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속자치통감장편

고려국왕 왕순(王詢)이 보낸 방물과 표문(表文)

  • 날짜
    1017년 11월 (음)(天禧 元年(1017) 11月 癸亥)
  • 출전
    卷90 天禧 元年(1017) 11月 癸亥
고려왕 왕순(王詢)[현종(顯宗)]이 어사형부시랑(御史刑部侍郎)주 001
각주 001)
御史刑部侍郎 : 고려의 관직. 법률·詞訟·刑獄 등을 관장하는 刑部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 이는 義刑臺 侍郞을 계승한 것으로, 태봉의 관제에 따라 고려 건국 이후에도 설치하였던 의형대를 성종 14年(995)에 尙書刑部로 고쳤다. 문종대에 시랑을 2인 두었는데, 이후 충렬왕 元年(1275)에 시랑을 摠郞으로 바꾸었다가, 공민왕 5年(1356)에 가서 다시 시랑으로 바꾸었다. 한편으로 여기에서 ‘御史刑部侍郎’으로 나오는데, 성종 때에 御事刑官侍郞이라 하였던 데에서 나온 명칭으로, ‘御事’의 오기이다.
닫기
서눌(徐訥)주 002
각주 002)
徐訥 : ?∼1042, 고려의 관인. 본관은 利川이다. 太保內史令 徐熙의 아들이다. 고려 성종 15年(996)에 갑과에 급제하였다. 현종 7年(1016)에 中丞이 되고, 이듬해 刑部侍郎이 되어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1018년 尙書吏部侍郎兼左諫議大夫를 거쳐 國子祭酒知吏部事를 지냈다. 딸이 왕비가 되자 1022년 中樞使右散騎常侍에 오르고, 內史侍郎判西京留守事를 역임하였다. 1030년 門下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判尙書吏部事, 덕종 초에는 檢校太師가 되고 守門下侍中에 올랐으며 定宗 때 判都兵馬使가 되었다. 병이 위독해지자 임금의 문병을 받고, 三重大匡內史令에 임명됨과 함께 자손에게 永業田이 하사되었다. 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元肅이다.
닫기
을 보내 여진수령(女眞首領) 매순(梅詢)을 인솔하여 표문을 받들고 방물을 바쳤으며 수춘군왕(壽春郡王)주 003
각주 003)
壽春郡王: 壽春郡王은 趙禎을 가리키는 것으로 송 眞宗의 여섯 번째 아들이다. 天禧 2年(1018)에 태자로 세워졌고, 乾興 元年(1022)에 즉위하니 이가 송 仁宗이다. 송 인종은 大中祥符 3年(1010)에 태어났고, 태자가 되기 전인 大中祥符 7年(1014)에 慶國公에 봉해졌으며 이듬해인 大中祥符 8年(1015)에 壽春郡王에 봉해졌다.
닫기
을 봉한 것을 하례했다. 처음에 곽원이 돌아갔을 때 왕순은 즉시 사신을 보내 사례하려 했으나 도중에 바닷바람 때문에 배가 표류하여 돌아갔다가 이때에 와서 이르렀다. 조서를 내려 서눌이 5일에 한 번 와서 안부를 물으라고 했다.

  • 각주 001)
    御史刑部侍郎 : 고려의 관직. 법률·詞訟·刑獄 등을 관장하는 刑部에 소속된 정4품의 관직. 이는 義刑臺 侍郞을 계승한 것으로, 태봉의 관제에 따라 고려 건국 이후에도 설치하였던 의형대를 성종 14年(995)에 尙書刑部로 고쳤다. 문종대에 시랑을 2인 두었는데, 이후 충렬왕 元年(1275)에 시랑을 摠郞으로 바꾸었다가, 공민왕 5年(1356)에 가서 다시 시랑으로 바꾸었다. 한편으로 여기에서 ‘御史刑部侍郎’으로 나오는데, 성종 때에 御事刑官侍郞이라 하였던 데에서 나온 명칭으로, ‘御事’의 오기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2)
    徐訥 : ?∼1042, 고려의 관인. 본관은 利川이다. 太保內史令 徐熙의 아들이다. 고려 성종 15年(996)에 갑과에 급제하였다. 현종 7年(1016)에 中丞이 되고, 이듬해 刑部侍郎이 되어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1018년 尙書吏部侍郎兼左諫議大夫를 거쳐 國子祭酒知吏部事를 지냈다. 딸이 왕비가 되자 1022년 中樞使右散騎常侍에 오르고, 內史侍郎判西京留守事를 역임하였다. 1030년 門下侍郎同內史門下平章事判尙書吏部事, 덕종 초에는 檢校太師가 되고 守門下侍中에 올랐으며 定宗 때 判都兵馬使가 되었다. 병이 위독해지자 임금의 문병을 받고, 三重大匡內史令에 임명됨과 함께 자손에게 永業田이 하사되었다. 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元肅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3)
    壽春郡王: 壽春郡王은 趙禎을 가리키는 것으로 송 眞宗의 여섯 번째 아들이다. 天禧 2年(1018)에 태자로 세워졌고, 乾興 元年(1022)에 즉위하니 이가 송 仁宗이다. 송 인종은 大中祥符 3年(1010)에 태어났고, 태자가 되기 전인 大中祥符 7年(1014)에 慶國公에 봉해졌으며 이듬해인 大中祥符 8年(1015)에 壽春郡王에 봉해졌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고려국왕 왕순(王詢)이 보낸 방물과 표문(表文) 자료번호 : jt.k_0003_0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