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역주 한원

冠石存 公孫創基於延里

冠石存 公孫創基於延주 001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延」. 아래의 용례를 통해 「延」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干祿字書
닫기
魏志曰 公孫度 遼東襄平人 董卓時爲遼東太守 初平中襄平延里社주 002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社」. 아래의 용례를 통해 「社」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歷代書法字彙 示部
닫기
生大石 長丈餘 下有三小石爲之足주 003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足」. 아래의 용례를 통해 「足」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宋元以來俗字譜引 古今雜劇
닫기
或謂度曰 此漢宣帝冠石之祥 眀주 004
각주 004)
죽내본 「明」, 길림본 「眀」. 좌변의 자형에 따라 「眀」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西嶽華山亭碑
닫기
當土地 乃分주 005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分」. 아래의 용례를 통해 「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曹全碑
닫기
遼東郡爲遼西中遼郡 置太守 越海牧東菜諸縣 置榮州刺史 自立爲遼東侯平州牧 立漢二祖廟 承주 006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承」. 아래의 용례를 통해 「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手部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手部
닫기
制設壇憚於襄주 007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襄」. 아래의 용례를 통해 「襄」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太平樂府
닫기
平城南 郊祀天地 太祖表度爲駦威將주 008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將」. 아래의 용례를 통해 「將」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梁蕭憺碑
닫기
軍 永寧주 009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寧」. 아래의 용례를 통해 「寧」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古今雜劇
닫기
鄉侯 度曰 我土遼東 何永寧也 度死至孫栥 以景初元年 自立爲燕王 置百官 二年 遣司馬宣王征 累破 遂進運 造주 010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造」. 자형에 따라 「造」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城下爲國주 011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國」. 자형에 따라 「國」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塹 起土山修주 012
각주 012)
죽내본 「脩」, 길림본 「修」. 아래의 용례를 통해 「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人部
닫기
주 013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橧」. 자형에 따라 「橧」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爲發石連努射城中 深주 014
각주 014)
죽내본·길림본 「深」. 자형에 따라 「深」으로 판독. 당초본도 「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닫기
窘忽糧書相食 死者甚多 深遂突주 015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突」. 아래의 용례를 통해 「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 元保洛墓誌
닫기
國東南走 急擊之 斬其父子 遼東悉주 016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悉」. 아래의 용례를 통해 「悉」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帝堯碑
닫기
平也

  • 각주 001)
    죽내본·길림본 「延」. 아래의 용례를 통해 「延」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唐 干祿字書
     바로가기
  • 각주 002)
    죽내본·길림본 「社」. 아래의 용례를 통해 「社」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歷代書法字彙 示部
     바로가기
  • 각주 003)
    죽내본·길림본 「足」. 아래의 용례를 통해 「足」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宋元以來俗字譜引 古今雜劇
     바로가기
  • 각주 004)
    죽내본 「明」, 길림본 「眀」. 좌변의 자형에 따라 「眀」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西嶽華山亭碑
     바로가기
  • 각주 005)
    죽내본·길림본 「分」. 아래의 용례를 통해 「分」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隸辨 引 曹全碑
     바로가기
  • 각주 006)
    죽내본·길림본 「承」. 아래의 용례를 통해 「承」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手部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手部
     바로가기
  • 각주 007)
    죽내본·길림본 「襄」. 아래의 용례를 통해 「襄」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太平樂府
     바로가기
  • 각주 008)
    죽내본·길림본 「將」. 아래의 용례를 통해 「將」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梁蕭憺碑
     바로가기
  • 각주 009)
    죽내본·길림본 「寧」. 아래의 용례를 통해 「寧」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古今雜劇
     바로가기
  • 각주 010)
    죽내본·길림본 「造」. 자형에 따라 「造」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1)
    죽내본·길림본 「國」. 자형에 따라 「國」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2)
    죽내본 「脩」, 길림본 「修」. 아래의 용례를 통해 「修」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佛教難字字典 人部
     바로가기
  • 각주 013)
    죽내본·길림본 「橧」. 자형에 따라 「橧」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4)
    죽내본·길림본 「深」. 자형에 따라 「深」으로 판독. 당초본도 「深」으로 판독.
    신출자

    원문
     바로가기
  • 각주 015)
    죽내본·길림본 「突」. 아래의 용례를 통해 「突」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魏 元保洛墓誌
     바로가기
  • 각주 016)
    죽내본·길림본 「悉」. 아래의 용례를 통해 「悉」로 판독.
    신출자

    원문
    신출자

    帝堯碑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冠石存 公孫創基於延里 자료번호 : hw.d_0002_0060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