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반월산성

半月山城
  • 저필자
    최재도(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시대
    백제/고구려/신라
  • 위치
  • 원소장처
    경기도 포천시 청성산
  • 시대
    고구려
  • 유형
규모
둘레: 1.112km
입지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일대의 청성산 정상부에 위치한다.
유적개관
산 정상부에 축조된 산정식산성으로, 전체 성벽의 둘레는 1,112m가량이다. 평면 형태는 동서의 긴 반달 모양이며, 3개의 문지와 5개의 치, 장대지, 다수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마홀수해공구단(馬忽受解功口單) 명문 기와편이 출토되어, 고구려와의 관련성이 제기된 바 있다. 그동안 여러 차례 발굴조사 되었지만 지금까지 고구려 토기는 출토되지 않았다.
출토유물
* 마홀수해공구단(馬忽受解功口單) 명문 기와편, 백제 토기, 고구려 토기?, 신라 토기
참고문헌
「남한의 고구려유적」, 2006
해설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일대의 청성산(해발 283.5m) 정상부에 위치한 삼국시대의 산성이다. 이곳은 예성강 중·상류나 원산만 일대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며 아차산과도 직접 연결되는 곳으로 사방의 조망이 좋다. 남·서·북쪽의 구읍천, 포천천, 하성천이 자연적인 해자(垓字)의 역할을 하였다.
반월산성은 포천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기 북동부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산 정상부의 능선에 테두리를 돌린 것처럼[테뫼식(鉢卷式)] 쌓은 석축 산성이다. 둘레는 1,112m이며 평면 형태는 동서 490m, 남북 150m으로 동서로 긴 반달 모양이다. 그간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가 쌓았다고 전해져 왔으나 1994년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2001년까지 총 6차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 백제에 의해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반 사이에 처음 축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이후 1세기 동안은 고구려의 영역으로 이 성에 마홀군(馬忽郡)을 설치하였으며, 6세기 중반부터 시작되는 한강 이북지역에 대한 신라의 압박 속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6세기 중반 포천지역에 신라의 세력이 진출하면서 신라 최북단의 전선으로, 철원이나 연천방면에서 남하하는 고구려의 세력에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로서의 기능을 하였다. 후삼국시대에는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두면서 수도방위의 목적으로 남진의 요충지인 반월산성을 고쳐쌓아 군대를 주둔시켰다. 궁예 관련 전설이 산성 주변에 많이 남아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성 내부에서는 3개의 성문터[문지(門址)]와 5개의 치(雉,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성벽), 장수가 군사를 지휘하던 곳[장대지((將臺址)], 제사유적을 비롯하여 다수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축조재료는 주변의 풍부한 화강암을 이용하였으며 협축법(夾築法, 중간에 흙이나 돌을 넣고 안팎에서 돌 등을 쌓는 것)과 편축법(片築法, 내외를 모두 돌로 쌓는 것)을 지형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성벽은 시대와 사용주체에 따라 여러 차례 고치거나 다시 쌓았는데, 후대에 다시 쌓은 성벽 구간에서는 신라 석성에서 주로 보이는 외벽보강구조물의 흔적이 잘 남아있다.
한편 고구려 유구는 주로 남벽에서 조사된 치성시설과 일부 주거의 흔적에서 확인된다. 치성은 고구려가 출입시설로 사용한 남문을 보호하기 위해 축조했던 것으로, 기초 단에는 큰돌을 두고 상부로 갈수록 작은 석재를 들여쌓은 전형적인 고구려 치성 축조방식을 따르고 있다.
유물로는 백제 토기부터 조선시대 유물까지 다양하게 확인된다. 고구려 유물은 주로 생활용 토기와 무른[연질(軟質)] 적갈색 기와 등이 수습되었고, 6세기 중반을 중심연대로 하고 있으며 수량은 많지 않다. 특히 성 안에서 수습된 ‘마홀수해공구단(馬忽受解功口單)’이라는 문자가 찍힌 기와는 『삼국사기』에 기록된 고구려의 마홀군(馬忽郡)이 포천일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반월산성 자료번호 : isea.d_0002_0030_0020_013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