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1. 크라스키노 성 출토 동물 뼈 분석(2009년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 저필자
    V. E. 오멜꼬, M. A. 비노꾸로바
2009년도 크라스키노 성 발굴조사에서 남문지에서 수십 미터 떨어진 곳에 제42구역을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2009년도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한·러 공동 발굴보고서』, 2011). 당시 상(上)건축면에 속하는 토층들(제2인공층과 제3인공층)을 정리 조사할 때 507점의 동물 뼈가 출토되었다. 대부분의 동물 뼈는 큰 동물들(주로 굽 동물)의 뼈로서 작은 편 상태였다. 거의 모든 뼈에는 손상 자국들이 있는데 그 원인과 훼손의 정도는 서로 차이가 난다. 인간 활동에 의한 뼈의 훼손과 좋지 못한 토층 형성 조건으로 인한 손상 자국들이 흔히 발견된다. 많은 뼈에 인간 활동에 의한 손상 자국들이 남아 있다. 잘라진 것(베어진 것)(도면 1), 깨뜨려진 것(쪼개진 것)(도면 2), 가공된 것(도면 3), 불에 그슬린 것(도면 4) 등이 그러하다. 꽤 많은 뼈에 맹수와 설치류가 갉은 자국들이 남아 있기도 한다(도면 5, 6).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어린 동물들의 뼈는 보존 상태가 좋지 못하다.
 
도면 1. 잘라진 뼈. 척추 뼈(제42구역, 제3인공층, 아(А)-2방안)
도면 2. 깨뜨려진 뼈. 제42구역 출토(a - 제2인공층, 줴(Ж)-2방안, b - 제2인공층, 데(Д)-2방안)
도면 3. 가공된 뼈, 제42구역 출토(제3인공층, 붸(В)-3방안)
도면 4. 불에 그슬린 뼈, 제42구역 출토(제3인공층, 엠(М)-1방안)
도면 5. 맹수가 갉은 자국들이 남아 있는 말의 부골(跗骨) - 발등 뼈, 제42구역 출토(a - 제3인공층, 엠(М)-1방안, b - 제2인공층, 게(Г)-4방안)
도면 6. 설치류 동물이 갉은 자국들이 남아 있는 뼈, 제42구역 출토(제3인공층, 예(Е)-1방안)
 
뼈들이 전체적으로는 나쁜 보존 상태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손상되지 않은 온전한 개별 뼈들도 있다. 보존이 잘된 뼈들은 기본적으로 어른 동물의 고립된 이빨과 지골인데, 다시 말해서 골격에서 가장 단단한 구조를 가진 뼈들이다.
제42구역 출토 동물 뼈들의 보존 상태는 2012년도에 조사된 크라스키노 성의 제44구역, 제47구역, 그리고 제48구역에서 출토된 동물 뼈들의 보존 상태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제44구역, 제47구역, 제48구역에서 출토된 동물 뼈들은 열악한 주변 환경 조건들로 인해 뼈 조직이 심하게 손상되었고 그 결과 뼈들이 토양에서 수습한 다음에 쪼개지거나 겹겹이 갈라졌다. 그와 같은 차이는 서로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하면서도 크라스키노 성의 동물 뼈 보존 상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토양 조건이 서로 달랐기 때문일 것이다.
동물 뼈들은 73점(14%)이라는 매우 적은 일부만 종(種)까지 구분이 가능하였다(표 1).
 
표 1. 2009년도에 크라스키노 성에서 발견된 동물 뼈들(제42구역, 제2인공층과 제3인공층)
동물 명칭제2인공층제3인공층
가축
개 - Canis familiaris410
소 - Bos taurus38
말 - Equus caballus25
돼지 - Sus scrofa41
염소 / 양 - Capra/Ovis1-
야생동물
노루 - Capreolus pygargus33
꽃사슴(대륙사슴) - Cervus nippon13
붉은 사슴 - Cervus elaphus12
토끼 - Lepus timidus-1
오소리 - Meles leucurus1-
설치류 - Rodentia-1
분명하지 못한 동물
멧돼지 / 가축 돼지510
붉은 사슴 / 소21
이 목록에는 5종의 가축과 6종의 야생동물이라는 꽤 많은 종의 동물이 포함되어 있다. 뼈의 좋지 못한 보존 상태로 인해 가축 돼지와 멧돼지는 구분이 어려웠는데 이로 인해 표에 표시된 그 종의 동물의 수가 크게 줄었을 것이다. 소량의 온전한 뼈와 이빨은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도식에 따라 측정하였다(Driesh, Vonden, 1976).
 
표 2. 돼지 지골 측정 값(㎝)
시료, 뼈GLBpBdSD
Ph I 제3인공층, 예(Е)-1방안2.31.01.20.8
Ph II 제2인공층, 베’(Б’)-4방안2.31.31.61.3
표 3. 돼지 이빨 측정 값(㎝)
시료, 뼈치관 높이치관 기저부 길이치관 기저부 너비
치열, 제2인공층, 까(К)-1방안Р40.71.20.9
М10.81.41.2
하악골, 제3인공층, 줴(Ж)-2방안Р20.91.11.3
М10.91.21.5
М21.121.8
제3인공층, 베(Б)-3방안М31.73.51.5
제3인공층, 게(Г)-4방안М21.21.41.9
제3인공층, 아(А)-2방안М30.83.72.2
 
다른 가축들 중에서는 개가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이는 발해 유적들에서는 전형적이지 못한 사실인데 다른 발해 유적들에서는 개의 뼈가 일반적으로 큰 수량을 차지하지 않는다. 크라스키노 성의 제46구역~제48구역에서는 개 뼈의 수량이 그렇게 많지 않았다.
 
표 4. 개 앞발목뼈 측정 값(㎝)
시료GLBpBdSD
제2인공층, 줴(Ж)-3방안4.90.60.80.6
표 5. 개 이빨 측정 값(㎝)
시료, 이빨치관 높이치관 기저부 길이치관 기저부 너비
제2인공층, 데(Д)-2방안М11.62.10.6
하악골, 제3인공층, 줴(Ж)-2방안Р30.60.80.3
Р40.80.90.5
М11.31.70.7
М20.50.70.5
제3인공층, 붸(В)-3방안С2.70.61.1
제2인공층, 데(Д)-2방안М11.50.92
치열, 제3인공층, 베(Б)-3방안М21.20.81.8
М30.81.41.3
 
크라스키노 성의 남쪽 부분 도로 지역(제42구역)에서 출토된 동물 뼈는 수량을 보면 소의 뼈가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주거구역들이 조사된 크라스키노 성의 북서쪽 부분(제46구역~제48구역)에서는 소의 뼈가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 다른 발해 유적들(노보고르제예브까 성, 고르바뜨까 성,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에서는 소의 뼈가 18%를 넘지 않는다(알렉세예바, 볼딘, 1986, 1989, 1994; 빠나센꼬, 겔만, 2008, 2009).
제42구역에서 아주 작은 크기인 소의 제3지골(굽)이 출토되었다(표 5, 도면 7). 뼈 조직의 구조를 통해 이 작은 지골이 어른 동물의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지골들은 소의 여러 개체에 속할 것으로 보인다.
 
표 6. 소 제3지골 측정 값(㎝)
시료LdDLSMBS
제2인공층, 데(Д)-2방안5.57.22.7
제2인공층, 베’(Б’)-4방안3.85.52.1
 
도면 7. 제42구역 출토 소의 작은(제2인공층, 엠(М)-1방안) 및 ‘정상’(제2인공층, 데(Д)-2방안) 지골들
표 7. 소 이빨 측정 값(㎝)
시료, 이빨치관 높이치관 기저부 길이치관 기저부 너비
제3인공층, 줴(Ж)-2방안Р221.91.4
제3인공층, 아(А)-2방안М22.72.72.4
제3인공층, 예(Е)-3방안Р30.81.61.7
 
뼈의 수량이 세 번째로 많은 동물은 말이다. 말의 뼈는 크라스키노 성의 제46구역~제48구역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발해 유적에서 더 많은 비율로 출토된다. 좋지 못한 보존 상태로 인해 말의 뼈들은 측정하지 못하였다.
염소 혹은 양(이 두 동물은 뼈의 보존 상태가 좋은 경우에도 서로 구분하기 힘들다)의 뼈도 발견되었다. 이 동물들의 개별 뼈들은 크라스키노 성(제48구역)과 다른 발해 유적(니꼴라예브까 2 성,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에서도 이미 발견된 바 있다.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야생동물의 뼈들은 숲에 거주하는 전형적인 동물 종의 것이다. 비록 크라스키노 성 주
변에는 숲이 없지만 그 동물들은 지금까지도 하산지구에 서식하고 있다. 아마도 과거에는 숲이 크라스키노 성
가까이까지 있었을 것이고 사냥이 크라스키노 성의 발해 주민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크라스키노
성의 다른 발굴구역들에서는 이 종의 동물 뼈들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표 8. 야생 굽 동물들 이빨 측정 값(㎝)
시료, 이빨치관 높이치관 기저부 길이치관 기저부 너비
붉은 사슴 Cervus elaphus
제2인공층, 아’(А’)-2방안Р31.21.41.5
제3인공층, 엘(Л)-4방안Р2d2.41.81.9
노루 Capreolus pygargus
제3인공층, 예(Е)-1방안Р30.811.2
 
크라스키노 성의 서로 다른 구역들에서 출토된 동물 뼈들은 큰 차이를 보인다. 도로가 있는 유적의 남쪽 부분(제42구역)에서는 개의 뼈가 아주 많이 출토되었고 말의 뼈는 적게 확인되었는데 이는 주거구역들이 위치하고 있는 유적의 북서쪽 부분과는 서로 다른 점이다. 또한 성의 남쪽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야생동물의 종들도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 차이는 아마도 뼈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토층의 형성 조건이 달랐기 때문일 것이다(도로의 폐기물 층위, 주거지 내부 퇴적도, 주거지 사이의 공간들 등등).
제42구역에서 출토된 동물 뼈를 통해 확인된 자료들은 이미 알려져 있듯이 크라스키노 성이 다른 발해 유적들 중에서 농업방식이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음을 다시 한 번 강조할 수 있게 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1. 크라스키노 성 출토 동물 뼈 분석(2009년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자료번호 : kr.d_0011_005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