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동아시아 고대문화유산

굴륭산유지

窟山遺址
  • 저필자
    이현주(성균관대학교)
  • 시대
    원시~청동기/발해/요금
  • 위치
  • 원소장처
    길림성(吉林省) 혼춘시(琿春市) 양수향(凉水鄕) 경영촌(慶榮村)과 그 동부
  • 시대
    발해
  • 유형
    생활
규모
남북: 200m, 동서: 1,500m
입지
琿春--圖們 도로가 산 남쪽의 경사지를 동서로 지나간다. 분지의 동서 양쪽은 窟山과 高力嶺자락(속칭滾兎嶺이라고 한다)이다. 圖們江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窟山 서남쪽을 감싸고 돌아 동남쪽으로 흘러간다. 林場, 琵琶, 南大 3줄기 하천에서 근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圖們江으로 합류한다.
유물개관
사발, 병, 단지, 잔, 鼎足 등의 협사도, 조개화폐, 지압문기와, 연주문 기와, 니질도,자기 병, 자기사발 등
참고문헌
문물지
해설
굴륭산유지(窟窿山遺址)는 발해시기의 촌락 유지이다. 원시~청동기시기와 발해시기, 그리고 요금시기에도 촌락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굴륭산유지는 중국의 길림성(吉林省) 혼춘시(琿春市) 양수향(凉水鄕) 경영촌(慶榮村)과 그 동부에 위치한다. 굴륭산유지는 훈춘시 서쪽의 고력령(高力嶺)산맥의 남단 동쪽의 도문강(圖們江) 충적분지에 입지하고 있다. 충적분지는 동서의 길이가 3㎞, 남북의 너비가 500m에 달한다. 충적분지의 동쪽은 굴륭산이고, 서쪽은 고력령(高力嶺)자락이다. 도문강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굴륭산 서남쪽을 감싸고 돌아 동남쪽으로 흘러간다. 1957년 겨울에 현지인들이 수로를 닦을 때 마을 남쪽 도문강변에서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후 굴륭산(窟窿山) 서쪽 산자락 아래에서 수로 공사를 할 때도 약간의 석기·골기와 수많은 인골, 삼족기 다리[三足器足部] 2점이 발견되었다. 굴륭산유지의 면적은 길이 약 1.5㎞ 너비 약 250m에 이른다. 굴륭산유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도기·석기·골기·자기·건축재료 등 5종류로 나뉜다. 도기는 협사도(夾砂陶)와 니질도(泥質陶) 2종류이다. 협사도기는 모두 손으로 빚었으며, 홍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그릇의 형태(器形)는 항아리[罐]·대접[碗]·병[壺]·시루[甑]·잔[杯], 그물추와 솥[鬲]과 솥[鼎]의 다리가 각각 1점이다. 니질도기(泥質陶器)는 모두 물레로 빚었으며 흑갈색 또는 회색을 띠고 있다. 그릇 형태에는 동이[盆], 항아리[罐] 등이 있다. 출토된 석기 종류로는 돌창[石矛]·고리모양의 기물[環狀器]·돌 방추차[石紡輪] 등이 있다. 또한 골기로는 골기는 뼈로 만든 화살촉[骨鏃]과 조개껍데기가 있다. 자기에는 대접[碗]·접시[碟]·병[壺] 등이 있다. 그리고 굴륭산유지에서 출토된 건축재료에는 연꽃무늬 와당(蓮花紋瓦當)·미구가 있는 수키와[榫斗筒瓦]와 연주문(連珠紋)·지압문 암키와 등이 있다. 기와 안쪽에는 베무늬가 있으며 대부분이 붉은 갈색을 띠고 있다. 이는 특히 발해시기 유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굴륭산유지 자료번호 : isea.d_0003_0010_0050_0070_0130