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11) 직구·직벽·약호선기벽 사발, 대접, 완류 토기

최대경이 구경에 있고, 기벽이 곧거나 혹은 미약하게 호선인 상태의 토기들이다. 구연부는 곧은 직구가 기본적인 형태이지만, 기벽이 곧거나 미약하게 호선인 기벽을 가진 토기 중에서 구연부가 기벽 두께 이하로 매우 짧게 외반하는 것은 이 부류의 토기에 포함시켰다. 사발, 대접, 완, 접시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만 사발, 대접, 완은 형태와 크기에 있어 서로 구분이 힘들다. 구경과 저경 그리고 높이, 즉 기고와의 관계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사발, 낮은 것은 대접이라고, 크기가 작은 것은 완이라고 각각 칭할 수 있다. 크기가 더 작은 것은 종지라고 부를 수 있다. 기벽에 사선 방향으로 낮게 형성된 것은 접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종류 토기들은 전체 기형이 남아 있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생각되는 것들은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1.7(도면 923, 1)과 1:1.8(도면 928, 9)을 보였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생각되는 것들은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2.6(도면 926, 1), 1:2.4(도면 929, 6), 1:2.5(도면 929, 7), 1:2.3(도면 929, 5), 1:3(도면 926, 3), 1:3.1(도면 926, 5) 등이다.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3.1인 1점은 반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반은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5가 일반적이며(도면 916, 1, 4), 1:4.5(도면 916, 5), 1:5.9(도면 916, 6), 1:6.2(도면 916, 8) 등으로서 기본적으로 1:4.5 이상이다.
구경은 6㎝부터 37㎝까지가 확인된다(도면 922). 28㎝부터 37㎝까지는 대형, 15.5㎝부터 25㎝까지는 중형, 6㎝부터 15㎝까지는 소형에 해당한다.
도면 922 | 크라스키노성 출토 직구-직벽-약호선기벽 사발, 대접, 완류 토기 구경 분포도
따라서 이 글에서는 구경이 대형과 중형이면서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7과 1:8 정도인 것은 사발, 1:2.3부터 1:3.1까지의 것들 혹은 이와 유사한 비율을 보이는 것들은 대접으로 각각 구분하고자 한다. 구경이 소형인 사발 형태와 대접 형태의 것들은 완으로 구분할 것이다.
전체 기형이 확인되지 않은 것은 대략적인 추정 기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구분하였다.
① 사발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7과 1:8 정도 되어 상대적으로 높은(혹은 깊은) 것들이다. 구경은 15.5㎝ 이상이다. 기형이 전체가 남아 있는 혹은 일부 기형이 확인되는 것들에는 4가지 종류가 보이는데 첫 번째는 완만한 호선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이고(Ⅰ형식), 두 번째는 곧은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Ⅱ형식)이며, 세 번째는 완만한 호선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이나 구연이 도톰하게 마무리된 것이고(Ⅲ형식), 네 번째는 사선 방향의 기벽 단면이 전체적으로 미약한 S자 모양을 이루는 것이다(Ⅳ형식).
Ⅰ형식 사발. 8점이 확인된다. 구연부터 저부까지 동체 기벽이 매우 완만하게 내만 호선을 이룬다. 그중 7점은 어깨-목-구연부가 서로 구분이 되지 않는다.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1점은 전체 기형이 온전하게 남아 있어 이 종류 사발의 전형을 보여 준다. 이 토기는 동체 윗부분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구경은 24㎝, 높이는 14.3㎝, 저경은 11.5㎝이다.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1.7 정도 된다. 속심은 오렌지-갈색이고, 표면은 갈색이다(도면 923, 1).
도면 923 | 크라스키노성 출토 사발 Ⅰ형식 구연-동체 부분: 1-제34구역 제8인공층 제-7방안(2007-도223, 2), 2-제44구역 제11인공층 데-23, 까-25, 이-26방안(2014-도253, 2), 3-제44구역 제10인공층 데-23방안(2014-도180, 2), 4-제34구역 제12인공층 서쪽섹터의 남쪽 주거지 게-14방안(2007-도243, 2), 5-제44구역 제14인공층 게,데-23,24방안(2014-도449, 2), 6-제34구역 제13인공층 6호 주거지 내부 베-5방안(2007-도248, 1), 7-제48구역 제2인공층 엠-3방안(2011-도383), 8-제45구역 제3인공층 까-4방안(2010-도387)
나머지는 모두 편들인데 기벽의 호선 상태가 위의 토기와 비슷하다. 그중의 1점은 동체가 위에서 아래로 침선인 3줄의 직선, 2줄의 좁은 파상선, 1줄의 직선, 2줄의 넓은 파상선, 1줄의 직선으로 각각 장식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9㎝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923, 2). 다른 1점은 ‘어깨’ 부분에 1줄의 침선이 돌려져 있다. 구경은 18㎝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923, 3). 1점은 외면이 모두 수평 띠 광택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구경은 21.3㎝이다. 환원소성된 것으로 보고되었다(도면 923, 4; 925, 1). 다른 1점은 구경이 16㎝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은 명회색,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923, 5; 925, 2). 2점은 구경이 각각 15.7㎝(도면 923, 6; 925, 3)와 23.2㎝(도면 923, 7)이다.
나머지 1점은 목과 구연부가 살짝 구분된다. 위로 향한 구순의 가운데로 홈-고랑이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17㎝이고, 오렌지-갈색이다(도면 923, 8).
Ⅱ형식 사발. 곧은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의 사발로 추정되는 것은 4점이 확인된다. 사실 이 형식의 사발은 구경이 작은 동일 형태의 완(도면 928, 9)에서 원래 형태를 추정해 볼 수 있다. 구경이 사발에 해당하는 것들에서 상대적으로 잘 남은 1점은 곧은 기벽이 위로 가면서 점차 밖으로 향하며, 외반하는 구연이 짧게 형성되어 있다. 목-어깨가 구분되지 않는다. 이 토기는 구경이 16.8㎝이다(도면 924, 1; 925, 4). 다른 1점에는 구연이 안쪽으로 약간 돌출한다. 구경은 19.1㎝이다(도면 924, 2; 925, 5).
도면 924 | 크라스키노성 출토 사발 Ⅱ형식(1~4), Ⅲ형식(5~8) 구연-동체 부분: 1-제40구역 제6인공층 베-21방안(2009-도180-1), 2-제40구역 제14인공층 11호 수혈 예-22방안 (2009-도423, 1), 3-제44구역 제8인공층 베`-16방안(2014-도124, 4), 4-제40구역 제22~24인공층 아`-19방안(2009-도555, 9), 5-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1인공층 이-7-11방안 (2018-도556, 1), 6-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3인공층 엠-7방안(2018-도625, 3), 7-제44구역 제10인공층 제-19방안(2014-도183, 3), 8-제44구역 제14인공층 게`-24방안(2014-도449, 1)
도면 925 | 크라스키노성 출토 사발 Ⅰ형식(1~3), Ⅱ형식(4~6), Ⅲ형식(7,8) 구연-동체 부분: 1-제34구역 제12인공층 서쪽섹터의 남쪽 주거지 게-14방안(2007-도162, 3), 2-제44구역 제14인공층 게,데-23,24방안(2014-도436, 2), 3-제34구역 제13인공층 6호 주거지 내부 베-5방안(2007-도162-1), 4-제40구역 제6인공층 베-21방안(2009-도177, 2), 5-제40구역 제14인공층 11호 수혈 내부 예-22방안 (2009-도422, 1), 6-제40구역 제22~24인공층 아`-19방안(2009-도549, 4), 7-제53구역 남동쪽섹터 제1인공층 이-7-11방안 (2018-도552, 2), 8-제44구역 제14인공층 게`-24방안(2014-도436, 1)
나머지 2점은 작은 편 상태이다. 1점은 구경이 18.8㎝이고, 외면이 수직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과 표면이 암회색이다(도면 924, 3). 다른 1점은 구경이 16.2㎝이다(도면 924, 4; 925, 6).
Ⅲ형식 사발. 완만한 호선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의 사발로 추정되며, 구연이 도톰하다. 2점이 확인된다. 모두 저부가 없다. 기벽의 호선이 아래로 가면서 조금씩 축약되는 것으로 보아 대접보다는 발에 가까웠을 것으로 생각된다. 2점 모두 도톰한 구연부로 인해 목이 형성되어 있다. 1점은 구경이 22㎝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으며, 속심은 회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924, 5; 925, 7). 다른 1점은 구경이 25㎝이다. 외면은 수평 띠 마연되었고, 내면에는 망상의 광택무늬가 있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오렌지-갈색이다(도면 924, 6).
Ⅳ형식 사발. 사선 방향의 기벽 단면이 전체적으로 미약한 S자 모양을 이룬다. 2점이 있다. 외반 구연의 발과는 기벽의 호선이 많은 차이를 보여 이 부분에서 소개하였다. 2점 모두 저부는 결실되었다. 1점은 구연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것인데 구경는 22㎝이고,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다. 속심은 주황-갈색이고,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924, 7). 다른 1점은 구경이 21㎝이다. 외면은 수평 띠 마연되었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924, 8; 925, 8).
② 대접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2.3부터 1:3.1까지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들이다. 전체 기형이 온전하게 남아 있는 것은 3개 종류가 보인다. 첫 번째는 사발 Ⅰ형식과 비슷하게 완만한 호선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이면서 직구를 가진 것이고(Ⅰ형식), 두 번째는 사발 Ⅱ형식과 비슷하게 곧은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Ⅱ형식)이다. 세 번째는 완만한 호선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이나 구연이 도톰하게 마무리된 것이다(Ⅲ형식). 그 외 1점씩 보이는 형태의 대접도 있다.
Ⅰ형식 대접. 2점이 확인된다. 1점은 전체 기형이 남아 있다. 기벽이 완만하게 호선을 이루는 역사다리꼴이다. 구경은 28.1㎝, 높이는 10.9㎝, 저경은 17.2㎝이다.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2.6이다(도면 926, 1). 다른 1점은 구연 아래와 동체 가운데 부분이 각각 2줄씩의 수평 침선으로 장식되어 있다. 구경은 37㎝이고, 속심은 주황-갈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926, 2).
도면 926 | 크라스키노성 출토 대접 Ⅰ형식(1,2), Ⅱ형식(3,4), Ⅲ형식(5,6), 기타형식(7~9): 1-제34구역 제8~9인공층 줴-3,4방안(2007-도224, 4), 2-제44구역 제11인공층 제-24방안 (2014-도252, 3), 3-제14구역(1997-도106, 9), 4-제23구역 제1~2인공층(1999-도161, 10), 5-제47구역 5섹터 제3인공층 엠-5방안(2012-도468, 3), 6-제31구역 제6인공층 줴-8방안 (2003-도142, 2), 7-제44구역 서쪽섹터 제21인공층 붸-26방안(2015-도251, 2), 8-제47구역 3섹터 제6인공층 아-30방안(2014-도540, 4), 9-제53구역 남서쪽섹터 제4인공층 에쓰-5방안(2018-도708, 2)
Ⅱ형식 대접. 2점이 있다. 기형이 모두 확인되는 1점은 형태가 곧은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이다. 이 토기는 구경이 21.5㎝, 높이가 7.2㎝, 저경이 11㎝이다. 높이과 구경의 비율은 1:3이다(도면 926, 3). 다른 1점은 윗부분만 남아 있는데 구연이 뾰족하고, 구연 아래 외측에 약간 턱이 형성되어 있다. 구경은 24.4㎝이다(도면 926, 4).
Ⅲ형식 대접. 2점이 확인된다. 기형은 완만한 호선 기벽을 가진 역사다리꼴이다. 구연이 양쪽으로 도톰하면서 둥글게 마무리되었다. 2점 모두 구연 아래에 목이 형성되어 있다. 1점은 전체 기형이 잘 남아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36㎝, 높이가 11.6㎝, 저경이 26.6㎝이다. 높이와 구경의 비율은 1:3.1이다(도면 926, 5; 927, 1). 다른 1점은 저부의 형태가 확인되지 않는다. 구경은 25㎝, 잔존 높이는 5.1㎝이다(도면 926, 6).
도면 927 | 크라스키노성 출토 대접 Ⅲ형식(1), 기타형식(2): 1-제47구역 5섹터 제3인공층 엠-5방안(2012-도458), 2-제44구역 서쪽섹터 제21인공층 붸-26방안(2015-도239)
기타 대접. 기벽과 구연의 형태가 1점씩에서만 발견되는 것들이다.
1점은 기벽의 중간 부분이 상당히 급하게 굽은 것이다. 구연부는 거의 직립한다. 구경은 19㎝이고, 외면은 수평 띠 마연되었다. 속심과 표면이 모두 오렌지-갈색이고, 외면에 짙은 색 얼룩이 묻어 있다(도면 926, 7; 927, 2).
다른 1점은 기벽과 구연 사이의 바깥 부분에 홈-고랑이 형성된 것이다. 구연부가 어깨 부분의 1/2정도 두께이다. 구경은 16.6㎝이고,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도면 926, 8).
나머지 1점은 구연부가 거의 동일 선상에서 가볍게 호선을 이루고 있고, 그리고 구연 바깥쪽에 좁은 홈-고랑이 돌려진 것이다. 구경은 28㎝이고, 속심과 표면이 암회색이다(도면 926, 9).
③ 완
구경이 6㎝부터 15㎝까지이다. 사발 및 대접과 비슷한 형태이지만 크기가 작다. 기벽과 구연의 세부 형태가 7개 세부 형식으로 구분되며, 그 외 1점씩만 있는 것들도 있다.
Ⅰ형식 완. 기벽의 호선이 완만한 것인데, 기벽의 일정 높이에서 안쪽으로 살짝 꺾여 어깨-구연부가 직립한 것이다. 3가지 세부 형식이 있다.
Ⅰ-1형식. 기벽의 아래에서 2/3정도 높이에서 어깨-목-구연부가 거의 직립한다. 2점이 확인된다. 1점은 전체 기형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목-어깨’ 부분이 4줄의 수평 침선으로 장식되었다. 내면과 내저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 구경은 11㎝, 높이는 6.2㎝, 저경은 7㎝이다(도면 928, 1). 다른 1점은 윗부분만 남아 있는데 구연 아래에 4줄의 수평 침선이 돌려져 있다. 구경은 11.9㎝이다(도면 928, 2).
도면 928 | 크라스키노성 출토 완 Ⅰ-1형식(1,2), Ⅰ-2형식(3~5), Ⅱ형식(6~8), Ⅲ형식(9,10), Ⅳ형식(11~15): 1-제10구역(1994-도153, 1), 2-제11구역(1996-도63, 2), 3-제9구역 출토(1994-도164, 39), 4-제31구역 제6인공층 줴-8방안(2003-도150, 2), 5-제21구역 제3인공층(1999-도137, 42), 6-제17구역(1998-도248, 1), 7-제25구역(2001-도44), 8-제15구역 제4인공층(1997-도113, 1), 9-제21구역 제3인공층(1999-도140, 2), 10-제45구역 제3인공층 까-3방안(2010-도389), 11-제49구역 1,2,4섹터 제3인공층 오-31방안(2014-도987, 4), 12-제49구역 1~4섹터 제1인공층 엘-32방안(2014-도738, 15), 13-제50구역 1섹터 제3인공층 에프-1`방안(2015-도723, 3), 14-제50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유-3방안(2015-도978, 2), 15-제51구역(2018-도83, 1)
Ⅰ-2형식. 기벽이 완만하게 호선을 이루는데 아래에서 3/4정도 높이에서 어깨-구연이 약간 안쪽으로 굽어진 것이다. 2점이 있는데 모두 기형이 확인된다. 2점 모두 내면에 유기물 흔적이 남아 있다. 1점은 구경이 10.6㎝, 높이가 5㎝, 저경이 7㎝이며, 회색이다. 이 토기에는 평굽이 있다(도면 928, 3). 다른 1점은 구경이 10.2㎝, 높이가 5㎝, 저경이 6.6㎝이며, 모두 흑색이다(도면 928, 4).
Ⅰ-3형식. 기벽의 1/2정도 높이에서 어깨-구연부가 직립한다. 구경은 7.4㎝, 높이는 5㎝, 저경은 5.3㎝이다(도면 928, 5).
Ⅱ형식 완. 기벽이 거의 곧은 것으로서 형태가 역사다리꼴이며, 상대적으로 낮다. 3점이 있다. 2점은 기형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 그중의 1점은 구경이 12.2㎝, 높이가 6㎝, 저경이 8.1㎝, 바닥 두께가 1.2㎝이다. 외면은 회색이고, 내면에는 회갈색의 유기물 흔적이 있다(도면 928, 6). 이 토기는 등잔으로 사용되었다고 추정되었다. 다른 1점은 구경이 9.2㎝, 높이가 4.5㎝, 저경이 7.2㎝이다. 흑색이며, 바닥에 사절흔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도면 928, 7). 나머지 1점은 편인데 구경이 10.5㎝이다(도면 928, 8).
Ⅲ형식 완. 사발 Ⅱ형식과 같은 형태를 가졌으나, 크기가 작은 것이다. 2점이 확인된다. 1점은 저부가 남아 있어 전체 기형이 복원되었다. 기벽이 거의 곧은 역사다리꼴이다. 구연이 안쪽으로 약간 돌출하였고, 바닥에 굽이 조금 형성되어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4.7㎝, 추정 높이가 8.3㎝, 저경이 7.1㎝이며,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1.8이다(도면 928, 9). 다른 1점은 구연이 밖으로 약간 돌출하였다. 구경은 10㎝이고, 회색이다(도면 928, 10).
Ⅳ형식 완. 기벽이 완만하게 호선을 이루고, 구연부가 직구인 것이다. 5점이 있는데 모두 편 상태이다. 그중에서 구경이 14㎝로서 가장 큰 1점은 외면이 수평 띠 마연되었고, 속심은 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928, 11; 931, 1). 1점은 구경이 11㎝이고, 속심은 흑색, 표면은 갈색이다(도면 928, 12). 나머지 3점은 모두 속심과 표면이 회색 혹은 흑색이다. 구경은 각각 9㎝(도면 928, 13), 11㎝(도면 928, 14; 931, 2), 10㎝(도면 928, 15)이다.
Ⅴ형식 완. 기벽이 완만하게 호선을 이루고 , 구연부가 짧게 살짝 외반하였다. 2점이 있는데 모두 편이다. 1점은 구경이 12㎝이고(도면 929, 1), 다른 1점은 구경이 13㎝이다(도면 929, 2). 2점 모두 외면이 조밀하게 수평 띠 마연되었고, 속심과 표면이 회색이다.
도면 929 | 크라스키노성 출토 완 Ⅴ형식(1,2), Ⅵ형식(3,4), Ⅶ형식(5~10): 1-제50구역 1,3섹터 제4층 에프-5`방안(2015), 2-제53구역 2섹터 제1인공층 이-3`,4`방안(2017-도490, 1), 3-제25구역(2000-도40, 2), 4-제12구역(1996-도66, 6), 5-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48, 2), 6-제44구역 제8인공층 구덩이3 예-25방안(2014-도124, 1), 7-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엠-24방안(2013-도133), 8-제11구역(1996-도62, 4), 9-제11구역(1996-도63, 1), 10-제37구역 제2인공층 예-제-1방안(2007-도237, 1)
Ⅵ형식 완. 기벽이 완만하게 호선을 이루나 기벽의 1/2이상은 거의 수직에 가까우며, 살짝 외반한 구연부가 갈고리 모양을 이룬다. 2점이 있는데 1점은 기저부분까지 남아 있다. 이 토기는 구경이 13.6㎝이다(도면 929, 3). 다른 1점은 구경이 12.5㎝이다(도면 929, 4).
Ⅶ형식 완. 약하게 호선을 이루는 기벽이 있고, 구연의 안쪽이 약간 돌출한 것이다. 7점이 확인된다. 그중에서 3점은 전체 기형이 남아 있다. 1점은 구순이 약간 안쪽으로 경사졌다. 바닥에는 낮게 평굽이 있다. 구경은 9㎝, 높이는 3.9㎝, 저경은 4.4㎝이다(도면 929, 5). 다른 1점은 구경이 13㎝, 높이가 5.5㎝, 저경이 9㎝이다.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2.4이다. 속심과 표면은 회색이다(도면 929, 6; 931, 3). 다른 1점은 구경이 14.4㎝, 높이가 5.7㎝, 저경이 10㎝이며, 높이와 구경의 비율이 1:2.5이다. 표면은 암회색, 속심은 회갈색이다(도면 929, 7; 931, 4). 나머지 4점은 모두 편 상태인데 모두 내면에 유기물 흔적이 있다. 구경은 각각 12.8㎝(도면 929, 8), 11.3㎝(도면 929, 9), 11.2㎝(도면 929, 10), 8㎝(도면 930, 1; 931, 5)이다. 대부분이 흑색이고, 등잔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도면 930 | 크라스키노성 출토 완 Ⅶ형식(1), 기타형식(2~6): 1-제47구역 3섹터 제4인공층 베-30방안(2014-도492, 2), 2-제53구역 2섹터 제3인공층 엔-1`방안(2017-도564, 1), 3-제50구역 1섹터 제3인공층 쯔–1`방안(2015-도723, 2), 4-제40구역 제6인공층 아-22방안(2009-도180, 2), 5-제21구역 제4인공층(1999-도142, 24), 6-제45구역 제1인공층 에프-6방안(2010-도305)
도면 931 | 크라스키노성 출토 완 Ⅳ형식(1,2), Ⅶ형식(3~5), 기타형식(6,7): 제49구역 1,2,4섹터 제3인공층 오-31방안(2014-도953, 1), 2-제50구역 2섹터 제4인공층 유-3방안(2015-도947, 2), 3-제44구역 제8인공층 구덩이3 예-25방안(2014-도145), 4-제44구역 동쪽섹터 제7인공층 엠-24방안(2013-도132, 1,2), 5-제47구역 3섹터 제4인공층 베-30방안(2014-도485, 5), 6-제53구역 2섹터 제3인공층 엔-1`방안(2017-도546, 3), 7-제40구역 제6인공층 아-22방안(2009-도177, 3)
기타 형식 완. 기벽와 구연의 특징이 1점씩에만 있는 것들이다.
1점은 완만하게 호선을 이루는 기벽이 있고, 구연의 바깥쪽 부분이 약간 돌출한 것이다. 구경은 13.2㎝이고, 전체가 암회색이다(도면 930, 2; 931, 6).
1점은 살짝 외반한 구연부가 있고, 구연부 아래 외측이 홈-고랑이 1줄 형성된 것이다. 구연부의 두께가 어깨 부분의 절반 정도이다. 구경은 12㎝이고, 속심은 명회색, 표면은 암회색이다(도면 930, 3).
1점은 살짝 외반하는 구연부가 있는 것이다. 구연의 바깥쪽이 약간 뾰족하다. 구경이 10.1㎝이다(도면 930, 4; 931, 7).
1점은 기벽의 기저부가 둥그스름하게 안쪽으로 꺾인다. 구연의 바깥쪽이 약간 돌출하였고, 구순은 편평하다. 구경은 11.3㎝이다(도면 930, 5).
나머지 1점은 기벽이 사선 방향이며, 어깨-목 부분에서 위로 꺾인다. 구경은 11㎝이다. 외면에 수평 마연을 하였다. 속심은 오렌지-갈색이고, 표면은 흑색이다(도면 930, 6).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1) 직구·직벽·약호선기벽 사발, 대접, 완류 토기 자료번호 : kr.d_0016_0030_0120_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