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벽화

널방_서벽_출행도(하단)_상세_마부와 말

  • 저필자
    김진순(부산국제여객터미널 문화재감정관)
수산리 벽화고분 널방 서벽 하단에 그려진 출행도 가운데 말과 마부의 상세도이다. 출행 채비를 끝낸 말은 신이 나서 펄쩍 뛰고 있고, 이런 말을 진정시키기 위해 말고삐를 힘껏 조이고 있는 마부의 긴장된 순간이 생동감 넘치는 필력으로 포착되었다.
마부는 모자를 착용하지 않은 민머리 형태의 소년이며, 저고리와 통이 좁은 바지[궁고(窮袴)]를 입고 있다. 저고리는 펄럭이지 않도록 허리에 띠를 매어 고정시켰으며 목의 깃 둘레, 소매부리, 아랫단[도련]에 선(襈 : 학이나 두루미의 날개 끝이나 목 분에 있는 검은 깃털을 모방한 의복양식으로, 시베리아 샤머니즘의 영향으로 볼 수 있음)을 대었다. 선은 닳기 쉬운 옷의 가장자리 부분에 천을 다시 덧댐으로써 내구성을 강화시킨 것이었으나, 색깔을 달리 함으로써 장식적인 효과도 높였다. 이처럼 선이 달린 저고리를 고구려 사람들은 남녀노소와 신분의 귀천을 가릴 것 없이 모두 착용하였다.
묘주가 출행 시 타고 나갈 적갈색의 건장한 말은 힘이 넘쳐 보인다. 말의 등에는 안장이 얹혀 있다. 이 안장은 앞뒤의 안교(鞍橋 : 다리 모양의 말안장)가 직각으로 세워져 있어 앉으면 좁고 불편한 느낌을 주지만, 무사(武士)의 몸을 말의 탄성으로부터 보호하여 상하 진동을 적게 하고, 또한 표적을 쏘아 맞추기 위해 말 등에서 허리를 돌릴 때에도 하체를 단단하게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의 안교는 이와는 달리 낮고 평면적이어서 편안하게 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전투에 능했던 고구려인들의 상무정신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회화자료이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널방_서벽_출행도(하단)_상세_마부와 말 자료번호 : kk.d_0004_0040_00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