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6) 제3-2생활면 유구

(1) 제40-제44구역
14호 주거지. 제40구역의 동쪽섹터와 제44구역의 동쪽섹터에 걸쳐서 위치한다(도면 330). 제40구역 부분은 2009년에, 제44구역 부분은 2014년에 각각 조사가 되었다. 제40구역에서는 제3생활면에 속하는 것으로, 제44구역에서는 제4생활면에 속하는 것으로 각각 다르게 판단되어 생활면 설정에 있어 문제점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제40구역의 경우 제3생활면에 위치하는 11호 주거지보다 레벨이 더 낮고, 또한 제4생활면에 속하는 13호 주거지보다 레벨이 더 높다. 때문에 14호 주거지는 잠정적으로 제3-2생활면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도면 330 | 크라스키노성 제40구역과 제44구역 동쪽섹터 14호와 15호 주거지 등 평면도
제40구역 동쪽섹터에는 14호주거지가 제2생활면에 속하는 9호 주거지의 바로 밑에 겹 놓인 관계로 위치한다. 9호 주거지를 축조할 때에 일부가 훼손 혹은 삭평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14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주거지의 존재가 인식되었으며, 구들과 굴뚝 흔적이 확인되었다(도면 331; 332). 14호 주거지와 관련된 퇴적층의 두께는 약 20㎝이다. 구들의 일부였던 것으로 생각되는 돌들은 북동-남서 방향을 열을 이루고 있으며, 구들이 잔존하는 곳은 주거지의 북서벽 안쪽으로 판단되었다. 구들의 잔존 길이는 도면의 축적으로 통해 판단해 볼 때에 약 2.15m이다. 구들에 사용된 돌들은 길이가 35~40㎝, 너비가 20~24㎝이다. 구들의 돌들을 제거하자 그 아래에서 고래가 확인되었는데 너비는 25㎝, 깊이는 13㎝이었고, 속이 숯 사질토로 채워져 있었다. 이 고래는 구들의 남서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10호로 명명된 구덩이와 연결되고 있어, 10호 구덩이는 구들의 굴뚝자리로 판단되었다(도면 333; 334). 10호 구덩이는 크기가 84×90㎝인 둥근 얼룩형태로 노출되었는데 가장자리가 붉게 달구어진 사질토였다. 이 구덩이의 깊이는 20~25㎝이다. 구들의 석열과 거의 직각을 이루는 남동 방향으로 흑색의 재 사질토 띠가 1줄 확인되었다(도면 332). 이 띠는 길이가 약 1m이고, 너비는 20~25㎝로서 구들 고래의 내부퇴적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14호 주거지의 구들은 굴뚝 가까이의 모서리 부분에서 ‘ㄴ’자 모양으로 꺾인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하지만 구들의 전체 평면모양과 규모는 알 수 없다. 한편 주거지의 남서벽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회갈색 사질점토들이 발견되었는데1 4호 주거지의 벽체를 바른 점토 잔재로 파악되었다. 남서벽은 굴뚝 부분에서 서쪽섹터의 남동쪽 모서리에서 약1 .2m 거리의 지점(제-21방안)까지 나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추정은 정확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제44구역에서 조사된 14호 주거지의 윤곽선과 추정 남서벽이 거의 합치한다. 추정 남서벽의 중간 부분(예-20방안)에는 크고 납작한 돌이 하나 놓여 있다(도면 332). 이 돌은 크기가 70×32㎝이고, 두께가 15㎝이다. 이 돌 곁에서 적색의 불에 달구어진 점토 얼룩이 하나 위치한다.
도면 331 | 크라스키노성 제40구역 서쪽섹터 14호 주거지 모습(남서쪽에서)(2009)
도면 332 | 크라스키노성 제40구역 서쪽섹터 14호 주거지 모습(남쪽에서)(2009)
2014년에는 14호 주거지의 동쪽 절반 정도가 제44구역의 동쪽섹터에서 조사되었다. 제44구역에서는 제9인공층 제거 후에 이 주거지가 갈색 사질토 얼룩 및 굵은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의 형태로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남쪽 부분은 더 늦은 시기의1 호 노지에 의해 훼손된 상태였다. 주거지의 동남벽은 길이가3 .8m이며, 그 안쪽으로 초석으로 보이는 것이 2개 그리고 적심의 흔적으로 보이는 돌무지가 1개소 각각 확인되었다(도면 335; 336). 동남벽 가운데 안쪽(까-19방안)의 초석은 크기가 20×34㎝이고, 동남벽과 동북벽의 모서리 안쪽에 있는 초석은 크기가 14×44㎝이다. 노지는 이 주거지의 동쪽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다. 2호 노지로 명명된 이 노지는 둥근 모양의 불에 달구어진 적갈색 얼룩의 형태로 노출되었고, 직경은1 .3m이다(도면 336; 337). 이 노지의 북쪽 가장자리 부분에는 3개의 큰 돌이 놓여 있으며, 남쪽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다른1개 의 돌이 있다. 2호 노지의 불에 달구어진 부분의 두께는 약 20㎝이다(도면 338). 2호 노지는 14호 주거지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면 333 | 크라스키노성 제40구역 서쪽섹터 14호 주거지 내 10호 구덩이모습(2009)
도면 334 | 크라스키노성 제40구역 서쪽섹터 14호 주거지 내 10호 구덩이 단면 모습(2009)
도면 335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4호 주거지 모습(북쪽에서)(2014)
도면 336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4호 주거지 모습(서쪽에서)(2014)
도면 337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4호 주거지 내 2호 노지 모습(2014)
도면 338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4호 주거지 내 2호 노지 단면모습(2014)
14호 주거지는 크기가 약 3.8×5.2m이다. 수혈식 주거지인데 내부퇴적토의 두께, 다시 말해서 주거지 수혈의 깊이는 약 20㎝이다. 평면 형태는 네 모서리가 방위 방향으로 배치된 말각 장방형에 가깝다(도면 339).
도면 339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4호 주거지 등 모습(북쪽에서)(2014)
2009년에 조사된 14호 주거지의 서쪽 부분에서는 부정형의 철제 유물편들(도면 2009-402; 403, 1), 철제 화살촉(도면 2009-400; 401; 403, 2; 404)(도면 695, 12), 토기편들(도면 2009-405, 406) 등이 출토되었다. 2014년에 조사된 14호 주거지의 동쪽 부분에서는 철제 판 모양 유물편, 주철제 솥 동체부편(도면 2014-263~265), 부정형 철제 유물편들 등이 출토되었다.
15호 주거지. 제40구역과 제44구역의 동쪽섹터에 각각 걸쳐 위치한다(도면 330). 제40구역에 위치하는 부분은 2009년에, 제44구역에 위치하는 부분은 2014년에 각각 조사되었다. 하지만 제40구역의 동쪽섹터에는 15호 주거지의 극히 일부분만 걸쳐져 있어 주거지에 대한 조사내용이 거의 없다. 때문에 이 주거지에 대한 조사내용은 2014년 발굴조사 보고서에 대부분 수록되어 있다. 14호 주거지와 마찬가지로 제40구역에서는 제3생활면에 속하는 것으로, 제44구역에서는 제4생활면에 속하는 것으로 각각 다르게 판단되었다. 북쪽으로 이웃하는 14호 주거지의 예를 본다면 제3-2생활면에 속할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2014년에 조사한 제44구역에서는 15호 주거지의 윤곽이 제9인공층 제거 후에 확인되기 시작하였고(도면 2014-219; 220; 223), 제10인공층 제거 후에 윤곽선이 매우 분명하게 드러났다(도면 2014-269; 224; 227; 228, 230; 235).
주거지의 평면 모양은 모서리들이 둥그스름한 준장방형이며 크기는 대략5 ×5m이다(도면 319; 340~343). 주거지는 구덩이를 파고 만든 수혈식이다. 15호 주거지의 윤곽은 동쪽 부분의 경우에는 숯, 토기편, 소토 등이 포함된 크기가 2.26×0.66m인 길쭉한 암갈색 사질토 얼룩의 형태로 확인되었고, 북쪽 부분과 서쪽 부분은 주거지 바깥과 서로 구분되는 토양에 의해 각각 구분되었다1. 5호 주거지는 제3생활면에 속하는 후대의 유구들에 의해 훼손이 많이 된 상태였다. 동북쪽 부분에는2 호 수혈구덩이에 의해, 동쪽 가장자리 부분은1 1호 구덩이에 의해, 남쪽 부분은 10호 구덩이에 의해, 서쪽 부분은 추정 배수 도랑(길이 3.8m, 너비 0.5~0.7m)에 의해 각각 파괴되었다.
도면 340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5호 주거지 평면도와 구덩이 단면도(2014)
도면 341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5호 주거지 모습(남쪽에서)(2014)
도면 342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5호 주거지 모습(동쪽에서)(2014)
도면 343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5호 주거지 모습(동쪽에서)(2014)
도면 344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5호 주거지 내 11A호 구덩이 모습(2014)
도면 345 | 크라스키노성 제44구역 동쪽섹터 15호 주거지 내 구덩이 상면 모습(2014)
주거지 내부퇴적토의 윗부분에서는 주거지의 가운데 동쪽 부분에서 돌들이 흩어져 있는 것과 북서쪽 부분에서 9호 구덩이(직경 40㎝, 깊이 10㎝)가 확인되었다. 내부퇴적토의 중간 부분에서는 더 많은 수량의 토기편과 숯, 석탄, 소토 등의 쪼가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주거지의 바닥에서는 토기 동체부와 와편으로 만들 놀이 알들, 철제 못(도면 2014-238), 철제 유물, 철제 칼편(도면 2014-239; 240), 토제 도가니편, 다량의 토기편(도면 2014-241~254)(도면 757, 5; 791, 10; 831, 7; 845, 12; 907, 4; 923, 2; 971, 7; 981, 6; 986, 7) 등이 출토되었다.
15호 주거지가 정말로 주거지였는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논쟁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된다. 내부퇴적토에서 석탄 쪼가리가 다수 발견된 점과 도가니편이 발견된 것은 이 유구가 주거지가 아니라 생산활동과 관련된 시설이었을 수도 있음을 보여 준다고 생각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6) 제3-2생활면 유구 자료번호 : kr.d_0016_0020_0040_0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