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結歡饒浦, 素尙髡[頭]之姿,

結歡饒浦, 素尙髡[頭]주 001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頭」 보입. 사륙의 문장구조나 문맥을 고려했을 때 「頭」를 보입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보입하여 교감.
닫기
之姿,
後漢書曰: “鮮卑[其言語習俗]주 002
각주 002)
원문 「鮮卑」.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其言語習俗」, 길림본 「鮮卑言語習俗」으로 교감. 『후한서』와 『삼국지』에 「其言語習俗」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절이나 아래의 내용을 참조했을 때 선비와 오환의 언어 및 습속과 관련된 내용이라는 것이 추정 가능하다. 이에 「其言語習俗」을 보입하여 교감.
닫기
與烏桓同. 唯婚姻先髡주 003
각주 003)
원문 「髮」. 죽내본 「髠」, 탕천본·길림본 「髡」으로 교감. 선비의 풍습을 전하는 다른 기록을 참조하여 「髡」으로 교감.
닫기
頭, 以季春月, 大會於饒樂水上, 飮宴畢, 然後配合者也.”

  • 각주 001)
    원문에는 글자가 없다.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길림본 「頭」 보입. 사륙의 문장구조나 문맥을 고려했을 때 「頭」를 보입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2)
    원문 「鮮卑」. 죽내본 원문대로, 탕천본 「其言語習俗」, 길림본 「鮮卑言語習俗」으로 교감. 『후한서』와 『삼국지』에 「其言語習俗」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절이나 아래의 내용을 참조했을 때 선비와 오환의 언어 및 습속과 관련된 내용이라는 것이 추정 가능하다. 이에 「其言語習俗」을 보입하여 교감.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 「髮」. 죽내본 「髠」, 탕천본·길림본 「髡」으로 교감. 선비의 풍습을 전하는 다른 기록을 참조하여 「髡」으로 교감.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結歡饒浦, 素尙髡[頭]之姿, 자료번호 : hw.m_0002_0030_0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