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3) 제2건축면

제2건축면에 속하는 유구들은 섹터 1과 섹터 2에서 제5인공층을 조사한 다음에 노출되었다. 먼저 섹터 1과 섹터 2 사이에 남겨 놓은 둑을 제거하였고(도면 666), 그리고 제5인공층은 이 2개 섹터에서 전체적으로 함께 조사가 되었다(도면 667). 발굴구역의 이 깊이에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발견된 토층은 암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이었는데 주로 북동쪽 부분의 베(Б)-까(К)-2'-5방안에서 분포하였다(도면 668, 670). 이 토층의 동쪽 부분(데(Д)-예(Е)-2-4방안)에서는 상당히 많은 수량의 목탄과 석탄 쪼가리들이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토기 동체부편과 와편으로 만든 놀이 알들도 출토되었다(붸(В)-4방안, 데(Д)-4방안, 예(Е)-3방안, 데(Д)-2방안, 베(Б)-1방안, 데(Д)-1'방안, 베(Б)-1'방안). 북서쪽 부분의 베(Б)-줴(Ж)-5'-2'방안에서는 새로운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단단한 사질토층(3.4×6m)이 노출되었다. 이 토층은 아마도 발굴구역의 서벽 밖으로 계속 이어지는 주거지의 내부 퇴적토 상면일 것이다. 이 토층의 가장자리에서는 난방 시스템인 구들의 잔재로 보이는 돌들이 발견되었다(도면 669). 이 토층은 북쪽으로 작은 크기의 황색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와 경계한다. 이 토층의 붸(В)-데(Д)-1-1'방안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얼룩이 길쭉한 타원형의 형태로 노출되었는데 여기에서 15개의 작은 돌들로 된 돌무지(돌들의 크기는 6×5cm부터 15×15cm까지이다)가 발견되었고(도면 671), 또한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데(Д)-1방안)도 출토되었다. 그와 비슷한 외형을 가진 황갈색의 단단한 사질토 얼룩이 예(Е)-제(З)-3-5방안에서도 발견되었다. 이 얼룩에서도 수개의 작은 돌들이 확인되었는데 구덩이 2 주변의 돌들 가까이에서 하나의 열을 이루고 있었다(도면 672). 북동쪽 모서리 부분에서는 아주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이 발견되었다. 이 사질토층에서는 크기가 24×18cm와 30×15cm인 두 개의 크고 납작한 돌이 놓여 있었다.
발굴구역의 남쪽 부분은 보다 알록달록하다. 이곳에는 위의 인공층들에 특징적이었던 ‘띠’들이 남아 있었다. 예를 들어, 발굴구역의 남벽 쪽에는 거친 입자의 모래가 섞인 갈색의 무른 사질토 띠(까(К)-엘(Л)-4-5방안, 크기 1.3×0.4m), 작은 크기의 모래가 섞인 갈색 사질토 띠(까(К)-엠(М)-4-5방안, 크기 2.3×0.9m), 단단한 갈색 사질토 띠(까(К)-엠(М)-3-4방안, 1×3m), 작은 입자의 모래 얼룩들이 섞인 갈색 사질토 띠(제(З)-엠(М)-3-4방안, 크기 4.5×4m) 등의 띠들이 확인되었다. 제5인공층을 조사할 때에 136점의 토기편들이 발견되었다(도면 707~721). 토기편들이 가장 집중된 곳은 주거지 범위 내와 그 주변 그리고 구덩이 2 부근 및 섹터의 남쪽 부분이었다(도면 722, 723). 놀이 알은 와편, 돌,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것이 30점 출토되었다(도면 689~694). 그 외에도 석제, 금속제, 그리고 토제의 개별 유물들도 발견되었다.
 
- 장방형 투공이 있는 철제 띠꾸미개(No. 51, 게(Г)-2' 방안, 레벨 -184cm)(도면 695, 696)
- 철제 판편(No. 54, 붸(В)-2' 방안, 레벨 -192cm)(도면 697)
- 상호 교차하는 구멍들이 있는 유물편(No. 55, 데(Д)-2' 방안, 레벨 -194cm)(도면 698, 699)
- 토제 고리(No. 56, 베(Б)-3' 방안, 레벨 -191cm)(도면 700~702)
- 4개의 쪼가리로 깨어진 상호 교차하는 구멍들이 있는 유물편(No. 57, 이(И)-2' 방안, 레벨 -195cm)(도면 703, 704)
- 상호 교차하는 구멍들이 있는 유물편(No. 58, 까(К)-2' 방안, 레벨 -194cm)(도면 705, 706)
- 철제 유물편(No. 59, 데(Д)-2' 방안, 레벨 -194cm)
 

① 주거지(베(Б)-줴(Ж)-5' -2' 방안)

2017년에는 난방 구조인 구들이 있는 주거지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베(Б)-줴(Ж)-5'-2'방안에서 노출된 이 구들 주거지는 발굴구역에 일부만 포함된 상태였다(도면 673, 674). 우리는 이 주거지의 윗부분에 대해서만 말할 수가 있는데 그것은 발굴조사가 이 단계에서 종료되었기 때문이다.
주거지의 윤곽은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단단한 갈색 사질토 얼룩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 얼룩의 크기는 5.7×3.5m이다. 이 얼룩의 북쪽과 서쪽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돌들이 놓여 있었다. 돌들 중 일부는 원래 자리에서 굴러 내렸지만 돌들이 두 개의 열을 이루고 있는 것이 잘 확인되었는데 주거지의 벽안쪽으로 나있는 고래의 흔적이다. 이 열들의 길이는 대략 2.5~3m, 너비는 약 0.2m이다. 대부분의 돌들은 크기가 평균 10×15cm이고, 가장 큰 것들은 25×18cm, 26×20cm이며, 돌들 상면의 레벨은 -167cm부터 -195cm까지이다. 붸(В)-데(Д)-5'-3'방안에서는 돌 열들이 계속되는 곳에 작은 숯과 그을음 등 불탄 흔적들이 포함된 좁고 단단한 갈색의 사질토 얼룩이 노출되었다. 다양한 크기의 모래가 섞인 단단한 갈색 사질토층에서는 철제 화살촉(No. 52, 줴(Ж)-2'방안, 레벨 -194cm)(도면 675, 676)과 금속제 심봉(No. 53, 붸(В)-2'방안, 레벨 -193cm)(도면 677, 678)이 출토되었다. 그 외에도 놀이 알들(예(Е)-3'방안, 붸(В)-5'방안, 붸(В)-4'방안, 베(Б)-4'방안)과 슬래그(게(Г)-4'방안)도 발견되었다.
 

② 구덩이 3(예(Е)-줴(Ж)-1' -2방안)

구덩이 3은 예(Е)-줴(Ж)-1'-2방안에 위치한다. 이 구덩이 3의 윤곽은 모서리들이 둥그스름한 장방형의 암갈색 사질토 얼룩 형태로 노출되었다(도면 679). 이 얼룩의 크기는 1.4×1.1m이다. 얼룩 가장자리에는 너비가 10~20cm인 황갈색의 모래 띠가 일부 두르고 있었다. 구덩이 3의 깊이는 14~15cm이며, 내부 퇴적토에서 작은 숯들과 뼈들(도면 680)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는 동물의 턱뼈(도면 681)도 있었다. 내부 퇴적토를 모두 조사한 다음에 이 구덩이는 모양이 둥그스름하고 그 가장자리에 일부 황갈색 모래들이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면 682). 구덩이에서 수점의 토기편, 토기 동체부편으로 만든 놀이 알(예(Е)-줴(Ж)-1'방안), 주철제 유물편(No. 60, 예(Е)-줴(Ж)-1'방안, 레벨 -192cm)(도면 683), 그리고 토제 벽돌편(No. 61, 예(Е)-줴(Ж)-1'방안, 레벨 -192cm)(도면 684, 685)이 출토되었다.
 

③ 구덩이 4(이(И)-4' -3' 방안)

제5인공층을 조사하고 난 다음에 이(И)-4'-3'방안에서 작은 숯과 그을음들이 섞인 회갈색의 작은 얼룩이 노출되었다(도면 686). 이 구덩이 4의 얼룩은 크기가 0.4×0.5m이다. 구덩이의 깊이는 약 10cm로서 깊지가 않다(도면 687). 내부 퇴적토를 조사한 다음에 구덩이의 모양은 둥그스름하고 그리고 그 바닥은 렌즈 모양인 것이 확인되었다(도면 688).
발굴조사 종료 후에는 발굴구역을 현장보존 조치하였다(도면 724, 725).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3) 제2건축면 자료번호 : kr.d_0014_003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