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계관고성

鷄冠古城
  • 저필자
    정동준(충남대학교)
  • 시대
    발해
  • 위치
  • 원소장처
    吉林省 汪淸縣 鷄冠鄕 鷄冠村
  • 시대
    발해
  • 유형
규모
둘레: 1,690m, 남: 510m, 북: 510m, 동: 333m, 서: 337m
입지
고성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북에서 남쪽으로 흘러가는 계관하(鷄冠河)가 있고, 성과 계관하(鷄冠河) 사이에는 왕청(汪淸)에서 나자구(羅子沟)에 이르는 도로가 남북으로 지나간다. 성 북쪽에는 동서방향의 산등성이가 있고, 남쪽에는 동에서 서로 흘러가는 유수하(柳樹河)와 접해 있다.
유적개관
고성은 강돌(하란석(河卵石))과 흙을 섞어서 축조하였으며, 장방형으로 방향은 195도이다. 북벽은 보존이 비교적 좋다. 서벽은 이미 논으로 개간되어서 성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벽과 남벽은 보존이 비교적 좋지 않다. 북벽에 북문지 유적이 있으나, 남문지는 분명하지 않다.
유물개관
수습된 유물에는 암키와, 수키와, 처마 암키와, 와당, 도제방추차, 도기 구연 등의 유물이 포함되어 있다.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縣) 계관향(鷄冠鄕)에서 동북쪽으로 약 300m 떨어진 평지에 있다. 고성에서 서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가는 계관하(鷄冠河)가 있고, 성과 계관하 사이에는 왕청(汪淸)에서 나자구(羅子溝)에 이르는 도로가 남북으로 지나간다. 성 북쪽에는 동서방향의 산등성이가 있고, 남쪽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흘러가는 유수하(柳樹河)와 접해 있다.
고성은 자갈과 흙을 섞어서 축조하였으며, 장방형으로 방향은 195도이다. 남벽과 동벽은 각각 510m, 동벽은 333m이며, 서벽은 337m로 전체 둘레는 1,690m나 된다. 북벽은 보존이 비교적 좋다. 서벽은 이미 논으로 개간되어서 성벽이 존재하지 않는다. 동벽과 남벽은 일부가 유수하(柳樹河)에 침식되어, 보존이 비교적 좋지 않다. 북벽에 북문지 유적이 있으나, 남문지는 분명하지 않다. 고성 안은 이미 농경지로 개간되었다.
현지인들에 의하면, 일찌기 고성 안에서 100여 점에 달하는 돌절구가 나왔으며 현재는 마을 사람들 집에도 적지 않다고 한다. 지압문(指壓紋) 암키와, 미구가 있는 수키와, 연꽃무늬 막새기와는 발해 유적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전형적인 유물로서 고성의 편년에 근거가 되었다. 이 성은 현재 왕청현(汪淸縣)에서 발견된 규모가 가장 큰 발해고성이다. 계관고성은 공교롭게도 발해 동주(銅州)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규모 또한 비교적 크기 때문에, 동주 치소의 위치를 연구하는데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습된 유물에는 암키와, 수키와, 처마 암키와, 막새기와, 도제 방추차, 토기 아가리 등의 유물이 포함되어 있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계관고성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5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