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夜郞啓搆 爰契浮竹之靈

夜郞啓搆주 001
각주 001)
죽내본 「構」, 길림본 「搆」. 아래의 용례를 통해 「搆」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 元順墓誌
닫기
주 002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爰」. 아래의 용례를 통해 「爰」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 元靈曜誌
닫기
契浮竹之靈
後漢書曰 西南夷者 皆在蜀都激外 有夜郞國 東接交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交」. 자형의 차이가 있지만 아래의 용례에서 보이는 「交」와 자획이 유사하므로 「交」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阯 西慎國 慎國北有功주 004
각주 004)
죽내본 「功」, 길림본 「切」. 좌변이 「工」으로 판독되므로 자형에 따라 「功」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都國 各立君長 其人皆推髻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髻」. 아래의 용례를 통해 「髻」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닫기
左枉주 006
각주 006)
죽내본 「枉」, 길림본 「抂」. 좌변이 「木」으로 판독되므로 자형에 따라 「枉」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닫기
邑聚而居 能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能」. 아래의 용례를 통해 「能」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摩訶止觀
닫기
耕田 其外有布嶲주 008
각주 008)
죽내본 「嶲」, 길림본 「巂」. 아래의 용례를 통해 「嶲」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嶲州邛都丞張君墓誌之銘
닫기
昆眀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明」. 자형에 따라 「眀」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諸落 西極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極」. 아래의 용례를 통해 「極」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닫기
同師주 011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師」. 아래의 용례를 통해 「師」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東北至葉楡 地方數千里 無君長 辯주 012
각주 012)
죽내본 「辨」, 길림본 「辮」. 아래의 용래를 통해 「辯」으로 판독. 당초본도 「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奈良 聖武天皇 雑集 辯
신출자

飛鳥 王勃詩序
닫기
주 013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髮」. 자형에 따라 「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張寧墓誌
닫기
주 014
각주 014)
죽내본 「隨」, 길림본 「随」. 자형에 따라 「随」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닫기
畜遷徙주 015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徙」. 아래의 용례를 통해 「徙」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張妻㴙善相利墓誌
닫기
無常 自布嶲東北有荏주 016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荏」. 아래의 용례를 통해 「荏」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漢·居延漢簡
닫기
都國 荏都國東北有冉주 017
각주 017)
죽내본·길림본 「冉」. 아래의 용례를 통해 「冉」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駹國 夷土著 或随畜遷徙自冉駹東北有白주 018
각주 018)
죽내본·길림본 「白」. 자형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자획이 유사하므로 아래의 용례를 통해 「白」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닫기
馬國 互種也 此三國亦有君長 夜郞者 初有女子兒주 019
각주 019)
죽내본 「兒」, 길림본 「況」. 아래의 용례를 통해 「兒」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大字诗赞
닫기
於▼{月+逐}주 020
각주 020)
죽내본 「▼{月+逐}」, 길림본 「遯」. 자형에 따라 「▼{月+逐}」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水 有三節주 021
각주 021)
죽내본·길림본 「節」. 아래의 용례를 통해 「節」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大竹浮入足주 022
각주 022)
죽내본·길림본 「足」. 아래의 용례를 통해 「足」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닫기
주 023
각주 023)
죽내본 「間」, 길림본 「聞」. 자형에 따라 「聞」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其中有號주 024
각주 024)
죽내본·길림본 「號」. 아래의 용례를 통해 「號」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닫기
聲 部竹視之 得一男兒 歸주 025
각주 025)
죽내본·길림본 「歸」. 아래의 용례를 통해 「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닫기
而養之 乃長 有才武 自立爲夜郞侯주 026
각주 026)
죽내본·길림본 「侯」. 원문에 약간의 결실이 있지만 아래의 용례를 통해 「侯」로 추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以竹爲姓 武帝元㫀주 027
각주 027)
죽내본 「鼎」, 길림본 「㫀」. 자형에 따라 「㫀」으로 판독. 「㫀」은 「鼎」의 이체자.
신출자

원문
닫기
六年주 028
각주 028)
죽내본·길림본 「年」. 아래의 용례를 통해 「年」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西南夷 爲样주 029
각주 029)
죽내본 「样」, 길림본 「樣」. 자형에 따라 「样」으로 판독. 「样」은 「樣」의 간자.
신출자

원문
닫기
주 030
각주 030)
죽내본 「柯」, 길림본 「祠」. 아래의 용례를 통해 「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處士張沖墓誌銘
닫기
郡 夜郞侯주 031
각주 031)
죽내본·길림본 「侯」. 아래의 용례를 통해 「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닫기
返降 天子賜其王印綬 後遂煞之

  • 각주 001)
    죽내본 「構」, 길림본 「搆」. 아래의 용례를 통해 「搆」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 元順墓誌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爰」. 아래의 용례를 통해 「爰」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 元靈曜誌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交」. 자형의 차이가 있지만 아래의 용례에서 보이는 「交」와 자획이 유사하므로 「交」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 「功」, 길림본 「切」. 좌변이 「工」으로 판독되므로 자형에 따라 「功」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髻」. 아래의 용례를 통해 「髻」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 「枉」, 길림본 「抂」. 좌변이 「木」으로 판독되므로 자형에 따라 「枉」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能」. 아래의 용례를 통해 「能」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晩唐·摩訶止觀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 「嶲」, 길림본 「巂」. 아래의 용례를 통해 「嶲」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嶲州邛都丞張君墓誌之銘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明」. 자형에 따라 「眀」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極」. 아래의 용례를 통해 「極」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師」. 아래의 용례를 통해 「師」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 「辨」, 길림본 「辮」. 아래의 용래를 통해 「辯」으로 판독. 당초본도 「辯」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奈良 聖武天皇 雑集 辯
    신출자

    飛鳥 王勃詩序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髮」. 자형에 따라 「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張寧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 「隨」, 길림본 「随」. 자형에 따라 「随」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徙」. 아래의 용례를 통해 「徙」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隋張妻㴙善相利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荏」. 아래의 용례를 통해 「荏」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漢·居延漢簡
     바로가기
  • 각주 017)
    죽내본·길림본 「冉」. 아래의 용례를 통해 「冉」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18)
    죽내본·길림본 「白」. 자형은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자획이 유사하므로 아래의 용례를 통해 「白」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五代·大毗盧經
     바로가기
  • 각주 019)
    죽내본 「兒」, 길림본 「況」. 아래의 용례를 통해 「兒」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大字诗赞
     바로가기
  • 각주 020)
    죽내본 「▼{月+逐}」, 길림본 「遯」. 자형에 따라 「▼{月+逐}」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21)
    죽내본·길림본 「節」. 아래의 용례를 통해 「節」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22)
    죽내본·길림본 「足」. 아래의 용례를 통해 「足」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바로가기
  • 각주 023)
    죽내본 「間」, 길림본 「聞」. 자형에 따라 「聞」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24)
    죽내본·길림본 「號」. 아래의 용례를 통해 「號」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古文尙書
     바로가기
  • 각주 025)
    죽내본·길림본 「歸」. 아래의 용례를 통해 「歸」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十誦律
     바로가기
  • 각주 026)
    죽내본·길림본 「侯」. 원문에 약간의 결실이 있지만 아래의 용례를 통해 「侯」로 추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27)
    죽내본 「鼎」, 길림본 「㫀」. 자형에 따라 「㫀」으로 판독. 「㫀」은 「鼎」의 이체자.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28)
    죽내본·길림본 「年」. 아래의 용례를 통해 「年」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 각주 029)
    죽내본 「样」, 길림본 「樣」. 자형에 따라 「样」으로 판독. 「样」은 「樣」의 간자.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30)
    죽내본 「柯」, 길림본 「祠」. 아래의 용례를 통해 「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處士張沖墓誌銘
     바로가기
  • 각주 031)
    죽내본·길림본 「侯」. 아래의 용례를 통해 「侯」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初唐·禮記正義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夜郞啓搆 爰契浮竹之靈 자료번호 : hw.d_0002_012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