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크라스키노발해성

4. 토제 유물

‘발해 입방체’

‘발해 입방체’는 제47구역에서는 모두 4점이 편 상태로 출토되었다. 첫 번째의 ‘발해 입방체’편(№ 3, 레벨 -169㎝)은 섹터 8에서 표토를 정리 조사할 때 발견되었다(도면 327). 이 유물은 회색이며, 크기는 2.1×2.0×0.6㎝다.
두 번째의 ‘발해 입방체’편(№ 5, 레벨 -155㎝)은 섹터 6의 베(Б)-41방안에서 제2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출토되었다(도면 195). 이 유물은 회색이며 부분적으로 그을음 자국이 있고 구멍이 일부 잔존한다. 입방체는 장방형이며 모서리들을 물손질하지 않았다. 크기는 6.05×4.8×3.5㎝다. 구멍의 추정 직경은 2.1㎝다.
세 번째의 ‘발해 입방체’편(№ 22, 레벨 -158㎝)은 섹터 8의 줴(Ж)-44방안에서 제2인공층 레벨에서 출토되었다(도면 351). 이 유물에는 직경이 약 2㎝인 2개의 구멍 흔적이 남아 있다.
구멍이 일부 남아 있는 다른 ‘발해 입방체’편(№ 23, 레벨 -176㎝)은 섹터 8의 이(И)-44방안 제2인공층에서 출토되었다(도면 353). 이 유물은 적갈색이고 크기는 3.2×2.0×2.1㎝다.
 

토제 고리

제47구역에서는 도로 유구에서 수 점의 토제 고리편이 발견되었다. 섹터 8의 이(И)-45방안에서 제2인공층을 제거할 때에 토제 고리편(№ 24, 레벨 -176㎝)이 1점 출토되었다. 아마도 이 유물은 원래 꽤 규모가 큰 고리였을 것이며(도면 352), 잔존 크기는 4.1×3.2×2.2㎝다.
다른 1점의 토제 고리편(№ 30, 레벨 -173㎝)은 단면이 타원형이며 섹터 6의 아(А)-43방안에서 제3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출토되었다. 유물의 색은 갈색이며, 잔존 크기는 길이 2.4㎝, 너비 1.3×1.4㎝다.
섹터 8의 줴(Ж)-48방안에서는 제3인공층을 제거할 때 단면이 준장방형인 토제 고리편(№ 32, 레벨 -178㎝)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은 오렌지-갈색이고 흑색의 얼룩이 있으며 크기는 2.4×1.5×2.6㎝다.
섹터 8의 예(Е)-50방안에서는 제3인공층을 제거할 때 단면이 준장방형인 토제 고리편(№ 33, 레벨 -189㎝)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은 오렌지-갈색이고 표면에 그을음 얼룩이 있다. 잔존 크기는 1.5×2.2×2.4㎝다.
섹터 8의 제(З)-47방안에서는 제3인공층 조사 시에 단면이 준장방형인 토제 고리편(№ 34, 레벨 -178㎝)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은 오렌지-갈색이고, 잔존 크기는 1.5×2.2×2.4㎝다.
 

마연기(?)

사용흔이 있는 토기 기벽편(№ 9, 레벨 -115㎝)이 제44구역의 동쪽 섹터 엠(М)-21방안에서 제6인공층을 조사할 때 출토되었다(도면 57). 이 유물은 크기가 5.6×3.9×0.6㎝다. 비슷한 용도의 유물이 크라스키노 성에서는 드물지 않게 발견된다(『2009년도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한·러 공동 발굴보고서』, 2011, 171쪽; 『2011년도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한·러 공동 발굴보고서』, 2012, 147쪽 등).
 

토제 구슬

제47구역의 섹터 8 줴(Ж)-44방안에서 제3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토제 구슬(№ 39, 레벨 -174㎝)이 출토되었다(도면 387). 이 구슬은 회갈색이며, 크기는 1.1×1.2㎝다.
 

원판 모양 와당

제47구역 섹터 6의 아(А)-41방안에서 제2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수키와 와당편(№ 9, 레벨 -175㎝)이 출토되었다(도면 191). 이 유물은 잔존 크기가 4.8×5.9×0.9㎝다. 고리 모양의 테두리-주연부는 너비 1.6㎝, 높이 0.7㎝, 두께 1.7㎝다.
 

놀이 알

제44구역과 제47구역 양쪽에서 기와 혹은 토기 기벽으로 만든 놀이 알이 모두 104점 출토되었다.
제44구역에서는 ‘놀이’ 알에 해당되는 유물이 14점 출토되었다(도면 34, 35, 78, 79). 그중의 5점은 기와로 만들었고, 8점은 토기 기벽으로, 1점은 돌로 만들었다. 놀이 알의 크기는 중간 크기(직경 2.3㎝)(제44구역, 제6인공층, 동쪽 섹터, 엠(М)-21방안)에서 큰 크기(직경 6㎝)(제44구역, 제6인공층, 서쪽 섹터, 붸’(В’)-25방안)까지 다양하다. 놀이 알들의 두께는 0.7~2.7㎝까지다. 색깔은 재료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기와로 만든 놀이 알들은 대부분 회색이며, 토기 기벽으로 만든 놀이 알들은 원래 토기의 소성 상태에 따라 회색과 오렌지색이 있다. 대부분의 놀이 알들은 둥근 혹은 원형에 가까운 외형을 가지며, 그 가장자리는 타날되었다. 하지만 가장자리를 치밀하게 갈아 표면이 매끈한 놀이 알들도 있다(제44구역, 제6인공층, 동쪽 섹터, 엠(М)-21방안).
제47구역에서는 모두 90점의 놀이 알이 출토되었다. 그중에서 8점은 표토를 제거할 때에, 45점은 제2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37점은 제3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각각 출토되었다. 대부분의 놀이 알은 둥근 모양 혹은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가진다. 90점 중 50점은 기와로 만들었고, 30점은 토기 기벽으로 만들었으며, 10점은 돌(주로 사암)로 만들었다.
놀이 알들은 크기가 다양한데 직경이 0.7~0.9㎝인 작은 것부터 직경이 6㎝인 큰 것까지 있다(도면 201, 221~224, 248, 249, 301, 302, 325, 326, 339~346, 377~381). 놀이 알의 두께는 재료에 따라 0.5~2.3㎝까지 차이를 보인다. 놀이 알의 색깔도 재료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기와로 만든 것들은 대개 회색이며, 토기 기벽으로 만든 것들은 명회색에서 암회색까지 혹은 명갈색에서 오렌지색까지고, 사암으로 만든 것들은 황색에서 적갈색까지다. 대부분의 놀이 알 가장자리는 타날이 되었지만, 간혹 가볍게 갈기(마연)를 한 것도 있다. 가장자리를 치밀하게 간 놀이 알도 있다(16점).
놀이 알들은 발해 유적 발굴조사에서 매우 자주 발견되는 대량 발견 유물이다. 이 유물의 대부분은 아마도 한국의 민속놀이인 고누와 비슷한 놀이가 크라스키노 성 주민들에게 널리 보급되고 유행한 사실과 관련될 것이다.
 

시유 용기와 자기

납유를 시유한 삼채의 기벽편(№ 3, 레벨 -128㎝)이 제44구역 서쪽 섹터 붸’(В’)-21방안에서 제6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출토되었다(도면 38, 39). 삼채는 크라스키노 성 발굴조사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유물 중의 하나다.
제47구역에서는 정요 자기의 기저부편(№ 19, 레벨 -159㎝)이 섹터 7의 아(А)-47방안에서 제2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출토되었다(도면 266). 이 유물의 저부 직경은 약 7.8㎝다. 잔존 부분의 크기는 전체 길이 8.0㎝, 높이 3.9㎝, 굽 높이 0.5㎝, 기벽 두께 0.5㎝다.
 

크라스키노 성 제44구역과 제47구역 출토 토기

표 1. 제44구역에서 출토된 토기편과 기와편의 수량
  • 인공층
  • 구연부
  • 기벽
  • 손잡이
  • 저부
  • 기와
  • 합계
  • 6
  • 37
  • 528
  • 15
  • 64
  • 11
  • 655
  • 7
  • 36
  • 397
  • 8
  • 39
  • 2
  • 482
  • 합계
  • 73
  • 925
  • 23
  • 103
  • 13
  • 1,137

표 2. 제47구역. 섹터 6에서 수습된 토기편과 기와편의 수량
  • 인공층
  • 구연부
  • 기벽
  • 손잡이
  • 저부
  • 기와
  • 합계
  • 1
  • 11
  • 98
  • 3
  • 6
  • 4
  • 122
  • 2
  • 29
  • 320
  • 8
  • 22
  • 4
  • 383
  • 3
  • 24
  • 245
  • 7
  • 16
  • 3
  • 295
  • 합계
  • 64
  • 663
  • 18
  • 44
  • 11
  • 800

표 3. 제47구역. 섹터 7에서 수습된 토기편과 기와편의 수량
  • 인공층
  • 구연부
  • 기벽
  • 손잡이
  • 저부
  • 기와
  • 합계
  • 1
  • 18
  • 78
  • 2
  • 13
  • 2
  • 113
  • 2
  • 48
  • 673
  • 18
  • 40
  • 1
  • 780
  • 3
  • 16
  • 221
  • 4
  • 10
  • 1
  • 252
  • 합계
  • 82
  • 972
  • 24
  • 63
  • 4
  • 1,145

표 4. 제47구역. 섹터 8에서 수습된 토기편과 기와편의 수량
  • 인공층
  • 구연부
  • 기벽
  • 손잡이
  • 저부
  • 기와
  • 합계
  • 1
  • 30
  • 109
  • 7
  • 9
  • 4
  • 159
  • 2
  • 65
  • 1,164
  • 40
  • 81
  • 18
  • 1,368
  • 제2인공층 후의 정리
  • 17
  • 396
  • 13
  • 20
  • 11
  • 457
  • 합계
  • 112
  • 1,669
  • 60
  • 110
  • 33
  • 1,984

표 5. 2013년도 크라스키노 성 발굴조사 출토 토기편과 기와편의 수량
  • 발굴구역
  • 구연부
  • 기벽
  • 손잡이
  • 저부
  • 기와
  • 합계
  • XLIV(제44구역)
  • 73
  • 925
  • 23
  • 103
  • 13
  • 1,137
  • XLVII(제47구역)
  • 258
  • 3,304
  • 102
  • 217
  • 48
  • 3,929
  • 합계
  • 331
  • 4,229
  • 125
  • 320
  • 61
  • 5,066

표 6. 제47구역. 출토 토기편과 기와편의 양(단위 ㎏)
  • 제47구역
  • 제1인공층
  • 제2인공층
  • 제3인공층
  • 합계
  • 섹터 6
  • 2.4
  • 5.677
  • 8.53
  • 16.607
  • 섹터 7
  • 2.3
  • 16.02
  • 6.2
  • 24.52
  • 섹터 8
  • 1.9
  • 15.88
  • 7.6
  • 25.38
  • 합계
  • 6.6
  • 37.577
  • 22.33
  • 66.507
  • 합계(%)
  • 9.9
  • 56.5
  • 33.6
  • 100

표 7. 제44구역. 출토 토기편과 기와편의 양(단위 ㎏)
  •  
  • 제6인공층
  • 제7인공층
  • 합계
  • 제44구역
  • 20.536
  • 18.395
  • 38.931
  • 합계(%)
  • 52.7
  • 47.3
  • 100

표 8. 제47구역. 섹터 6~8 출토(상건축면) 토기의 기본 특성들
구연부 유형구연부 수태토에 함유된 사립의 크기 특성소성무늬
소/중 사립주 소/중 사립다 사립/석립산화산화+연기 씌움환원환원+연기 씌움환원+산화
11823158063841321마연-28
10557113792149242마연-40
241554151351마연-2
3111-12--마연-1
22----2--마연-1
11----1--마연-1
321 21-마연-3
1--1---1--
11----1---
321--12--마연-2
1--1---1-마연-1
11-----1-마연-1
22---11---
11-------마연-1
11----1---
1-1---1--마연-1
1-1---1---
합계269109361241667117654마연-82/융기-2
합계(%)10040.513.446.15.924.943.524.21.530.5/0.7
범례: 소/중 사립 - 작은 크기 및 중간 크기 사립; 주 소/중 사립 - 주로 작은 크기 및 중간 크기 사립; 다 사립/석립 - 다양한 입자의 사립부터 석립까지; 산화 - 산화소성; 산화+연기 씌움 - 산화소성과 소성 마지막 단계의 연기 씌움; 환원 - 환원소성; 환원+연기 씌움 - 환원소성과 소성 마지막 단계의 연기 씌움; 환원+산화 - 환원소성과 소성 마지막 단계의 산화소성; 마연 - 마연 무늬; 볼록 - 볼록(양각) 무늬.
 
표 9. 제44구역. 출토(제2건축면과 제3건축면) 토기의 기본 특성들
구연부 유형구연부 수태토에의 사립의 크기 특성소성무늬
소/중 사립주 소/중 사립다 사립/석립산화산화+연기 씌움환원환원+연기 씌움환원+산화
64-21122 마연-2
12534-273--
112451631--
21-1-11---
6-33-1131마연-2 침선+마연-1
1-1----1--
211--1-1--
11----1---
11---1----
21-1--2--마연-1
32-11-11-마연-1
1--1-1----
1361611641-
422-112---
11-----1--
11-----1--
21-1--11-마연-1
43-1-211--
합계7332152851828202마연-7, 침선+마연-1
합계(%)10043.820.535.76.824.638.427.42.811
범례: 소/중 사립 - 작은 크기 및 중간 크기 사립; 주 소/중 사립 - 주로 작은 크기 및 중간 크기 사립; 다 사립/석립 - 다양한 입자의 사립부터 석립까지; 산화 - 산화소성; 산화+연기 씌움 - 산화소성과 소성 마지막 단계의 연기 씌움; 환원 - 환원소성; 환원+연기 씌움 - 환원소성과 소성 마지막 단계의 연기 씌움; 환원+산화 - 환원소성과 소성 마지막 단계의 산화소성; 마연 - 마연 무늬; 볼록 - 볼록(양각) 무늬; 침선+마연 - 침선 무늬+마연 무늬.
 
표 10. 크라스키노 2013년도 제44구역과 제47구역 출토 전체 혹은 일부 복원 토기들의 크기와 기본 특성
  • 출토 위치
  • 크기
  • 문양
  • 특징
  • 도면 번호
  • 1
  • 제44구역, 제7인공층, 까(К)-21방안
  • 구경 45.2㎝
  • 수평 띠 모양(帶狀) 마연
  • 외면과 속심 암회색, 큰 입자(1㎜ 이하)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65:1, 120
  • 2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엔(Н)-21방안
  • 구경 39㎝
  • 수평 띠 모양 마연
  • 외면과 속심 암회색, 석립까지 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64, 65:2
  • 3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엔(Н)-21방안
  • 구경 30.6㎝
  • 흙막 표면의 수평 띠 모양 마연, 수평 침선, 동체부 수직 띠 모양 마연
  • 내외면 회색, 명회색 흙막, 석립(1㎜ 이상)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65:3
  • 4
  • 제44구역, 제7인공층, 예(Е)-24방안
  • 구경 15.4㎝
  • 미약한 수평 띠 모양 마연
  • 외면과 속심 회색, 작은 입자(0.5㎜ 이하) 모래 함유
  • 도면 65:4
  • 5
  • 제44구역, 제6인공층, 이(И),까(К)-17,18방안
  • 구경 38㎝
  •  
  • 표면 흑색, 속심 오렌지-갈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90:1, 96
  • 6
  • 제44구역, 제6인공층, 줴(Ж)-제(З)-25방안
  • 구경 20㎝
  • 경부 수직 띠 모양 마연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90:2, 93:1
  • 7
  • 제44구역, 제6인공층, 줴(Ж)-25방안
  • 구경 13.5㎝
  •  
  • 표면 흑색, 속심 오렌지-갈색 가장자리의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90:3
  • 8
  • 제44구역, 제6인공층, 예(Е)-23방안
  • 구경 15.6㎝
  •  
  • 표면과 속심 회색, 주로 작은 입자 및 중간(0.5㎜ 이하) 입자의 모래 함유, 개별적인 큰 입자(1㎜ 이하) 모래
  • 도면 90:4
  • 9
  • 제44구역, 제6인공층, 엔(Н)-23방안
  • 추정 구경 17.8㎝
  •  
  • 표면 적색, 속심 회색, 큰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94, 93:2
  • 10
  • 제44구역, 제6인공층, 이(И)-24방안
  • 추정 저경 18㎝
  •  
  • 표면 오렌지-갈색, 속심 암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104, 103
  • 11
  • 제44구역, 제6인공층, 이(И)-24방안
  • 추정 저경 16.4㎝
  • 수평 띠 모양 마연
  • 외면과 속심 암회색,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108, 107
  • 12
  • 제44구역, 제7인공층, 줴(Ж)-25방안
  • 추정 구경 26㎝
  • 경부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과 속심 적색
  • 도면 117, 116:2
  • 13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엔(Н)-21방안
  • 추정 구경 32.2㎝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암회색, 속심 회갈색, 주로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119, 118
  • 14
  • 제44구역, 제7인공층,까(К)-21
  • 추정 구경 44.6㎝
  • 수평 마연
  • 표면 암회색, 속심 회갈색, 주로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121, 120
  • 15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엔(Н)-21방안
  • 추정 구경 34㎝
  • 수평 마연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127, 126
  • 16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엔(Н)-17방안
  • 추정 구경 42.4㎝
  •  
  • 표면 암회색, 속심 갈색,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128, 126:3
  • 17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엠(М)-24방안
  • 구경 14.4㎝ 저경 10㎝ 높이 5.7㎝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갈색,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133, 132
  • 18
  • 제44구역, 제7인공층, 엠(М)-23방안
  • 추정 저경 22.8㎝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138, 137
  • 19
  • 제47구역, 섹터 6, 제1인공층
  • 구경 11.4㎝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과 속심 암회색,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177:1
  • 20
  • 제47구역, 섹터 6, 제3인공층, 엠(М)-23방안
  • 구경 21.5㎝ 동체경 27.8 ㎝
  •  
  • 외면 흑색, 속심과 내면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대개 큰 입자 모래
  • 도면 225:1, 227
  • 21
  • 제47구역, 섹터 6, 제3인공층,붸(В)-33방안
  • 구경 18.2㎝ 동체경 20.8 ㎝
  •  
  • 표면 흑색,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225:2
  • 22
  • 제47구역, 섹터 6, 제3인공층,붸(В)-33방안
  • 추정 저경 26.6㎝
  •  
  • 표면과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229, 228
  • 23
  • 제47구역, 섹터 6, 제3인공층, 게(Г)-35방안
  • 추정 저경 16㎝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과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231, 230
  • 24
  • 제47구역, 섹터 6, 제3인공층,베(Б)-40방안
  • 추정 저경 19㎝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회갈색,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모래 포함
  • 도면 233, 232
  • 25
  • 제47구역, 섹터 7, 제1인공층
  • 구경 8㎝
  • 경부 수직 띠 모양 마연
  • 표면 오렌지-갈색,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250:1, 251:2
  • 26
  • 제47구역, 섹터 7, 제1인공층
  • 구경 8.4㎝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회색, 속심 명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250:2, 251:6
  • 27
  • 제47구역, 섹터 7, 제2인공층, 아(А)-52방안
  • 구경 30㎝
  •  
  • 표면 흑색, 속심 오렌지-갈색 가장자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273:1
  • 28
  • 제47구역, 섹터 7, 제2인공층, 게(Г)-48방안
  • 구경 22㎝
  • 수평 띠 모양 마연 및 융기대
  • 표면 흑색, 속심 회색, 주로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273:2, 274, 275
  • 29
  • 제47구역, 섹터 7, 제2인공층, 아(А)-46방안
  • 구경 12.4㎝
  •  
  • 표면 암갈색, 속심 오렌지-갈색, 주로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273:3, 279:1
  • 30
  • 제47구역, 섹터 7, 제2인공층, 베(Б)-48방안
  • 구경 12.9㎝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주로 굵은 모래.
  • 도면 273:4, 278:1
  • 31
  • 제47구역, 섹터 7, 제2인공층, 붸(В)-52방안
  • 추정 구경 24.6㎝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흑색, 속심 회갈색,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280, 279:2
  • 32
  • 제47구역, 섹터 7, 제2인공층, 게(Г)-47방안
  • 추정 저경 5.4㎝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갈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286:2, 286:1
  • 33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붸(В)-50방안
  • 구경 36.2㎝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흑색,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큰 모래는 드물게 보임
  • 도면 303:1, 309:2
  • 34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게(Г)-47방안
  • 구경 40.2㎝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흑색, 속심 갈색 가장자리 회색,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303:2
  • 35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게(Г)-48방안
  • 구경 42㎝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과 속심 회색, 주로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303:3, 305:1
  • 36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베(Б)-46방안
  • 구경 13㎝ 굽 직경 5.6㎝ 높이 2.5㎝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303: 4, 312:2
  • 37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붸(В)-45방안
  • 구경 12.6㎝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과 속심 회색, 작은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303:5, 312:1
  • 38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게(Г)-48방안
  • 추정 구경 47.6㎝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회갈색, 속심 회색, 주로 작은 모래 입자 함유
  • 도면 307, 306:1
  • 39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게(Г)-47방안
  • 추정 구경 37㎝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암회색, 속심 회갈색, 작은 모래 함유
  • 도면 308, 306:2
  • 40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베(Б)-51방안
  • 추정 구경 36.2㎝
  •  
  • 표면 흑색, 속심 회갈색, 작은 모래 입자 함유
  • 도면 311, 310
  • 41
  • 제47구역, 섹터 7, 제3인공층, 베(Б)-46방안
  • 추정 구경 13.2㎝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314, 313
  • 42
  • 제47구역, 섹터 8, 표토
  • 저경 5.8㎝
  •  
  • 표면과 속심 회색, 작은 모래 입자 함유
  • 도면 331:1, 330:1
  • 43
  • 제47구역, 섹터 8, 표토
  • 저경 6㎝
  •  
  • 표면 회갈색, 속심 갈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331:2, 330:2
  • 44
  • 제47구역, 섹터 8, 제2인공층, 이(И)-45방안
  • 구경 18㎝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석립까지의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354:1
  • 45
  • 제47구역, 섹터 8, 제2인공층, 예(Е)-48방안
  • 구경 8.8㎝
  •  
  • 표면 암회색,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및 중간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354:2
  • 46
  • 제47구역, 섹터 8, 제2인공층, 줴(Ж)-44방안
  • 저경 11㎝
  •  
  • 표면과 속심 회갈색, 다양한 크기 모래 함유
  • 도면 359, 358
  • 47
  • 제47구역, 섹터 8, 제2인공층, 제(З)-47방안
  • 추정 저경 20㎝
  • 수평 띠 모양 마연
  • 표면과 속심 회색, 작은 입자 모래 함유
  • 도면 361, 360
  • 48
  • 제47구역, 섹터 8, 제3인공층, 예(Е)-43방안
  • 추정 저경 16㎝
  •  
  • 표면 회갈색, 속심 회색, 주로 작은 모래 함유
  • 도면 393, 392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4. 토제 유물 자료번호 : kr.d_0011_0040_0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