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4년도 발굴조사

크라스키노발해성

서론

  • 저필자
    김은국, 정석배, E.I. 겔만
동북아역사재단은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크라스키노 발굴조사단과 공동으로 2014년 7월 12일부터 8월 15일까지 러시아연방 연해주 하산 지구의 크라스키노 성터에서 발굴조사를 하였다(도면 1~4). 발굴조사는 제44구역, 제47구역, 그리고 제49구역에서 실시하였다(도면 5, 6).
2014년도에 크라스키노 성의 북서쪽 부분에 설정된 제44구역 동쪽 섹터에서는 제3~5 건축면 조사를 마무리하였고, 서쪽 섹터에서는 일부 남아 있는 석조 건물 구조물과 경제 유구를 포함하는 제3~4 건축면 조사를 마무리하였다.
성의 북쪽 중간 부분에서는 제47구역 섹터 3의 범위 내에서 2011년도에 그 윗부분이 드러난 돌을 깐 도로 일부를 계속해서 조사하였다. 이번 발굴 기간에는 새로이 4개의 돌 포장층을 노출 조사하였다. 섹터 3(2011년도 발굴구역)과 섹터 6(2013년도 발굴구역)의 남동쪽에 새로이 제49구역을 설정하여 2011년도와 2013년도에 각각 파악된 두 도로의 교차지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도시 구역 경계가 일부 밝혀졌다.
발굴조사단은 여러 단계에 거주하였던 성터 주민들의 물질적 및 정신적 문화, 발해 주민들과 자연환경 사이의 상호관계, 그리고 유적의 상대적 및 절대적 연대 등에 관한 포괄적이고 완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014년도 크라스키노 성 야외조사 기간의 기본 과제들은 다음과 같았다.
- 아래 건축면들을 연구하기 위해 유적 북서쪽 부분 제44구역의 거주구역 조사를 계속해서 진행한다.
- 도로의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그리고 크라스키노 성 존속의 여러 단계에서의 내부 구획을 파악하기 위해 제47구역 섹터 3의 범위 내에서 아래 건축면들 조사를 계속해서 진행한다.
- 유적의 북쪽 중앙 부분에서 확인된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의 두 도로 교차지점 일대의 내부 구획을 파악하기 위해 제44구역 위 건축면을 조사한다.
- 문화층 비파괴 탐침검사 방법을 통한 고고학 유적 조사방법론의 개선을 위해, 고고학 건축 유구들과 다른 유구들의 노출을 위해, 그리고 고고학적인 방법으로 확보된 자료들과 비교하기 위해 제44구역의 아래 건축면들에서 지질-암석물리 조사(토양 상층들에 대한 층위적 지자기 탐사)를 한다.
러시아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야외조사부는 E.I.겔만에게 2014년도에 크라스키노 성에서 고고학 발굴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 623 발굴허가서를 발급하였다. 발굴조사는 3개 지점 제44구역(116㎡), 제47구역(36㎡), 제49구역(160㎡)에서 총 312㎡ 면적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크라스키노 발굴조사단의 구성: 러시아과학원 극동지소 역사학고고학민족학연구소 E.I. 겔만 박사(발굴단장), E.V. 아스따쉔꼬바 박사, Ya.E. 삐스까료바 박사, V.I. 볼딘 박사, A.L. 이블리예프 박사, E.V. 또로뽀바 도서관장, S.S. 까바친스끼 대학원 박사과정, A.Yu. 사나페예프 조수.
동북아역사재단(대한민국, 서울) 김은국 박사, 한국전통문화대학교(대한민국, 부여) 정석배 교수, 중국 길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김은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대학원 석사과정 정동귀, 김영현, 이민영.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역사학고고학인류학과 1~5학년 학생 V.I. 빠루추크, R.A. 그리찌께비치, A.S. 곤차로바, O.A. 깔라체바, S.S. 꾸뚜조프, A.E. 뽀스떼르나크, E.S. 자이찌, K.A. 말쩨프, V.P. 라이첸꼬프, S.N. 빠블리가.
연해주 정보 프로그램국 직원(“베스찌: 쁘리모리예”, 국립텔레비전라디오채널방송 블라디보스토크) V.S. 찌노브낀.
운전기사 M.V. 부트, 요리사 V.J. 아줄리스. 그 외 V.V. 벨랴예프, A.V. 찌노브낀, A.K. 아가뽀바, Ya.V. 꾸르노센꼬, P.I. 꼴로미에찌, I.G. 아파나시예브, V.G. 오가이, A.E. 이사예브, D.G. 구뜨니크, P.S. 올레이니크, V.S. 올레이니크, R.S. 올레이니크.
블라디보스토크 중등학생 T.A. 삐스까료바, I.B. 떼레호브, M.A. 쉬삘로브, D.D. 말쩨바, A.S. 데미나.
이 책의 텍스터 작업은 E.I. 겔만, E.V. 아스따쉔꼬바, Ya.E. 삐스까료바, 정석배, 김은국이 하였고, 텍스터에 대한 교열은 E.I. 겔만, 김은국, 정석배가 하였다.
발굴조사 현장에서의 도면 작업과 사진 촬영은 김은국, 정석배, 김은옥, 정동귀, 김영현, 이민영, E.I. 겔만, E.V. 아스따쉔꼬바, Ya.E. 삐스까료바 등 한국과 러시아의 발굴단원이 함께하였다. 토제 유물의 정리와 분석은 E.I. 겔만이 하였고, 석제 유물의 정리 분석은 현장에서 E.V. 또르뽀바, E.I. 겔만, A.L. 이블리예프가 하였다. 유물 실측은 E.I. 겔만, 김은옥, 김영현이 하였다. 유물사진 촬영은 김은국, 정석배, L.A. 까라까가 하였다. 유구 도면의 컴퓨터 작업은 D.G. 또밀로프와 A.Yu. 사나폐예프, 유물 컴퓨터 작업은 S.V. 리빠또바가 각각 하였다. 그 외 자료 정리에 극동연방대학교 3학년 학생 A. 보로루예바가 참여하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서론 자료번호 : kr.d_0012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