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근세 한일관계 사료집

삼사(三使)를 쓰시마노카미(對馬守)의 저택에 초청한 연회 자리

一. 3월 5일 쓰시마노카미(對馬守) 저택으로 삼사를 초청하다.
   응대 역할
        호소카와 엣추노카미(細川越中守)
        아리마 가즈사노스케(有馬上總介)
        도도 이즈미노카미(藤堂和泉守)
        쓰가루 데와노카미(津輕出羽守)
삼사의 가마가 앞문으로 들어가 흰 모래가 깔린 마당(白洲) 가운데에서 내렸다. 이곳으로 쓰시마노카미의 가신(用人)주 001
각주 001)
요닌(用人)은 주군(主君)의 용무를 전달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지만 소바요닌(側用人)이 설치된 제번(諸藩)·하타모토(大身旗本)의 경우 소바요닌은 주군의 ‘사적인 일·가정(家政)상의 용무’를 전하고, 상대방과 절충하여 서무를 담당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었다. 한편 요닌(用人)은 주군의 ‘공적인 용무’를 번내의 가신들에게 전하고 상대방과 절충하여 서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았다.
닫기
2인-호이(布衣)를 착용-이 마중 나와 한 번 읍했다. 현관에 이르자 현관의 가로(家老) 2인-호이(布衣)를 착용-이 마중 나와 두 번 읍했다.
연회석에 이르자 쓰시마노카미(對馬守)·2인의 장로(長老)가 현관과 서원의 사이에 있는 복도로 맞이하러 나와 두 번 읍하고, 동행하여 서원으로 갔다. 서원 입구에는 엣추노카미(越中守)·가즈사노스케(上總介)·이즈미노카미(和泉守)·데와노카미(出羽守)-각자 겹옷에 관(冠)을 쓰고-가 나와 마주 읍하고 서원에 착석했고, 상상관 이하 중관까지 나와 배례했다. 그리고 삼사가 서원에 착석하고 향응이 있었다. 쓰시마노카미·2인의 장로가 접대 역할로 배석했다. 이곳으로 위 4인의 다이묘가 나와 인사했다. 상상관은 산노마(三之間)[에 착석하고], 그 밖의 사람들도 각기 자리에 앉았다. 차관·중관·소동에게는 2즙 7채(二汁七菜)주 002
각주 002)
두 개의 장국과 일곱 가지 요리.
닫기
의 요리를 냈다.
삼사가 쓰시마노카미·장로 2인에게 와서 의자에 앉았다.
  同             同       조화 장식(絲花)주 003
각주 003)
이토바나(絲花). 견사(絹糸)로 만든 조화(造花).
닫기
세로
  과자            과자      과자
 종지(坪皿) 넓적한 접시(平皿) 설탕 넓적한 접시 종지
 물     국        밥    국    꿀
높이 3척 가량. 은 사발 또는 색칠한 사발
식사를 마치고
         도사자(土佐座)주 004
각주 004)
자(座)는 연예단(演藝團)을 의미.
닫기
[의 공연이 펼쳐졌다]
   첫 공연(初)
산바소(三番叟)주 005
각주 005)
일본의 전통예능. 노가쿠(能樂)에서는 교겐(狂言) 배우가 연기한다. 가부키(歌舞伎)나 닌교조루리(人形浄瑠璃)에도 도입되어 일본 각지의 민속예능이나 인형극에서 축하의 춤으로 남아 있다.
닫기
인형극
   다음 공연
오야마가사 춤. 3인
      사이에 다루마 카라쿠리주 006
각주 006)
카라쿠리란 인형이나 도구를 태엽, 용수철, 톱니바퀴, 수은, 모래, 물 등을 응용하여 자동으로 움직이게 만든 장치. 옛날에는 자동 기계, 자동 장치를 총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에도시대에 카라쿠리가 크게 발전하여 카라쿠리 인형극이 인기를 모았다.
닫기
   다음 공연
긴토키쿠사가리(金時草刈)의 체(體)
      사이에 간논(觀音) 카라쿠리
   다음 공연
다와라 토다(俵藤太)의 지네(百足) 퇴치주 007
각주 007)
다와라 토다(俵藤太)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귀족이자 무장인 후지와라 히데사토(藤原秀郷)의 이칭(異稱). 후지와라 히데사토는 近江三上山에서 거대한 지네(百足)를 퇴치한 전설로 유명하다. 일본 가구라(神樂) 양식 중 하나인 이와미카구라(石見神楽)의 ‘三上山’이란 작품은 히데사코의 지네 퇴치 전설을 소재로 한 것이다.
닫기
      사이에 쇼쿠다이(燭臺) 카라쿠리
                마쓰이 겐스이(松井源水)주 008
각주 008)
길거리 예능인. 축제일에 번잡한 길가에서 흥행·요술 따위를 하거나 싸구려 물건을 팔기도 했다. 마쓰이는 교호(1716~36) 무렵 하카다고마(博多獨楽)를 도입하여 교쿠고마(曲獨楽)를 연기했다. 마쓰이 겐스이라는 이름으로 쇼와(昭和)까지 17대(代) 이어졌다.
닫기
고마노쿄쿠(こまの曲)주 009
각주 009)
교쿠고마(曲独楽). 고마(独楽)를 사용한 곡예. 고마란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노는 전통 완구의 일종.
닫기
   다음 공연
마리노쿄쿠(まりの曲)
   또
원숭이 재주 부리기(猿廻し)주 010
각주 010)
사루마와시(猿回し·猿廻し). 원숭이를 시켜 재주를 부리게 하고 그것으로 돈을 버는 사람.
닫기
 이상

  • 각주 001)
    요닌(用人)은 주군(主君)의 용무를 전달하는 것이 주된 업무이지만 소바요닌(側用人)이 설치된 제번(諸藩)·하타모토(大身旗本)의 경우 소바요닌은 주군의 ‘사적인 일·가정(家政)상의 용무’를 전하고, 상대방과 절충하여 서무를 담당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었다. 한편 요닌(用人)은 주군의 ‘공적인 용무’를 번내의 가신들에게 전하고 상대방과 절충하여 서무를 담당하는 역할을 맡았다. 바로가기
  • 각주 002)
    두 개의 장국과 일곱 가지 요리. 바로가기
  • 각주 003)
    이토바나(絲花). 견사(絹糸)로 만든 조화(造花). 바로가기
  • 각주 004)
    자(座)는 연예단(演藝團)을 의미. 바로가기
  • 각주 005)
    일본의 전통예능. 노가쿠(能樂)에서는 교겐(狂言) 배우가 연기한다. 가부키(歌舞伎)나 닌교조루리(人形浄瑠璃)에도 도입되어 일본 각지의 민속예능이나 인형극에서 축하의 춤으로 남아 있다. 바로가기
  • 각주 006)
    카라쿠리란 인형이나 도구를 태엽, 용수철, 톱니바퀴, 수은, 모래, 물 등을 응용하여 자동으로 움직이게 만든 장치. 옛날에는 자동 기계, 자동 장치를 총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에도시대에 카라쿠리가 크게 발전하여 카라쿠리 인형극이 인기를 모았다. 바로가기
  • 각주 007)
    다와라 토다(俵藤太)는 헤이안 시대 중기의 귀족이자 무장인 후지와라 히데사토(藤原秀郷)의 이칭(異稱). 후지와라 히데사토는 近江三上山에서 거대한 지네(百足)를 퇴치한 전설로 유명하다. 일본 가구라(神樂) 양식 중 하나인 이와미카구라(石見神楽)의 ‘三上山’이란 작품은 히데사코의 지네 퇴치 전설을 소재로 한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8)
    길거리 예능인. 축제일에 번잡한 길가에서 흥행·요술 따위를 하거나 싸구려 물건을 팔기도 했다. 마쓰이는 교호(1716~36) 무렵 하카다고마(博多獨楽)를 도입하여 교쿠고마(曲獨楽)를 연기했다. 마쓰이 겐스이라는 이름으로 쇼와(昭和)까지 17대(代) 이어졌다.
     바로가기
  • 각주 009)
    교쿠고마(曲独楽). 고마(独楽)를 사용한 곡예. 고마란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노는 전통 완구의 일종.
     바로가기
  • 각주 010)
    사루마와시(猿回し·猿廻し). 원숭이를 시켜 재주를 부리게 하고 그것으로 돈을 버는 사람.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삼사(三使)를 쓰시마노카미(對馬守)의 저택에 초청한 연회 자리 자료번호 : kn.k_0006_0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