉’의 이체자와 유사하며, 『양서』 고구려전과 『삼국사기』에서도 고국원왕의 휘를 ‘劉’로 전하고 있어 이를 단순히 오기로만 보기는 어렵다. 이에 원문대로 둠.
닫기
單馬奔竄주 008
각주 008)
원문 「竄竄」.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한 글자를 생략. 같은 글자가 두 번 반복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알기 어렵다. 이에 죽내본은 이 두 글자를 사이에 두고 앞뒤의 문장을 “驪王劉單馬奔竄, 竄乃掘其父墓”로 끊어 읽기도 한다. 그러나 『한원』 주문에서는 보통 같은 글자를 반복할 때 ‘〻’ 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오기일 가능성이 크며, 사전을 확인해보아도 ‘竄竄’의 용례는 찾아지지 않으므로 연문으로 보아 한 글자를 생략.
닫기
. 乃掘其父墓, 載其尸, 幷주 009
각주 009)
원문 「幷」. 탕천본 「幷收」로 「收」를 보입하여 교감. 현전하는 『十六國春秋』에서는 “掘釗父乙弗利墓 載其尸 並其母妻 收其府庫 累世珍寳”라 기록하고 있고, 『晉書』 卷109 慕容皝에서는 “皝掘釗父利墓 載其尸幷其母妻珍寶”라 하고 있다. 이처럼 관련 문헌을 찾아보아도 「收」를 보입할 이유를 찾기 어려우며, 굳이 보입하지 않아도 문의는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닫기
주 010
각주 010)
원문 「母」. 죽내본 「世」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母」로 교감. 내용상 「母」로 교감.
닫기
妻珍寶, 掠男女五萬餘口, 焚주 011
각주 011)
원문 「禁」. 탕천본·길림본 「焚」으로 교감. 문맥상 「焚」으로 교감.
닫기
其宮室, 毀丸都而歸.” 乃不耐城也.

  • 각주 001)
    원문 「晃」. 탕천본·길림본 「皝」으로 교감. 보통 ‘慕容皝’이라고 쓰지만, 『북사』 등 일부 사서에서는 ‘慕容晃’이라고 표기한 사례도 있다. 이에 원문대로 둠. 이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함.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曰」.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曰」을 생략. 해당 부분은 「十六國春秋曰前燕錄曰」이라고 하여 「曰」이 중복 표기되어 있으며, 이때 「曰」은 연문인 듯하므로 생략.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容」. 탕천본 판독한 글자는 알 수 없으나 「容」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4)
    원문 「代」.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伐」로 교감. 「伐」의 오기로 보이므로 「伐」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5)
    원문 「遂」. 죽내본 「逐」, 탕천본·길림본 「遂」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6)
    원문 「九」. 죽내본·탕천본·길림본 「丸」으로 교감. 이는 高句麗 丸都城을 가리키는 말로 「丸」의 오기임이 확실함. 이에 「丸」으로 교감. 아래에서도 해당 글자는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丸」으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7)
    원문 「劉」.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釗」로 교감. 이를 고구려 고국원왕의 휘인 ‘釗’를 말하는 것으로 보고 「釗」로 교감하기도 한다. 그러나 원문의 자형은 ‘劉’의 이체자와 유사하며, 『양서』 고구려전과 『삼국사기』에서도 고국원왕의 휘를 ‘劉’로 전하고 있어 이를 단순히 오기로만 보기는 어렵다. 이에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08)
    원문 「竄竄」.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한 글자를 생략. 같은 글자가 두 번 반복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알기 어렵다. 이에 죽내본은 이 두 글자를 사이에 두고 앞뒤의 문장을 “驪王劉單馬奔竄, 竄乃掘其父墓”로 끊어 읽기도 한다. 그러나 『한원』 주문에서는 보통 같은 글자를 반복할 때 ‘〻’ 표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오기일 가능성이 크며, 사전을 확인해보아도 ‘竄竄’의 용례는 찾아지지 않으므로 연문으로 보아 한 글자를 생략. 바로가기
  • 각주 009)
    원문 「幷」. 탕천본 「幷收」로 「收」를 보입하여 교감. 현전하는 『十六國春秋』에서는 “掘釗父乙弗利墓 載其尸 並其母妻 收其府庫 累世珍寳”라 기록하고 있고, 『晉書』 卷109 慕容皝에서는 “皝掘釗父利墓 載其尸幷其母妻珍寶”라 하고 있다. 이처럼 관련 문헌을 찾아보아도 「收」를 보입할 이유를 찾기 어려우며, 굳이 보입하지 않아도 문의는 통하므로 원문대로 둠. 바로가기
  • 각주 010)
    원문 「母」. 죽내본 「世」로 판독, 탕천본·길림본 「母」로 교감. 내용상 「母」로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11)
    원문 「禁」. 탕천본·길림본 「焚」으로 교감. 문맥상 「焚」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燕晃長駈, 表績丸都之嶠. 자료번호 : hw.m_0002_0060_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